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조오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오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1932년 경남 밀양 출생으로, 1939년 입산하였다. 1968년 석암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 수지하였으며 1968년 [시조문학]으로 등단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1977년 신흥사 주지를 역임하였고, 1997년 만해상 제정하였다. 1998년 백담사 무금선원 설립하였으며, 2011년 신흥사 조실 추대하였다. 2013년 강원 인제군 만해마을을 동국대 기증하였으며, 2015년 조계종 원로의원을 맡았다. 정지용문학상, 공초문학상, 한국문학상 수상 경력이 있으며, 2018년 5월 27일 입적했다. 펴낸 시집으로는 『심우도』1979, 『절간이야기』2003, 『아득한 성자』2007, 『마음하나』 2012가 있다.

조오현의 다른 상품

나에게도 날개가 있다면

나에게도 날개가 있다면

13,500 (10%)

'나에게도 날개가 있다면' 상세페이지 이동

시인이여, 깨달음을 노래하라

시인이여, 깨달음을 노래하라

13,500 (10%)

'시인이여, 깨달음을 노래하라'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가 행복해지려면 손잡고 함께 올라라

우리가 행복해지려면 손잡고 함께 올라라

12,600 (10%)

'우리가 행복해지려면 손잡고 함께 올라라' 상세페이지 이동

말한 바 없이 말하고 들은 바 없이 듣다

말한 바 없이 말하고 들은 바 없이 듣다

18,000 (10%)

'말한 바 없이 말하고 들은 바 없이 듣다' 상세페이지 이동

열흘간의 대화

열흘간의 대화

13,500 (10%)

'열흘간의 대화 ' 상세페이지 이동

내 삶은 헛걸음

내 삶은 헛걸음

13,500 (10%)

'내 삶은 헛걸음 ' 상세페이지 이동

마음 하나

마음 하나

5,400 (10%)

'마음 하나' 상세페이지 이동

시와 그림으로 보는 현대시 100년

시와 그림으로 보는 현대시 100년

13,500 (10%)

'시와 그림으로 보는 현대시 100년' 상세페이지 이동

그림 : 강행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그림 : 강행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평생을 불교인으로 살았으며 문학과 함께 한 화가.

화가로서의 삶과 시인으로서의 사색을 조화시키며 마음의 고향같은 불교의 마음수행을 전하는 화가 시인. 1947년 전라남도 무안에서 태어났으며 필명은 윤산, 여여재이다.

한때 출가해 성직에 몸담았던 강행원은 청화(淸華)선사를 계사 법사로 한 문하에서 수행하였다.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미술교육을 전공했으며 대한민국미술대전(국전) 심사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화억의 길을 걸으며 개인전 19회/국제전과 그룹 및 초대전 약 400여회를 참여했다. 성균관대학교와 단국대학교에서 강의를 했다.

고 권일송 선생 특별추천에 의해 포스트모던으로 문단에 나오게 되어 한국문학예술상/ 민족정기예술상, 포스트모던 담론상/ 자랑스러운 무안인상 등을 수상하였다. 미술 이론에 관심이 높아 꾸준히 연구에 매진하면서 「선가사상과 문인화에 관한 연구」, 「석도사상과 화론」, 「문인화의 역사적 맥락과 오늘의 방향 모색」, 「추상미술의 배경과 정신」등 20여 편에 이르는 논문을 썼다. 저서에 중국화론을 다룬 『문인화론의 미학』이 있으며, 『금바라꽃 그 고향』, 『그림자 여로』와 같은 시집을 펴내기도 했다.

시화집으로는 ‘시 속에 그림 있고 그림 속에 시 있네’, 화집으로는 ‘서문당 30인 선 강행원화집 (자연과 사람들)’이 있다. 미술이론 저서로는 『문인화론의 미학/ 그림에 새긴 선비정신 한국문인화사』등을 집필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경희대교육대학원/ 단국대학교 조형예술대학원 등에서 강의도 하였다.

참여연대 자문위원, 가야미술관 관장, 사)민족미술협의회 대표, 한국불교 미술인연합회 회장, 법보신문 시론위원/ 한국타임즈 논설위원 등 서울시인협회 부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포스트모던 시문학회 회장, 동아시아 인문화중심미학포럼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강행원의 다른 상품

금까마귀 들락날락

금까마귀 들락날락

12,600 (10%)

'금까마귀 들락날락'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가 행복해지려면 손잡고 함께 올라라

우리가 행복해지려면 손잡고 함께 올라라

12,600 (10%)

'우리가 행복해지려면 손잡고 함께 올라라' 상세페이지 이동

강행원

강행원

9,000 (10%)

'강행원'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문인화

한국문인화

23,750 (5%)

'한국문인화'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문인화 윤산 강행원

한국 문인화 윤산 강행원

18,000 (10%)

'한국 문인화 윤산 강행원' 상세페이지 이동

문인화론의 미학

문인화론의 미학

10,800 (10%)

'문인화론의 미학'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