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4명)

이전

저 : 김인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인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3 BA(Economics), Sungkyunkwan University /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학사
1981 PhD(Econom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 미국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 박사
2002, Presid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s and Options / 한국선물 옵선학회 회장
2003, Presid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de and Industry Studies / 한국국제통상학회 회장
2009, President of the Korea International Finance Association / 한국국제금융학회 회장
2010, President of the Korea Inter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
2013, President of the Korean Economic Association / 한국경제학회 회장
2019-2021, Board member of Mont Pelerin Society / 몽팰랭 학회 운영이사
2014-present, Professor Emeritus of Sungkyunkwan University /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김인철의 다른 상품

외국인 직접투자와 한국의 경제정책

외국인 직접투자와 한국의 경제정책

25,000

'외국인 직접투자와 한국의 경제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경제, 도전을 넘어

한국 경제, 도전을 넘어

14,250 (5%)

'한국 경제, 도전을 넘어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마성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마성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건축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주)엠파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다. 영화사 명필림 사외이사를 거쳤고,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그는 건축주와 끊임없이 대화하며 상대방의 생각을 이해하고 그것을 집으로 풀어내는 게 건축가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서울시립대 국제학사, 대치문화센터, 서울창포원 비지터센터, 성모자애복지관, 압구정 노인복지관, 양평 포옹산가抱雍山家 주택 등이 있다.

저 : 최시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시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실내건축가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주)엑시스케이프 대표다. 그는 형식에 얽매이기보다는 남들과 다른 디자인을 선보이며 집의 개념에 변화를 불어넣고 있는 선두주자다. 그는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까?’라는 생각보다는 ‘그곳에서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가?’라는 생각을 가지고 디자인한다. 최근에는 텃밭, 가든 문화에 관심을 갖고,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등 이를 확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타워팰리스, 헤르만하우스, 두빌, 팔레스호텔, CGV 신촌 아트레온 등이 있다. 또한 디자인 공로를 인정받아 국가로부터 산업포장을 수상하였으며, 독일국제포럼 디자인하노버 주관 2011 IF 디자인어워드 수상, 아시아 태평양 공간디자인협회상, 문화부장관상, 골든스케일 디자인어워드, 명가명인 상 등을 수상했다.

저 : 구승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구승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축가 구승회는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와 컬럼비아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창조건축과 야마사키코리아 건축사사무소를 거쳐 현재 (주)크래프트 대표로 재직 중이다. 세종대학교 겸임교수이기도 하며 영화 <건축학개론>의 총괄 건축자문과 제주도 ‘서연의 집’을 디렉팅했다. 그는 건축에는 사람의 기억과 꿈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고 생각하며, 건축물에 그것을 온전히 담아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이태원 686 갤러리, 양평 하우스, 가평 마스터 플랜, 한남빌딩 등이 있다.

저 : 최동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동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1947년 12월 청주에서 태어났다. 경기중·고등학교를 거쳐 한양대 건축공학과 및 산업대학원을 졸업했다. 졸업 후 ‘진아건축’과 ‘공간사’를 거치며 수련하였다. 세계적 거장이자 현대 건축의 아버지인 핀란드 건축가 알바 알토(Aalvar Aalto)에게 사사하여 알토풍의 건축을 해왔다. 현재는 서인건축의 대표로,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한결같이 사람과 자연에 초점을 맞춘 공간을 창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서인건축 초기에 의뢰받은 소망교회 건축을 시작으로 2019년 광화문에 자리한 새문안교회를 준공하기까지 150개 이상의 교회 설계를 수행했다.새문안교회 건축으로 AMP(Architecture Master Prize)를 수상한 바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서울장로회종합관, 예수소망교회, 모새골성서연구소, 더사랑교회, 한소망비전센터, 아천동 시퀀스, 평창동 차경제, STAY B 호텔, 유경빌딩, 제일빌딩 등이 있다.

