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마츠오 바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마츠오 바쇼
관심작가 알림신청
Basho Matsuo,まつお ばしょう,松尾 芭蕉,마쓰오 바쇼, 무네후사(宗房)
일본의 하이쿠 작가, 서민문화가 꽃을 피웠던 17세기 에도 막부 시대 대표 시인. 아명 긴사쿠(金作), 본명 무네후사(宗房). 호는 처음에 도세이(桃靑)였다가, 후에 바쇼로 했다. 일본 에도시대(1603∼1868) 전기에 이가의 우에노에서 태어나 하이쿠를 대성한 유명한 인물이다.

1644년 지금의 미에현 이가우에노에서 농민이나 다름없는 가난한 하급 무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바쇼는 하이쿠를 접하면서 시문에 관심을 지닌 무사나 문인들과 교유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1662년 무렵 기타무라키긴의 데이몬 하이카이(俳諧: 하이쿠, 렌쿠의 총칭)를 배우고 본명인 무네후사(宗房) 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다.1666년 요시타다가 죽자, 교토에 가서 고전을 배우고 1672년에 에도로 가서 담림 하이카이를 배웠다. 스물아홉 살에 고향을 떠나 당시 새로운 도읍지였던 에도에 정착하였고, 인생의 전기를 맞아 하이쿠를 읊고 가르치면서 세상에 나오기 시작했다. 1680년 에도의 후카가와의 바쇼암(芭蕉庵)에 살면서 호를 바쇼로 바꾸고 독특한 풍의 하이카이를 만들었다. 1684년에는 에도에서 고향인 이가를 오고가며 기행문과 하이카이집을 편찬하였다. 서른일곱 살 젊은 나이에 돌연 모든 것을 내던지고 암자에 은거하며 고전을 탐독한다. 마흔한 살에 그때까지 고전에서 얻은 감동을 하이쿠에도 담아내고자 방랑의 길에 나선다. 여행길에서 보고 느낀 것을 중심으로 소박한 서민들의 삶과 자연을 노래했으며, 최소한의 상징적인 언어와 여백으로 무한한 우주를 창조하였다. 1687년 가시마, 스마, 아카시, 1688년에는 사라시나, 1689년에는 호쿠리쿠를 여행하며 바쇼풍의 하이쿠를 완성하게 된다. 1694년 나가사키로 가던 도중 “방랑에 병들어 꿈은 마른 들판을 헤매고 돈다.”라는 마지막 시를 남기고 오사카에서 객사했다.

그는 한적하고 고담한 경지에서 자연과 일체가 되어 읊는 하이쿠를 즐겨 지었다. 또한 변화하는 것 속에서 시대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을 함께 읊는 '불역유행(不易流行)'을 근본이념으로 삼았다. 바쇼의 문학은 여정을 중시한 중세적인 상징미를 근세적인 서민성 속에 살린 것으로 평가 받으며, 지금도 많은 이들이 바쇼의 방랑 여정을 따라 그의 시를 음미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에즈라 파운드, 옥타비오 파스 및 비트 제너레이션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고, 하이쿠의 예술성을 높인 공적을 인정받고 있다.

마츠오 바쇼의 다른 상품

바쇼 하이쿠 선집

바쇼 하이쿠 선집

11,900

'바쇼 하이쿠 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바쇼의 하이쿠

바쇼의 하이쿠

8,400

'바쇼의 하이쿠' 상세페이지 이동

바쇼의 하이쿠 기행 3

바쇼의 하이쿠 기행 3

6,600

'바쇼의 하이쿠 기행 3' 상세페이지 이동

바쇼의 하이쿠 기행 1

바쇼의 하이쿠 기행 1

7,680

'바쇼의 하이쿠 기행 1' 상세페이지 이동

바쇼의 하이쿠 기행 2

바쇼의 하이쿠 기행 2

6,600

'바쇼의 하이쿠 기행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마사오카 시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마사오카 시키
관심작가 알림신청
Shiku Masaoka,まさおか しき,正岡 子規
하이쿠시인, 수필가. 근대 하이쿠 예술을 집대성한 인물. 시키 혹은 호토토기스라 불리는 두견새는 목에서 피를 토하도록 운다는 중국설화 때문에 폐결핵을 상징하는 새가 됐다. 대학시절 폐결핵이 발병한 이래 줄곧 병상을 멀리 떠나지 못했던 그는 필명을 시키라 짓고 하이쿠 연구와 창작에 몰두했다. 그가 만든 하이쿠 잡지 『호토토기스』는 하이쿠시인을 위한 창작의 장이 됐고 시키와 평생의 벗이었던 소세키의 작품이 처음 발표되기도 했다. 수필집 「병상육척」은 고통스런 일상을 위트 있고 아름다운 문체로 써낸 산문으로 이름이 높다.

