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8명)

이전

저 : 김은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은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부산대학교 강사. 미디어, 젠더, 대중문화, 소셜미디어 광고, PR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증언과 저널리즘: [JTBC 뉴스룸]의 성폭력 피해자 생방송 인터뷰 분석」(2019), 「노인들의 SNS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카카오톡을 중심으로」(2019)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미디어 격차』(한울, 2021), 『한국 에로비디오의 사회사-애마부인에서 소라넷까지』(컬처룩, 2018), 『여성학 강의-일곱 번째 이야기』(신정, 2019) 등이 있다.

김은진의 다른 상품

미디어 허스토리 3.0

미디어 허스토리 3.0

28,000

'미디어 허스토리 3.0'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격차

미디어 격차

28,500

'미디어 격차' 상세페이지 이동

몸들의 유니버스 너머

몸들의 유니버스 너머

31,500 (10%)

'몸들의 유니버스 너머'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연결(불)가능한 신체의 역사

연결(불)가능한 신체의 역사

28,800 (10%)

'연결(불)가능한 신체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격차

미디어 격차

39,000

'미디어 격차'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에로 비디오의 사회사

한국 에로 비디오의 사회사

22,000

'한국 에로 비디오의 사회사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사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사강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연구위원이다.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나에게 혜화역 시위는 무엇이었나, 2030 여성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중심으로”(2021), “국가 페미니즘, 여성가족부, 여성혐오”(2019) 등이 있다.

정사강의 다른 상품

미디어 허스토리 3.0

미디어 허스토리 3.0

28,000

'미디어 허스토리 3.0'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희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희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로 문화 연구, 미디어와 젠더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TBS 교통방송 PD를 거쳐 국가인권위원회 공보담당관실에서 일했다. 책으로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디지털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TV 광고의 어린이?청소년 재현 문제와 대안적 사유”(2021),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문화콘텐츠의 여성주의적 비평의 토대”(2022) 등이 있다.

한희정의 다른 상품

디지털 소양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디지털 소양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6,600 (5%)

'디지털 소양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문해력의 힘

미디어 문해력의 힘

16,200 (10%)

'미디어 문해력의 힘'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허스토리 3.0

미디어 허스토리 3.0

28,000

'미디어 허스토리 3.0' 상세페이지 이동

들뢰즈 이후 페미니즘

들뢰즈 이후 페미니즘

18,000 (10%)

'들뢰즈 이후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17,000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25,000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25,000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지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지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 박사과정이다.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2018)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방송 뉴스가 재현하는 성범죄 피해 여성 이미지에 대한 키프레임 분석: 가상물, 자료화면을 통한 피해자다움의 재생산과 익명-실명 보도의 차이를 중심으로”(2021),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중심으로”(2018) 등이 있다

백지연의 다른 상품

미디어 허스토리 3.0

미디어 허스토리 3.0

28,000

'미디어 허스토리 3.0'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25,000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권경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경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민대학교 미디어·광고학부 겸임교수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에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디지틀조선일보의 문화섹션 담당자(2000~2003), CJ 인터넷 문화포털 기획자(2003),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2017~2019). 이후 칸 국제 광고제 한국 사무국(2008~2010, 2019~) 스태프로 일하는 중이다. 주요 저서로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2022), 『아세안 및 한·중·일 미디어 리포트 2019』(공저, 2019), 『글로벌 미디어 산업 지형 변화』(공저, 2017) 등이 있다. 박사논문 제목은 『문화소비와 사회연결망: 의사소통효과 관점에서』(2017)이다.

권경은의 다른 상품

취향과 관계

취향과 관계

12,000

'취향과 관계' 상세페이지 이동

취향과 관계 (큰글자책)

취향과 관계 (큰글자책)

25,000

'취향과 관계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남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남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 교수로, 디지털 미디어, 저널리즘, 젠더 연구를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상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거버넌스 등과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을 썼다. 책으로는 《SNS 검열》,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다.