최동규의 다른 상품

사유의 건축

사유의 건축

13,320 (10%)

'사유의 건축'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원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원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민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건축대학원을 졸업하고 (주)원도시건축, 정림건축을 거쳐 2001년부터 지금까지 건축사사무소 노드NODE를 이끌어오고 있다. 또한 경기도 광주시 도시경관 및 건축디자인 상임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지렁이와 같은 순적인 기능의 건축을 하고자 한다. 자연과 사람, 도시와 건축, 건축과 사람, 그리고 그 경계에서 관계들이 만들어내는 것을 탐구하고 건축으로 실천하는 것이 건축가로서의 건축의 지향점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퇴촌 지렁이집,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청사, 남양주 평내동성당, 청평도서관, 마음의 집, 막걸리와 바꾼 집, 평촌 베스티움타워, 푸른숲컨테이너교실, 하동 고궁호텔, 음성 가금연구소, 옥스필드클럽하우스, 바람의 어린이집 등이 있다. 지렁이집은 2013년 농어촌건축대전에서 준공부문 본상을 수상하였다 .

저 : 구승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구승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목원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아람광장에서 실무경험을 쌓았다. 현재 스튜디오 꾸씨노Studio Koossino를 운영하고 있으며 배재대학교, 인덕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심성이라는 작은 소통에서 건축의 진정성을 찾고자 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효재, 솔리드 호텔, 살림출판사 사옥, 한스갤러리, 노랑갤러리, 성북동 미 대사관저, 산다화원, 단양루, 정정루, 청경루, 초향루 등이 있다. 일본 동경 U갤러리와 SPACE/ANNEX에서 여섯 번의 큐빅드로잉 전을 기획, 전시했고, 큐빅크로키를 화두로 건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저 : 우경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우경국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주)예공아트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초빙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건축가협회 명예이사이자 헤이리 아트밸리 프로젝트 21 및 파주 북시티 섹터 건축가이기도 하다. 그는 ‘건축은 인간을 담는 그릇’이라고 생각하며, 건축물에 인간을 어떻게 담을 것인가, 그 안에 담긴 사람이 어떤 행위와
사고를 하게 하고 무엇을 느끼게 해야 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몽학재와 평심정, 아크로스 빌딩, MOA+시경당, 백순실미술관, 한양 아고라 등이 있고, 한국건축문화대상(2회), 강구조작품상, 한국건축가협회상(4회)), 대한건축학회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영국, 프랑스 등에서 강연 및 전시를 했으며, 2008년에는 베니스 비엔날레 초청전시를 했다. 또한 그가 건축한 헤이리 MOA는 ‘죽기 전에 꼭 보아야 할 세계 건축 1001(영국 유니버스사)’에 선정되었다.

저 : 김승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승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김승회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1989년 미시건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졸업 후에는 시카고 SOM과 서울건축에서 실무를 익혔다. 1995년 건축사사무소 경영위치를 개소하여 작업을 해왔으며,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건축을 ‘삶을 생성하는 장치’라고 말한다. 공사 일정을 맞춰야 하고 건축주의 요구를 받아들여야 하며, 시공을 끌어가야 하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 빼어난 결과를 만들어내는 게 건축가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이우학교, 세계장신구박물관, 롯데부여리조트, 문학동네사옥, 이화외고 비전관, 양평주택, 정선군보건소, 서울대 환경대학원, 영동교회 등이 있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를 비롯해 보스턴, 도쿄, 베를린, 바르셀로나 등에서 전시회를 가졌다. 김수근 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건축가협회상, 서울시건축상, 건축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김승회의 다른 상품

교육혁신의 시대 배움의 공간을 상상하다

교육혁신의 시대 배움의 공간을 상상하다

15,300 (10%)

'교육혁신의 시대 배움의 공간을 상상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리우지아쿤

리우지아쿤

18,000 (10%)

'리우지아쿤' 상세페이지 이동

주택, 삶의 형식을 찾아서  김승회

주택, 삶의 형식을 찾아서 김승회

14,250 (5%)

'주택, 삶의 형식을 찾아서 김승회' 상세페이지 이동

시간을 짓는 공간

시간을 짓는 공간

15,300 (10%)

