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저 : 문석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석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곡가. 일반적인 악기 소리부터 소음까지 감각 가능한 다양한 소리를 발굴하고 또 그 소리 재료들을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탐구해 왔다. 미술가, 안무가 등과의 협업을 통해 비음악적인 재료를 음악 안으로 흡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세계 각지에서 디베르티멘토 앙상블, MDI 앙상블, 네오 콰르텟, 앙상블 미장, 앙상블 TIMF 등에 의해 연주되었다.

문석민의 다른 상품

모티프

모티프

19,800 (10%)

'모티프' 상세페이지 이동

멜로디 과잉

멜로디 과잉

23,400 (10%)

'멜로디 과잉' 상세페이지 이동

리토르넬로

리토르넬로

26,100 (10%)

'리토르넬로' 상세페이지 이동

판타지아

판타지아

21,600 (10%)

'판타지아' 상세페이지 이동

비정량 프렐류드

비정량 프렐류드

18,000 (10%)

'비정량 프렐류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지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지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학부에서 서양화를, 석사는 예술학을 전공하며 퍼포먼스 이론을 공부했다. 눈과 손과 몸을 통해 목격하고 경험한 것의 진실함에 대해 생각한다. 여기서 비롯되는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나 생산과 수용 사이에서 벌어지는 특수한 현상에 관심을 둔다. 2019년부터 일민미술관 학예팀에서 『언커머셜: 한국 상업사진, 1984년 이후』, 『IMA Picks 2021』, 『Ghost Coming 2020 {X-ROOM}』 등의 전시 기획에 참여했다.

저 : 신예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예슬
관심작가 알림신청
음악 비평가, 헤테로포니 동인. 음악학을 공부했고 동시대 음악을 구성하는 여러 전통에 대한 질문을 다룬다. 『음악의 사물들: 악보, 자동 악기, 음반』을 썼고, 종종 기획자, 드라마터그, 편집자로 일한다. 『오늘의 작곡가 오늘의 작품』 편집 위원을 맡고 있다.

신예슬의 다른 상품

모티프

모티프

19,800 (10%)

'모티프' 상세페이지 이동

멜로디 과잉

멜로디 과잉

23,400 (10%)

'멜로디 과잉' 상세페이지 이동

리토르넬로

리토르넬로

26,100 (10%)

'리토르넬로' 상세페이지 이동

토마

토마

15,300 (10%)

'토마' 상세페이지 이동

판타지아

판타지아

21,600 (10%)

'판타지아' 상세페이지 이동

비정량 프렐류드

비정량 프렐류드

18,000 (10%)

'비정량 프렐류드' 상세페이지 이동

음악의 사물들: 악보, 자동 악기, 음반

음악의 사물들: 악보, 자동 악기, 음반

13,500 (10%)

'음악의 사물들: 악보, 자동 악기, 음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앤드루 유러스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앤드루 유러스키
관심작가 알림신청
Andrew V. Uroskie
미술사가, 미디어 문화 역사가. 스토니브룩 대학교 현대 미술과 미디어 학부의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대 미술사와 비평 석/박사 프로그램, 철학과 인문학 석사 프로그램, 미디어, 예술, 문화, 기술 준석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영화, 비디오, 사운드, 설치,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시간을 다루는 매체가 어떻게 미학적 생산, 전시, 관람성, 사물성의 사례를 재맥락화하는지 탐구한다. 『블랙박스와 화이트 큐브 사이: 확장 영화와 전후 시대 예술』(Between the Black Box and the White Cube: Expanded Cinema and Postwar Art)의 저자로, 근대와 동시대 미술, 영화, 시각 문화에 대한 글이 『옥토버』, 『그레이 룸』, 『오거나이즈드 사운드』를 비롯한 다수의 학술 저널과 비평집에 실렸다. 최근 출간된 『요나스 메카스: 카메라는 항상 켜져 있었다』(Jonas Mekas: The Camera Was Always Running)와 『확장하는 시네마: 동시대 미술을 통한 영화 이론화』(Expanding Cinema: Theorizing Film through Contemporary Art)는 여섯 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키네틱 심상: 전후 미국 미술에서 시간성과 운동의 출현에 관한 다원적 역사』(The Kinetic Imaginary: An Interdisciplinary History of the Emergence of Temporality and Movement in Postwar American Art)를 출간할 예정이다.?

저 : 오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예술가. 시간을 둘러싼 물질과 추상적 사유의 경계 및 상호 작용을 연구한다. 주로 미술, 음악, 무용의 교차점, 그리고 시간 기반 설치와 라이브 퍼포먼스가 만나는 접점에서 신체가 시간을 감각하고 운용하고 소비하고 또 발생시키는 방식을 주시한다. 서울대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피아노 연주와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했으며, 그의 작업은 국립현대미술관(서울 2021년, 과천 2018·2014년), 수원시립미술관(2021·2016년), 독일 모르스브로이 미술관(레버쿠젠 2020년),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서울 2020·2019·2017년), 포항시립미술관(2019년), 아트선재센터(서울 2018년),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2018년), 네덜란드 드메이넨 미술관(시타르트 2018년), 대구시립미술관(2017년), 아르코미술관(서울 2017·2016년) 등에서 전시되었다. 네덜란드 국립미술원과 삼성문화재단 파리 국제 예술 공동체에서 거주 작가로 활동했으며,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2017년), 송은미술대상 우수상(2017년), 신도 작가 지원 프로그램(2016년), 두산연강예술상(2015년)을 수상하였다. 『부재자 참석자 초청자』, 『스코어 스코어』, 『연습곡』 등을 출간했다. 현재 암스테르담과 서울에서 작업하고 있다.

오민의 다른 상품

모티프

모티프

19,800 (10%)

'모티프' 상세페이지 이동

멜로디 과잉

멜로디 과잉

23,400 (10%)

'멜로디 과잉' 상세페이지 이동

리토르넬로

리토르넬로

26,100 (10%)

'리토르넬로' 상세페이지 이동

토마

토마

15,300 (10%)

'토마' 상세페이지 이동

판타지아

판타지아

21,600 (10%)

'판타지아' 상세페이지 이동

비정량 프렐류드

비정량 프렐류드

18,000 (10%)

'비정량 프렐류드' 상세페이지 이동

연습곡 1번

연습곡 1번

13,500 (10%)

'연습곡 1번'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요세피네 비크스트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요세피네 비크스트룀
관심작가 알림신청
Josefine Wikstrom
비평가. 동시대 예술에서 퍼포먼스와 무용을 중심으로 문화 이론과 후기 칸트-마르크스 철학의 교차점에 대해 연구한다. 현재 쇠데르턴 대학교 미학과의 후원을 받아 1989년 이후 예술의 자율성의 가능성에 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스톡홀름의 유니아츠에서 책임 강사로 일하고 있으며, 2017년 런던의 킹스턴 대학교에서 철학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태스크-댄스와 이벤트-스코어에서의 관계의 실천: 퍼포먼스 비평』(Practices of Relations in Task-Dance and the Event-Score: A Critique of Performance, 2021년)을 썼고, 마이야 티모넨과 함께 『페미니즘의 사물』(Objects of Feminism, 2017년)을 공동 편집했다. 『쿤스트크리티크』와 『다겐스 뉘헤테르』의 무용 크리틱에 기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