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에도가와 란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에도가와 란포
관심작가 알림신청
Rampo Edogawa,えどがわ らんぽ,江戶川 亂步,히라이 타로平井 太郞
일본을 대표하는 추리소설가로서 일명 ‘추리소설의 아버지’로 불린다. 본명은 히라이 타로(平井太郞)이지만 에드가 앨런 포의 이름에서 따온 필명을 평생 사용하였다. 1894년 미에 현에서 태어났다. 초등학생 때 어머니가 번안된 추리 소설을 읽어준 것을 계기로 추리 소설에 빠졌다. 1914년 처음으로 에드거 앨런 포와 코난 도일의 소설을 접하고 심취하였다.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후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다. 서점 경영과 잡지 출간에 실패한 뒤 1923년 신청년에 『2전짜리 동전』을 발표하며 추리작가로 데뷔했다.

1925년 일본을 대표하는 탐정 캐릭터 ‘아케치 고고로’를 탄생시킨 추리 소설 및 괴기, 환상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발표했다. 전쟁 기간 동안 예술에 대한 검열이 거세지자 [소년 탐정 시리즈]로 큰 인기를 얻었다. 눈부신 걸작 단편들을 다수 발표하여 일본 추리소설계의 유명 작가가 되었지만, 한때 붓을 꺾고 방랑하기도 하고 반전 혐의로 검열에 걸려 전면삭제를 당하기도 했다. 전후에는 일본탐정작가클럽을 창설하고 잡지를 발간하며 강연과 좌담회를 개최하는 등 추리소설의 발전과 보급에 큰 공헌을 했다. 1947년 ‘추리 작가 클럽’을 만들고, 1954년 추리 소설 문학상인 ‘에도가와 란포 상’을 만드는 등 일본 추리 소설을 대표하는 인물이 되었으며, 그의 환갑을 맞아 탄생한 에도가와 란포상은 지금까지도 일본의 추리소설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이며, 추리작가의 등용문이 되고 있다.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은 고단샤講談社가 출판하고 있으며, 38회부터는 후지TV가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하고 있다. 일본 추리소설 문단의 중심적인 인물로서 추리소설의 부흥을 위해 헌신한 것으로 평가된다. 1965년에 뇌출혈로 사망했다.

작품으로 『빨간 방 赤い部屋』, 『D언덕 살인사건(D坂の殺人事件)』(1925), 『심리시험(心理試)』(1925), 『음울한 짐승(陰)』(1928), 『황금가면(金面)』(1930) 및 소년 탐정이 활약하는 시리즈물 『괴도 이십가면(怪人二十面相)』(1936) 등이 있다.

역 : 이성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성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일본어학(일본어문법·일본어경어·일본어교육) 전공으로, (현) 인하대학교 교수, (현) 한국일본학회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 KBS 일본어 강좌 「やさしい日本語」 진행, (전) 한국일본학회 회장(2007.3.~2009.2.)의 경력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했고, 일본 쓰쿠바(筑波)대학 대학원 문예·언어연구과(일본어학) 수학했다. 저서로 『도쿄일본어 1, 2, 3, 4, 5』, 시사일본어사. (1993~1997), 『現代日本語연구 1, 2』, 不二文化社. (1995)(공저), 『仁荷日本語 1, 2』, 不二文化社. (1996) (공저), 『홍익나가누마 일본어 1, 2, 3』, 홍익미디어. (1996) (공저), 『홍익일본어독해 1, 2』, 홍익미디어. (1997) (공저), 『도쿄겐바일본어 1, 2』, 不二文化社. (1998~2000), 『現代日本語敬語の?究』, 不二文化社. (1999) (공저), 『日本語表現文法?究 1』, 不二文化. (2000), 『클릭 일본어 속으로』, 가산출판사. (2000) (공저), 『실용日本語 1』, 가산출판사. (2000) (공저), 『日本語 受動文 ?究의 展開1』, 不二文化. (2001), 『도쿄실용일본어』, 不二文化 (2001) (공저), 『도쿄 비즈니스 일본어1』, 不二文化. (2003), 『日本語受動文の?究』, 不二文化. (2003), 『日本語 語彙論 구축을 위하여』, 不二文化. (2003), 『일본어 어휘Ⅰ』, 不二文化. (2003), 『日本語受動文 用例연1』, 不二文化. (2003) (공저), 『日本語受動文 用例?究Ⅱ』, 不二文化. (2003), 『일본어 조동사 연구Ⅰ』, 不二文化. (2004) (공저), 『일본어 조동사 연구Ⅱ』, 不二文化. (2004) (공저), 『일본어 문법연구 서설』, 不二文化. (2005), 『일본어 조동사 연구Ⅲ』, 不二文化. (2006) (공저), 『현대일본어 경어의 제문제』, 不二文化. (2006) (공저), 『현대일본어 문법연구Ⅰ』, 시간의물레. (2006) (공저), 『현대일본어 문법연구Ⅱ』, 시간의물레. (2006) (공저), 『현대일본어 문법연구Ⅲ』, 시간의물레. (2006) (공저), 『현대일본어 문법연구Ⅳ』, 시간의물레. (2006) (공저), 『일본어 의뢰표현Ⅰ - 肯定의 依賴表現의 諸相 - 』, 시간의물레. (2007), 『일본어 의뢰표현 - 부정의 의뢰표현의 제상 - 』, 시간의물레. (2016) , 『신판 생활일본어』,시간의물레. (2017), 『신판 비즈니스일본어1』, 시간의물레. (2017), 『신판 비즈니스일본어2』, 시간의물레. (2017) 외, 논문 다수가 있다.

역 : 오현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오현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吳晛榮
츠쿠바대학 응용언어학과 졸업, 계명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
(현)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언어학 박사
저서 및 논문:韓?人日本語?習者の初?面接?場面における自己開示の?究』(2022),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자기개시의 남녀차 회화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일본어교육연구』(2022), 「初?面?話における沈?の男女差について」,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21), 「初?面?話における沈?について -韓?人日本語?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の?話デ-タを中心に-」, 『한국일어일문학회』(2021), 「自己開示と共起する「笑い」について-韓?人日本語?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の自然?話を?象に-」,『한국일본어문학회』(2020)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