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맹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맹자
관심작가 알림신청
孟子
맹자의 이름은 가軻이다. 주나라 때(BC 372 ~ BC 289 추정) 사람이다. 맹자는 공자시대 이후 유가에서 가장 큰 학파를 이룬 사람으로, 제나라, 위나라, 등나라 등을 다니면서 제후들에게 인의仁義의 덕을 바탕으로 하는 왕도정치王道政治가 춘추전국시대의 정치적 분열 상태를 극복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의하고 다니다가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 70세 가량으로 추정된다.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들과 함께 『시경』과 『서경』, 공자의 뜻에 대해 토론했으며, 그때 만들어진 책이 오늘날 전해지는 『맹자』 7편이다. 후한의 조기가 『맹자장구』를 지으면서 각 편을 상하로 나누어 현재의 14편이 된 것이다.

맹자의 다른 상품

맹자

맹자

15,300 (10%)

'맹자' 상세페이지 이동

맹자

맹자

10,710 (10%)

'맹자' 상세페이지 이동

사서

사서

62,100 (10%)

'사서' 상세페이지 이동

맹자

맹자

19,800 (10%)

'맹자' 상세페이지 이동

옛글의 향기 사서 세트

옛글의 향기 사서 세트

24,210 (10%)

'옛글의 향기 사서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맹자

인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맹자

12,150 (10%)

'인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맹자'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읽어야 할 맹자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읽어야 할 맹자

18,000 (10%)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읽어야 할 맹자' 상세페이지 이동

평생에 한 번은 꼭 맹자를 읽어라

평생에 한 번은 꼭 맹자를 읽어라

12,600 (10%)

'평생에 한 번은 꼭 맹자를 읽어라'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안외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안외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1982년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했다. 여느 1980년대 학번들과 마찬가지로 강의실보다는 운동장과 거리와 주점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다 학부 3학년 때 정조 원년(1776) 규장각에서 판각한 내각장본 《맹자》를 처음 접했다. 아는 글자보다 모르는 글자가 더 많았지만 큰 위안을 받았다. 노동 현장으로 진로를 결정한 친구들에게 미안해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기까지 무척 고심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던 시절은 낮에는 정치학을, 밤에는 서당에서 사서삼경을 익히는 주독야독 시절이었다. 한국 전통 시대의 마지막 국면인 대원군 집정기 정치권력의 성격과 관련된 연구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전통의 재전유 관점에서 한국정치사, 한국정치사상, 유가정치사상을 연구해왔다. 주요 논저로는 〈송시열과 한국 보수주의의 기원〉, 〈유가적 군주정과 서구적 민주정에 대한 조선 실학자의 인식〉, 〈정약용의 사상에 나타난 서학과 유학의 만남과 갈등〉, 〈19세기말 조선에 있어서 민주주의 수용론의 재검토〉, 《정치, 함께 살다》 등이 있고, 《근역서화징》과 《김택영의 조선시대사 한사경韓史?》 등을 공역했다. 전통 시대 한국정치사/한국정치사상의 체계 수립을 학문적 과제의 하나로 삼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한국·동양 정치사상 강의를 했고, 한국정치사상학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서대학교 글로벌언어협력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안외순 의 다른 상품

동호문답

동호문답

8,010 (10%)

'동호문답' 상세페이지 이동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학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학

14,400 (10%)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학' 상세페이지 이동

충청도 태안 동학농민혁명

충청도 태안 동학농민혁명

13,500 (10%)

'충청도 태안 동학농민혁명' 상세페이지 이동

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14,400 (10%)

'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상세페이지 이동

장소와 의미

장소와 의미

20,000

'장소와 의미'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