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2명)

이전

공저 : 이기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이기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를 나와 1986년에 《경향신문》에 입사했다. 체육부와 문화부에서 기자와 부장을 거쳤고, 지금은 문화유산 담당 전문기자로 일하고 있다. 기자생활을 한참 하고 나서는 이번엔 다른 공부에 눈길을 돌렸다. 수천 년간 땅속에 잠들어 있다가 홀연히 나타나는 유물과 유적을 실마리로 역사를 복원하는 고고학이다. 다시 대학원(한양대)에서 고고학(문화인류학)을 전공한 이유다.

그러면서 여행을 시작했다. 한반도 남부의 문화유산을 찾는 작업에서 출발한 여행은 지뢰밭과 철책으로 가로막힌 비무장지대 일원으로 이어졌다. 비무장지대가 아닌 중무장지대가 된 그곳의 유산에 넋이 나가 평생의 공부로 삼았다. 석사논문을 「비무장지대 일원 유산의 보전방안 연구」로 삼은 이유다.

저작물로는 『코리안루트를 찾아서(공저)』, 『한국사 미스터리(공저)』, 『성산 장기려』, 『아버지의 얼굴』, 『우리 큰형이야기』, 『끝없는 도전』 등이 있다. 필자의 바탕은 역시 저널리스트다. 저널리스트의 입장에서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고고학·역사학의 대중화에 한몫 거들었으면 하는 게 필자의 바람이다. 천학(淺學)이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관련 분야의 논문과 책을 공부하느라 머리를 싸매고 있다.

이기환의 다른 상품

성산 장기려

성산 장기려

10,800 (10%)

'성산 장기려' 상세페이지 이동

흔적의 역사

흔적의 역사

20,700 (10%)

'흔적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분단의 섬 민통선

분단의 섬 민통선

16,650 (10%)

'분단의 섬 민통선'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박은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박은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박사. 미시간주립대 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DMZ 평화생태공원 조성, DMZ 생물권보전지역 선정 및 관리, DMZ 일원의 지속가능발전 정책 등 DMZ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논저에 「DMZ 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 가치 추정 연구」(2010), 「DMZ 생태평화마을 조성 및 관리 방향 연구」(2012), 「DMZ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 연구」(2012), 『DMZ의 미래』(공저, 2013) 등이 있다.

공저 : 김엘리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엘리나
관심작가 알림신청
Kim Eleana
로체스터대학 시각문화인류학과 조교수. 뉴욕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의 국제입양에 관한 책 “Adopted Territory : Transnational Korean Adoptees and the Politics of Belonging(2010, Duke University Press)”을 출간했으며, 현재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NEH/SSRC International Area Studies의 지원을 받아 한반도
DMZ와 그 생태문화적 가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DMZ 관련 연구는 SINO-NK(sinonk.com)에 소개되어 있으며, 레이첼카슨센터 저널에도 실릴 예정이다.

공저 : 김지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지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학연구팀 팀장, 민속학자. 2013년 DMZ 통일촌브랜드마을 육성사업을 총괄 기획, 추진했다. 경기도문화재전문위원, 남양주·안산·수원·광주 등 시군지 편찬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수원박물관·남양주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 광주·수원·연천 향토유적위원 등을 맡고 있다. 「경기 민속지」, 「경기도 사람, 경기도 이야기」, 「용강리 마을지」, 「봉안 마을지」, 「통일촌 마을지」 등을 발간했다.

공저 : 김창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창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강원대학교 DMZ HELP 센터 소장, DMZ 메디컬 지오피아 사업단 단장, (사)한국 지오피아 연구원 원장, 국무총리실 산하 접경지역 정책심의위원. 저서에 『자연지리학 사전』(공저), 『생활과 지리』(공저), 『김창환 교수의 DMZ 지리 이야기』 등이 있다.

공저 : 서예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서예례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바나드/컬럼비아대학, 뉴욕시티대학, 프랫 인스티튜트 겸임교수. Office of Urban Terrains 실장. 서울대학교와 동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건축 석사학위를 받았다. 디자인 연구와 작업을 통해 공간 전략 생산 과정으로서 건축, 도시 설계의 사회·정치적 행위 능력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으며, 현재 남북한의 병행적 도시 계획과 공간제품을 연구하는 ‘Tactical Territories’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공저 : 소병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소병천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미국 뉴욕주 변호사. 법학박사. 환경부 규제심의위원회 위원, 환경운동연합 DMZ 및 습지위원회 위원, 대한국제법학회 상임이사, 한국환경법학회 상임이사를 역임했다. 주요 논저에 “A Study of Establishing an Ecological Peace Park in Korean DMZ”(「International Areas Review」 vol.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소, 2005), 「접경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한 법적인 고찰」(환경운동연합, 2005) 등이 있다.

소병천의 다른 상품

파리협정에 따른 국가결정기여(NDCs)의 국내이행에 관한 주요 국가별 동향분석

파리협정에 따른 국가결정기여(NDCs)의 국내이행에 관한 주요 국가별 동향분석

12,000

'파리협정에 따른 국가결정기여(NDCs)의 국내이행에 관한 주요 국가별 동향분석'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심숙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심숙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Governance of the German Green Belt Ecological Network?mplications for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2011)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경기개발연구원에서 근무하였고, IUCN 세계보호지역위원회(WCPA) 위원, IUCN 접경보전 전문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 전문위원, 환경부 MAB(인간과생물권계획) 한국위원회 위원,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공저 : 장용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장용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행정관, 대통령 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선임행정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논저에 “서해 북방한계선과 평화협력 특별지대 재론”, “북·중 관계의 성격과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헤징(hedging) 전략”, “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개념, 쟁점, 추진 방향”, “국가사회주의와 국가 계급지배의 동태성:북한 지배체제 연구에 대한 함의” 등이 있다.

공저 : 조도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조도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한국생태학회 회장, 유네스코 MAB(인간과생물권계획)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국제자문위원회(IACBR) 위원. 미국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보호지역포럼 위원장, 중앙문화재위원(천연기념물분과)을 역임했다. 논저로 “Natural Protected Areas of Republic of Korea” 외 다수가 있다.

공저 : 최용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최용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 아주대 등에서 국제관계와 북한 문제를 주제로 강의했다. 현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국가안보실 및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된 연구 관심사는 북핵 문제, 남북관계 및 한반도 안보 등이며, 최근의 주요 연구 및 공저로 『전환기 동북아질서와 한중관계의 재구성』 『경계에서 분단을 다시 보다』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북핵과도기 한국의 안보정책 과제와 쟁점』 등이 있다. 또한 『대타협: 북한 vs 미국, 평화를 위한 로드맵』을 우리말로 옮겼다.

최용환의 다른 상품

심장지대

심장지대

16,200 (10%)

'심장지대' 상세페이지 이동

공정한 국제질서와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공정한 국제질서와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16,200 (10%)

'공정한 국제질서와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함광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함광복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DMZ연구소 소장. 한국관광공사 DMZ 명예홍보대사, 강원도민일보 논설위원 실장, G1강원민방 대기자, 방송위원 역임. 1985년 한국 언론 최초로 DMZ에 대한 자연 생태를 취재, 기사화했으며, DMZ를 집중 조명한 기사로 두 번의 한국기자상을 받았다. 저서에 『할아버지, 연어를 따라오면 한국입니다』, 『한국 DMZ, 그 자연사적 탐방』, 『DMZ는 국경이 아니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