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하겸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겸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은 1870년 진주(晋州)의 사곡리(士谷里)에서 태어났다. 그는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의 적전 면우(?宇) 곽종석(郭鍾錫, 1864∼1919)의 고제(高弟)이며, 남명이 ‘설중한매(雪中寒梅)’라고 기상을 격찬했던 각재(覺齋) 하항(河沆, 1538∼1590)의 문인 송정(松亭) 하수일(河受一, 1553∼1612)의 11대손이다. 학맥으로는 퇴계의 학풍을 계승한 고제이며, 가학으로는 남명의 학풍을 계승한 적전이라는 점은 회봉의 학문적 성격과 위상을 대변한다.
그는 조선과 대한 제국, 일제 강점기를 거쳐 해방을 맞이한 다음 해인 1946년까지 역사상 가장 큰 격변기를 유학자, 독립운동가, 문학가의 모습으로 살았다. 그의 생은 낙수재(落水齋)에서 보낸 학문 수학기(1870∼1917)와 귀강 정사(龜岡精舍)에서 보낸 애국 계몽기(1917∼1930), 덕곡 서당(德谷書堂)에서 보낸 창작 저술기(1931∼1946)로 나눌 수 있다.
학문 수학기에는 낙수재를 중심으로 향리의 동학(同學) 및 집안의 자제들과 함께 학업에 매진하고, 1896년 27세 되는 해인 가을에 거창의 다전(茶田)에서 면우를 알현하고 사사했으며, 후산(后山) 허유(許愈, 1833∼1904),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 1815∼1900), 물천(勿川) 김진호(金鎭祜, 1845∼1908),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 1847∼1916), 송산(松山) 권재규(權載奎, 1870∼1952) 등 당대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했다.
귀강 정사에서의 애국 계몽기에는 1919년 파리 장서에 서명해 진주와 성주를 오가며 옥중 생활을 했고, 1921년에는 <국성론>을 지어 유학의 가치인 ‘예의(禮義)’를 ‘국시(國是)’로 국민 의식을 고취했다. 1926년에는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자금을 마련하고자 국내에 잠입한 김창숙(金昌淑, 1879∼1962)을 도운 2차 유림단 의거에 참여함으로써 다시 옥고를 치렀다. 그리고 1929년에는 을지문덕·김유신·강감찬·이순신을 대상으로 <명장열전(名將列傳)>, 남이(南怡)와 김덕령(金德齡)을 대상으로 <용장열전(勇將列傳)>을 지어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덕곡 서당의 창작 저술기에는 1934년 <화도시> 120수를 완성하고, 다시 1937년 <수미음> 134수를 완성했다. <화도시>는 망국의 지식인으로 살아가는 갈등과 고뇌의 산물로, 소동파가 그랬던 것처럼 도연명의 시에 모두 화운함으로써 자신의 시재(詩才)도 나타내고, 격변 속에서도 꼿꼿한 절개를 지켜 갈 것임을 밝힌 시다. 그는 또 우리나라 시화사(詩話史)의 마지막 비평집인 ≪동시화(東詩話)≫를 저술했고, 1943년에는 생애 마지막 역작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학안인 ≪동유학안(東儒學案)≫을 저술했다. 1945년 8월 노쇠해진 몸으로 조국의 광복을 지켜보고, 다음 해인 1946년 7월에 세상을 떠났다.

하겸진의 다른 상품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224,000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회봉 화도시선

회봉 화도시선

20,800

'회봉 화도시선 '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영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영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영숙은 경상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옥계 노진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회봉 하겸진의 화도시와 수미음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학들과 함께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1∼5를 공역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토대 연구 사업인 ‘금강산 유람록 번역 및 주해’ 사업에 전임 연구원으로 참여해 ≪금강산 유람록≫ 1∼10을 번역했다. 한국국학진흥원 안동의 역사 인물 문집 100선 사업에 참여해 ≪북애 선생 문집≫을 번역했다.
19∼20세기 한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회봉 하겸진의 작품에 대한 번역과 연구는 그 관심의 방향이다. 연구 논문으로 <경로를 통한 금강산 유람의 변천 고찰>과 <17세기 이전 금강산 유람의 경로 및 특징> 등 금강산 관련 논문과 근대 전환기 영남 지역의 유림에 대한 연구로 <면우(?宇) 곽종석(郭鍾錫)의 영물시(詠物詩) 일고찰(一考察)>, <모계(某溪) 김홍락(金鴻洛)의 한시 창작 양상과 함의(含意)> 등이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공동 연구 과제로 진행한 연구 논문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의 현실 인식과 단성 농민 항쟁>,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의 현실 대응 양상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고문헌과 문집에 전하는 문학을 연구하며, 인간이 지닌 근원적인 정서는 시공간을 초월해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과거의 인물에 대한 이해가 결국 오늘을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되고, 현재를 사는 우리의 고민을 해결하는 해법이 되어 줄 것이라 믿는다.

이영숙의 다른 상품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224,000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회봉 화도시선

회봉 화도시선

20,800

'회봉 화도시선 '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