홍남희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18,000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상세페이지 이동

편향된 기술 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편향된 기술 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24,000

'편향된 기술 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언론정보학보 113호

한국언론정보학보 113호

25,000

'한국언론정보학보 113호'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

16,200 (10%)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37,000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5,80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

SNS 검열 큰글씨책

SNS 검열 큰글씨책

20,000

'SNS 검열 큰글씨책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동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동후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뉴욕대학교 미디어생태학 프로그램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디어생태학 이론과 ‘뉴미디어’ 문화를 연구하고 있으며, 인간·미디어, 문화·미디어 관계에 관심이 많다. 주요 저서로 『모바일미디어환경과 인간』, 『월터 옹』, 『커뮤니케이션학의 확장』(공저, 2016), 『모바일과 여성』(공저, 2015), 『미디어 생태이론』(2013), 『지금, 여기, 여성적 삶과 문화』(공저, 2013), 『TV 이후의 텔레비전』(공저, 2012), 『SNS 혁명의 신화와 실제』(공저, 2011) 등이 있고, 역서로 『미디어 생태학 사상』(2008) 등이 있다. 논문으로 「리터러시에 관한 매체 생태학적 고찰」(2017), 「‘뉴’미디어의 이해: 미디어 생태학의 지적 실천과 함의」(2015) 등이 있다. 최근에는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의 이해를 돕는 저서를 준비하면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인간, 미디어-미디어의 복합적 관계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이동후의 다른 상품

포스트텔레비전

포스트텔레비전

24,000

'포스트텔레비전'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24,000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생태계

미디어 생태계

18,000

'미디어 생태계'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29,000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상세페이지 이동

월터 옹 큰글씨책

월터 옹 큰글씨책

25,000

'월터 옹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큰글씨책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큰글씨책

20,000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진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진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분야를 가르치고 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오하이오주 소재 켄트 주립대학과 클리블랜드 주립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미디어 메시지의 사회심리적 영향,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와 감정, 문화비교 커뮤니케이션, 집단과 정체성 등의 영역에 국내외 논문을 출판했다. 2020년부터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저널 부편집장을 맡고 있다.

김진희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포항지진 그 후

포항지진 그 후

28,000

'포항지진 그 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윤현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현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남대학교 글로벌문화학부 한영문화콘텐츠전공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HK연구교수로 근무했고 문화콘텐츠, 디지털 스토리텔링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2020), 주요 논문으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2016), “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관한 시론”(2021) 등이 있다

윤현정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37,000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5,80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용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용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디어 사회 이론 연구자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다. 미디어, 도시, 위험 사회 분야를 연구한다. 연세대학교 ‘도시커뮤니케이션센터’의 센터장이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아이오아대학교와 앨라배마대학교에서 교수를 지냈다. 책으로는 《포스트매스미디어》, The Communication Ecology in the 21st Century Urban Communities, The Candlelight Movement,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 《미디어와 공동체》(공저), 《뉴미디어와 이주민》, 《논문, 쓰다》 등이 있다.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서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용찬 의 다른 상품

위험, 사회, 미디어

위험, 사회, 미디어

25,000

'위험, 사회, 미디어'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매스미디어

포스트매스미디어

32,000

'포스트매스미디어'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포항지진 그 후

포항지진 그 후

28,000

'포항지진 그 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서미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미혜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콜럼버스 소재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알바니 소재 뉴욕주립대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통미디어와 뉴미디어 이용의 정치효과, 건강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개인의 삶과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서미혜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포항지진 그 후

포항지진 그 후

28,000

'포항지진 그 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차유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차유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미국 오클라호마대 응용사회연구센터의 달리 연구소(DaLi Lab) 선임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지원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활동을 병행 중이다. 서강대에서 신문방송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대 언론정보학과에서 2년간 박사후연수 과정을 마쳤고,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을 두 차례 받았다.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총 20여 편의 논문을 실었으며, <한국방송학보> 제31대 및 32대 편집위원회 편집위원· 한국언론학회 제48대 집행부 기획이사를 지냈다.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전공 내 세부 관심분야 및 소속에 제한을 두려 하지 않지만, 주로 광의에서의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디지털 미디어 심리' 분과 간 교차로에 선 연구자라 불릴 수 있다.