'시간을 짓는 공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억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억중
관심작가 알림신청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는 이유로 건축과에 진학했지만, 거리에 화염병이 날아들던 시절 탓에 수업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하고 엉겁결에 학사모를 쓰고 말았다. 그러던 어느 날 뜻밖에 찾아온 행운으로 유학길에 오르게 되었고, 난생 처음 넓은 세상 속에 벌거벗은 듯 내던져진 자신을 바라보면서 부끄러움을 알았다. 손재주와 잔머리로 설쳤던 과거를 반성하고 가난한 마음으로 보냈던 6년의 유학 생활 동안 ‘생각을 짓는 것이 곧 건축’이라는 깨달음을 얻었다. 문학이라는 새로운 창을 통해 건축을 바라보게 된 것도 그 무렵이었다. 벼랑 끝 유학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와서는 후학을 가르치는 행복을 얻었다. 오늘도 그는 책 내음 가득한 작업실에 앉아 ‘하늘과 땅과 사람 사이의 인연을 맺어주는 집다운 집의 진면목’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공주 어사재, 논산 사미헌, 광주 사가헌, 논산 애일헌, 대덕아주미술관, 대전 엑스포 시민광장 무빙쉘터 등이 있다. 개인전 <기호의 힘>, <모델하우스>, <애물단지>, <愛物과 碍物 사이>를 열었으며, 저서로 《건축가 김억중의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가 있다.

저 : 구만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구만재
관심작가 알림신청
프랑스 아틀리에 페닝겐Atelier Penningghen에서 기초 예술학을 수료하고 파리 고등 실내건축학교E.S.A.G를 졸업한 프랑스 공인 실내건축사C.F.A.I. 이다. 프랑스 AAR & A, BERTHET - POCHY에서 실무를 익히고 현재 르 씨지엠 대표이자 가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바로 관계성이다. 건물을 만드는 작업에 앞서 주변 환경과 건축의 조건, 건축주와 건축가, 건축주와 건물, 건축주 상호 간의 관계에 대해 다방면의 고찰을 중요시하는 그는 공간설계와 디자인을 맡으면 건축주의 삶을 먼저 관찰한다.
주요작품으로는 메종maison 351, 메종maison 5911, 메종maison 101 등이 있다.

저 : 최홍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홍종
관심작가 알림신청
명지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건축공학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중원건축을 거쳐 (주)건영 설계실에서 근무했으며, 1996년에 (주)건축동인 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해 지금까지 운영 중이다. 또한 서울특별시 종로구 건축위원 및 전남 여수시 건축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새로운 세기의 동양건축문화권의 확장과 패러다임 구축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가시적인 것의 건축화를 테마로 작업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주복동 모여살기, 부농루, 대우 엠버스 카운티, 중국 단동인민신도시 개발, 제주 빅토르 관광휴양 단지 등이 있다. 전시회 <주복동 모여살기>, <인사동 동덕아트갤러리>를 갖기도 했다.

저 : 민규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민규암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미국 MIT 건축대학원을 졸업하고, 6년간 일건건축사무소에서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토마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하여 운영 중이다. 그는 고정된 틀에 묶여 있지 않은 유연한 사고를 자랑한다. 그의 건축물에는 한국의 전통가옥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나 이슬람의 건축양식이 조금씩 섞여 있다. 그가 생각하는 건축물은 모든 문화와 그 본질을 담아내는 것이다. 또한 감성, 환경, 기능, 질감 등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함축된 공간이 좋은 건축물이라 생각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한호재와 첨성재, SS하우스, 펜션 생각 속의 집 등이 있다. 1998년 한호재로 건축문화대상, 건축가협회상, 올해의 동아시아 건축가협회 주택부문 특별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생각 속의 집》이 있다.

편 : 박성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박성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공간과 건축에 관한 온갖 것을 기록하고 기획한다. 책, 전시, 영상, 교육, 투어는 물론이고, 공간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만든다. 디자인과 설계는 절대 안 한다. 스페인 유학 후 건축 잡지 〈공간SPACE〉 편집장으로 일했고, 지금은 독립하여 사이트앤페이지(site & page)에서 장소와 책에 관한 낭만적 상상을 일삼고 있다. 부업으로 친구들과 프로젝트그룹 초현실부동산도 운영한다. 세상과 소통하는 실천적 도구로서 건축을 애지중지 품에 안고 산다. 쓴 책으로 『모던스케이프』 『언젠가 한 번쯤, 스페인』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문화를 짓다』(공저) 등이 있다.

박성진의 다른 상품

모든 장소의 기억

모든 장소의 기억

12,150 (10%)

'모든 장소의 기억'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를 짓다

문화를 짓다

14,250 (5%)

'문화를 짓다' 상세페이지 이동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16,200 (10%)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