마사오카 시키의 다른 상품

저 : 고바야시 잇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고바야시 잇사
관심작가 알림신청
Issa Kobayash,こばやし いっさ,小林 一茶
고바야시 잇사는 일본 에도 시대에 활약했던 하이카이시(俳諧師, 일본 고유의 시 형식인 하이카이, 즉 유머러스한 내용의 시를 짓던 사람)이다. 본명은 고바야시 미타로(小林?太?), 배호(俳?)를 잇사(一茶)라 하였다. 열다섯 살에 고향 시나노를 떠나 에도를 향해 유랑 길에 올랐다. 그 과정에서 소바야시 지쿠아로부터 하이쿠 등의 하이카이를 배웠다. 잇사가 서른아홉이 되었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계모와 유산을 놓고 다투는 등 어려서부터 역경을 겪은 탓에 속어와 방언을 섞어 생활감정을 표현한 구절을 많이 남겼다.

저 : 요사 부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요사 부손
관심작가 알림신청
다니구치 노부아키
1716~1784. 에도 시대의 하이쿠 시인. 본명 다니구치 노부아키. 요사 부손은 고바야시 잇사, 마쓰오 바쇼와 함께 하이쿠의 3대 거장으로 분류된다. 일본식 문인화를 집대성한 화가이기도 하다. 1716년 오사카의 부유한 농가에서 태어나, 20세에 그림과 하이쿠를 배우기 위해 에도로 갔다. 1742년 스승인 하야노 소아(早野宗阿)가 세상을 뜬 후, 에도를 떠나 유랑의 길로 접어들었다. 약 10년에 걸친 방랑 생활을 접고, 1757년 교토로 와 많은 작품을 남겼다. 1783년 병으로 세상을 뜨면서, 생전의 희망대로 마쓰오 바쇼 옆에 묻혔다. 《부손 칠부집》, 《야한라쿠》등을 남겼다.

저 : 가와히가시 헤키고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가와히가시 헤키고토
관심작가 알림신청
河東碧梧桐
에히메현 출신으로 중학교 때부터 마사오카 시키에게 사사하며 하이쿠를 공부했다. 계절어나 정형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보다 사람에게 일어나는 일을 노래하자는 신경향 하이쿠 운동을 일으켰다. 환갑이 되던 1932년에 은퇴했고 은퇴 후에는 서예, 여행, 연구 등에 전념했다. 1937년에 사망했으며, 《하이쿠 평석》, 《삼천리》, 《신경향 구의 연구》 등을 남겼다.

역 : 오석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오석륜
관심작가 알림신청
吳錫崙
1963년생으로 충북 단양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성장했다. 시인, 번역문학가, 칼럼니스트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인덕대학교 비즈니스일본어과 교수로, 시인, 번역가, 칼럼니스트 등, 인문학 관련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약하고 있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위원이며, 문화체육관광부·한국연구재단 등, 정부 여러 부처의 심사위원이기도 하다. 동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인재개발원 주임교수를 지냈고,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 광운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등에서 일본문학과 일본어를 강의하였다. 전공은 일본 근현대문학(시)이다. 그동안 펴낸 저서 및 역서로, 시집 『파문의 그늘』(시인동네, 2018)을 비롯해, 『미요시 다쓰지三好達治 시를 읽는다』(역락, 2019), 『일본어 번역 실무 연습』(시사일본어사, 2013), 『일본 하이쿠 선집』(책세상, 2006), 『풀 베개』(책세상, 2005), 『미디어 문화와 상호 이미지 형성』(九州大學 出版部, 2006, 일본어판, 공저), 『도련님』(가지 않은 길, 2013), 『일본 단편소설 걸작선』(2009, 행복한 책읽기), 『미요시 다쓰지 시선집』(小花, 2005), 『2번째 키스』(개미, 2004), 『조선 청년 역도산』(북&북스, 2004), 『일본 대표 단편선』(전 3권, 공역, 고려원, 1996), 『한국사람 다치하라 세이슈』(고려원, 1993), 『그 여자는 낮은 땅에 살지 않는다』(책나무, 1990) 등, 다수의 책을 출간하였으며, 일본 문학과 관련한 많은 논문이 있다.

오석륜의 다른 상품

미요시 다쓰지 시를 읽는다

미요시 다쓰지 시를 읽는다

27,000

'미요시 다쓰지 시를 읽는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