차유리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오현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현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정책팀 선임연구원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라이선스 뮤지컬 변용의 맥락과 그 의미: 뮤지컬 <삼총사>를 중심으로”(공저, 2020), “아이돌의 정동노동(affective labor)과 노동윤리: 리얼리티 오디션 쇼 <프로듀스101>을 중심으로”(공저, 2018) 등이 있으며, 저서로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공저, 2016)가 있다.

오현주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선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선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이화여대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 영상콘텐츠와 영상미디어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방송제작사 <나노비전> 대표, 한국독립피디협회 부이사장,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편집이사를 역임했다. 스트리밍 서비스, OTT,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현상에 대해 글쓰기와 강의를 하고 있다.

최선영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방송영상미디어 새로 읽기

방송영상미디어 새로 읽기

28,000

'방송영상미디어 새로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정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정남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게이로드 전략커뮤니케이션학과 석좌교수다. 메릴랜드대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퍼듀대 정년보장 교수직을 거쳐, 달리 연구소(The Debiasing and Lay Informatics: DaLi Lab)를 설립하고 공중행위의 특성과 사회 및 조직 간 상호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CA), 미국의 커뮤니케이션학회(NCA)·PR협회(PRSA) 등 유수 학회에서 20여 차례 우수 논문상을 받았고, 2012년 이후에만 SSCI 등재지에 80여 편의 논문을 실었다. PR학의 핵심이론인 그루닉(J.E. Grunig)의 공중상황 이론(Situational Theory of Publics)을 시조로 삼은 '문제해결 상황 이론(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STOPS)'은 그루닉과 공동 창시하고 발전시킨 대표 이론이다.

김정남의 다른 상품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46,000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반옥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반옥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본부 미래정책팀 선임연구원이다. 미디어 이용자 연구를 다수 수행하였으며, OTT 등장 이후 미디어 지역성 정책에 대한 주제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콘텐츠·미디어 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 연구를 수행 중이다.

반옥숙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문현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현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육군사관학교 영어과 조교수다. 연구분야는 20세기 미국 전쟁사와 젠더학이다. 육사 영문학 학사 및 미국 조지워싱턴대학 미국학 석사를 취득한 이후 2021년에 윌리엄앤메리대학 미국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주제는 Constructing the Modern Warrior: US Army and Gender이다. 최근 저서로는 The Routledge Companion to Masculinity in American Culture and Literature(공저, 2021)와 Cinematic Women, From Objecthood to Heroism(공저, 2019)이 있다.

문현영의 다른 상품

미디어 허스토리 3.0

미디어 허스토리 3.0

28,000

'미디어 허스토리 3.0'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보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보라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을 졸업하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동노동, 인정체계, 연대 네트워크, 지식생산 등 온라인 공간에서 발견되는 현상의 문화적 의미를 길어 올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건강과 먹거리를 둘러싼 미디어 지식의 문제(「건강 먹거리 담론의 수용에 관한 연구」), 팬 문화 내부의 역학과 사회적 의미(「20대 여성 팬덤의 감정 구조와 문화 실천」), 소셜미디어상의 이미지가 생산되는 맥락(「SNS상의 이미지 생산과 의미에 관한 연구」) 등에 대한 논문을 썼다. 함께 쓴 책으로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2018), 『The Korean Wave: Evolution, Fandom, and Transnationality』(2017)가 있다.

강보라의 다른 상품

MBC 60년, 영광과 도전

MBC 60년, 영광과 도전

29,000

'MBC 60년, 영광과 도전'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2021 한류백서

2021 한류백서

19,000

'2021 한류백서' 상세페이지 이동

MBC 60년, 영광과 도전

MBC 60년, 영광과 도전

39,000

'MBC 60년, 영광과 도전' 상세페이지 이동

2020 한류백서

2020 한류백서

19,000

'2020 한류백서'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37,000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5,80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