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진덕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진덕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眞德秀, 1178~1235
송나라 건녕부(建寧府) 포성(浦城) 사람으로 호는 서산(西山)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영종(寧宗) 경원(慶元) 5년(1199) 진사(進士)가 되고, 개희(開禧) 원년(1205)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 합격하였다. 이종(理宗)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에 발탁되어 직학사원(直學士院)에 올랐다. 사미원(史彌遠)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지만, 나중에 천주(泉州)와 복주(福州)의 지주(知州)를 지냈다. 단평(端平) 원년(1234) 입조하여 호부상서(戶部尙書)에 오르고, 한림학사(翰林學士)와 지제고(知制誥)가 되었다. 다음 해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는데 얼마 뒤 죽었다. 시정(時政)에 대해 자주 건의하였고, 주소(奏疏)는 수십만 자에 이르렀다. 주자학파(朱子學派)의 대표적 학자로, 『대학연의(大學衍義)』는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비견한다는 평을 들었다. 경원당금(慶元黨禁) 이후 정주(程朱)의 이학(理學)이 다시 성행하는 데 공헌한 바가 컸다. 그 밖의 저서에 『당서고의(唐書考疑)』와 『독서기(讀書記)』, 『문장정종(文章正宗)』, 『서산갑을고(西山甲乙稿)』, 『서산문집(西山文集)』 등이 있다.

진덕수의 다른 상품

편 : 김병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김병섭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사, 행정학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조지아 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대통령 직속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있으며, 서울대학교 평의회의장, 청렴사회민관협의회 공동의장, 국가리더십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편견과 오류 줄이기: 조사연구의 논리와 기법』, 『정책수단론』, 『휴먼조직론』, 『대항해시대의 국가지도자, 이순신』 등이 있다.

김병섭의 다른 상품

역주 : 오항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오항녕
관심작가 알림신청
吳恒寧
현재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있으며, 2018~2019년 중국 연변대학교 역사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조선시대 사관제도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고, 지곡서당(태동고전연구소)과 한국사상사연구소에서 사서삼경 등 고전학을 공부했다. 국가기록원 전문위원과 팀장을 지냈고, 인권연대 운영위원과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위원을 맡고 있다. 기록과 인간, 조선 문명, 기억과 시간 등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호모 히스토리쿠스』,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조선의 힘』, 『기록한다는 것』, 『밀양 인디언』,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조선초기 성리학과 역사학』 등이 있고, 역서로 『사통(史通)』, 『대학연의(大學衍義)』, 『국역 영종대왕실록청의궤(英宗大王實錄廳儀軌)』, 『문곡집(文谷集)』, 『존재집(存齋集)』 등이 있다.

오항녕의 다른 상품

기록한다는 것

기록한다는 것

9,800

'기록한다는 것'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연의 하

대학연의 하

42,300

'대학연의 하'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연의 상

대학연의 상

59,000

'대학연의 상' 상세페이지 이동

후대가 판단케 하라

후대가 판단케 하라

17,500

'후대가 판단케 하라' 상세페이지 이동

실록이란 무엇인가

실록이란 무엇인가

17,640 (10%)

'실록이란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 히스토리쿠스

호모 히스토리쿠스

10,000

'호모 히스토리쿠스'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 정재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정재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 과정을 마쳤다. 조선 전기에 유교정치사상이 어떻게 이해, 수용되고 자기화하였는지를 검토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조선의 사상과 문화의 정체성과 특성,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며, 현재 경북대학교 사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은 『조선전기 유교정치사상연구』(태학사),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신구문화사), 『조선의 국왕과 의례』(지식산업사), 『조선 국왕의 상징』(현암사) 등과 다수의 공저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동호문답』(아카넷), 『동사』(소명출판, 공역), 『대학연의(상)』(서울대 출판문화원), 『대학연의보』(세창출판사) 등이 있다. 이 밖에 「18세기 연행과 정조(正祖)」 등 다수의 논문도 있다.

정재훈의 다른 상품

대학연의 하

대학연의 하

42,300

'대학연의 하'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연의 상

대학연의 상

59,000

'대학연의 상' 상세페이지 이동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16,100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상세페이지 이동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16,100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 정호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정호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조선 사람들이 추구하였던 보편 가치가 형성되고 변화하는 양상을 정치사상사, 법사상사의 측면에서 해명하는 것을 과제로 연구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조선후기(朝鮮後期) 정치사상연구(政治思想硏究)』, 『경민편(警民編): 교화와 형벌의 이중주로 보는 조선』, 『조선의 소학(小學): 주석과 번역』, 『주서백선(朱書百選)』(공역), 『주자봉사(朱子封事)』(공역), 『선각』 등이 있다.

정호훈의 다른 상품

역주 : 김광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김광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복단대학(復旦大學)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중국 고대 문헌의 전승과 유통’이라는 관점에서 중국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사라진 중국책, 일본에서 살아남다?, ?문헌학적 관점에서 본 노화(盧和) 『식물본초(食物本草)』?, ?밀양본(密陽本) 『신간명본치가절요(新刊明本治家節要)』의 문헌가치? 등이 있다.

김광일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