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정재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재화
관심작가 알림신청
정재화(鄭在華, 1905∼1978)는 자가 자실(子實), 호는 후산(厚山)으로 정복용(鄭福容)과 서흥 김씨(瑞興金氏) 사이에서 1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영민할 뿐만 아니라 뜻이 견고했다고 한다. 족형 정재기의 문하에 나아가 ≪한사(漢史)≫를 읽었으며, 이후 정종호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아 가학 및 근기학적 전통을 이었다. 일제의 단발령에 따라 경찰이 그의 상투를 자르려 하자 일경(日警)을 벼루로 타격하고, 두 차례나 만주로 피신해 자정(自靖)의 장소로 삼고자 했다. 정종호의 문하에서 함께 공부한 여기동(呂箕東)은 이러한 사실을 전하며, 세속를 초극한 자질과 꺾을 수 없는 기절을 들어 그의 인품을 ‘강개(剛介)’와 ‘인영(人英)’으로 요약하기도 했다. 만년에는 독서와 양성(養性)으로 소일했으며 1978년 음력 1월 18일 세상을 떠났다.

역 : 정우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정우락
관심작가 알림신청
鄭羽洛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북경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낸 바 있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주로 한국문학사상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문화공간으로서의 영남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며 관련 글을 발표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남명과 퇴계사이』, 『남명문학의 철학적 접근』,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문화공간 팔공산과 대구』, 『모순의 힘, 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사상력』, 『국역 흑산일록』, 『후산졸언 시문선집』 등이 있다.

정우락의 다른 상품

신당일록(新堂日錄)

신당일록(新堂日錄)

19,840

'신당일록(新堂日錄)' 상세페이지 이동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

56,000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 상세페이지 이동

21세기와 남명 조식

21세기와 남명 조식

36,000

'21세기와 남명 조식' 상세페이지 이동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9,000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 상세페이지 이동

낙중학 : 조선시대 낙동강 중류지역의 유학 - 낙중학총서 01

낙중학 : 조선시대 낙동강 중류지역의 유학 - 낙중학총서 01

30,000

'낙중학 : 조선시대 낙동강 중류지역의 유학 - 낙중학총서 01'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 우리가 몰랐던 퇴계의 남도여행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 우리가 몰랐던 퇴계의 남도여행

24,000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 : 우리가 몰랐던 퇴계의 남도여행'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