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0명)

이전

저 : 한복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복려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기능보유자이자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이사장이다. 조선 왕조 마지막 주방 상궁에게 궁중 음식을 전수받아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한국 음식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큰 공을 세운 고(故) 황혜성 교수의 장녀이기도 하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에게 음식을 전수받았고 전통 음식의 학문적 연구와 조리 기능 전수에 정진하고 있다.

2000년부터 국가 주요 행사에서 메뉴를 자문했으며 2004년 MBC 드라마 「대장금」에서 궁중 음식 자문과 제작을 맡아 전 세계에 한식을 알리는 중추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1960년대부터는 국가 전수생으로 궁중 음식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50여 년간 궁중 음식 전수 교육과 재현, 관련 연구서 저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한국 음식 문화의 원형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힘썼다.

지은 책으로 『조선왕조 궁중음식』,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한국인의 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김치 백가지』,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떡』, 『떡과 과자』, 『혼례』, 『다시 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 『다시 보고 배우는 산가요록』 외 다수 있다.

한복려의 다른 상품

봉접요람

봉접요람

22,500 (10%)

'봉접요람' 상세페이지 이동

음식절조

음식절조

22,500 (10%)

'음식절조' 상세페이지 이동

계미서

계미서

22,500 (10%)

'계미서' 상세페이지 이동

음식 고전

음식 고전

42,750 (5%)

'음식 고전'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인의 장

한국인의 장

22,000

'한국인의 장' 상세페이지 이동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30,000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상세페이지 이동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60,000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김치 백가지

우리 김치 백가지

17,550 (10%)

'우리 김치 백가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소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소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졸업(가정학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박사과정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학예연구실장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이수자

2002년부터 궁중음식연구원에서 궁중 음식과 고조리서, 전통 음식 등의 전수 강좌에서 조교 및 강사 역할을 담당하며 학예연구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 이수자이다. 천안연암대학교, 장안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여러 대학에서 한국 음식 문화사, 조리 문헌 연구 등의 강의를 하고 있다.
『산가요록』 『잡지』 『계미서』 『음식절조』 등의 고조리서 번역에 참여하였고 현재 음식을 재현 하는 출판 프로젝트의 책임연구를 맡고 있다. 궁중 음식 관련 문헌 및 고조리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조선~근대 시기의 고조리서와 음식 관련 문헌을 다룬 『음식고전』을 공동으로 집필했다.

이소영의 다른 상품

봉접요람

봉접요람

22,500 (10%)

'봉접요람' 상세페이지 이동

감수 : 김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감수 : 김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졸업(이학석사)
세종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조리학전공 졸업(가정학박사)

한국 식문화의 대부인 고 이성우 교수님의 지도로 1977년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 과정 중
식생활 문화 연구에 입문하여, 일찍부터 고조리서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1980년에 상주대학교(현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교수로 부임하여 2018년 8월 정년퇴직하였 으며, 경북문화재 전문위원이며, 경북 지역의 종가 음식 문화 조사에 관한 연구를 다수 수행 하였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재단법인 궁중음식문화재단 학술교수로 궁중 음식과 미발표된 고조리서를 연구하고 논문 발표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고조리서에 관한 논문으로 『주방문』 『온주법』 『음식보』 『음식책』 『임원십육지』 『잡지』 『계미서』 『음식절조』 등에 관하여 연구 발표하였다. 저서로는 『우리 음식의 맛』 『발 효식품』 외에 다수가 있다.

김귀영의 다른 상품

음식절조

음식절조

22,500 (10%)

'음식절조' 상세페이지 이동

계미서

계미서

22,500 (10%)

'계미서' 상세페이지 이동

감수 : 박록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감수 : 박록담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碌潭,본명: 박덕훈(朴德焄)
시인이자 전통주 연구가인 그는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조선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에서 식품가공학을 전공했다. 박록담(朴碌潭)은 아호이자 필명이며, 본명은 박덕훈(朴德焄)이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 및 사단법인 한국전통주연구소 소장으로, 부설 '박록담의 전통주 교실(록담일반문화센터)'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국내 전통주 및 가양주에 대한 현장 조사와 발굴 활동에 전념하였으며, 요즘은 '술방사람들' 및 전국적 모임인 '탐주회' 회원들과 함께 '전통주 교실'을 통해 사라진 전통주 재현과 대중화 운동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2015년 9월 전통주 교육을 통한 전통양주 기술보급과 가양주 활성화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한국의 전통주와 떡 축제' 추진위원 겸 심사위원을 비롯, 경기도 '경기명주' 심사위원, 중요무형문화재(경주교동법주 면천두견주 등) 기능보유자 인정 심사활동을 하고 있다. 그 밖에 『광주일보』 신춘작품상(시 부분) 및 『월간문학』신인작품상(시조 부문)에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으며, 한국문인협회원, 한국시조시인협회원, 현대불교문인협회원, 광주일보신춘문학회 회원, 새솔문학회 회장으로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

작품집 및 저서로는 『겸손한 사랑 그대 항상 나를 앞지르고』,『그대 속의 확실한 나』,『사는 동안이 사랑이고만 싶다』, 『 韓國의 傳統民俗酒』,『우리의 부엌살림』,『 명가명주(名家名酒)』,『우리 술 빚는 법』,『우리 술 103가지』,『전통주』,『문배주』,『양주집』,『버섯발로 디딘 전통누룩』『전통주 비법 211가지』, 『꽃으로 빚는 가향주 101가지』 등이 있다.

박록담의 다른 상품

세월을 담는 술

세월을 담는 술

95,000 (5%)

'세월을 담는 술 ' 상세페이지 이동

효도하는 술

효도하는 술

95,000 (5%)

'효도하는 술 ' 상세페이지 이동

방향과 청향의 술 : 하

방향과 청향의 술 : 하

95,000 (5%)

'방향과 청향의 술 : 하' 상세페이지 이동

방향과 청향의 술 : 상

방향과 청향의 술 : 상

95,000 (5%)

'방향과 청향의 술 : 상'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인의 잔치술

한국인의 잔치술

95,000 (5%)

'한국인의 잔치술 '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전통주 주방문 세트

한국의 전통주 주방문 세트

475,000 (5%)

'한국의 전통주 주방문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음식절조

음식절조

22,500 (10%)

'음식절조'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전통명주 5권 세트

한국의 전통명주 5권 세트

198,000 (10%)

'한국의 전통명주 5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