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제임스 볼드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제임스 볼드윈
관심작가 알림신청
James Baldwin
20세기 미국 문학과 민권운동의 한 축으로 평가받는 흑인 작가. 인종 차별과 섹슈얼리티에 관한 소설, 에세이, 희곡 등을 20권 넘게 썼다. 1924년 뉴욕 할렘에서 혼외자로 태어났고, 24세에 흑인과 동성애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에 환멸을 느끼고 자유로운 창작활동을 위해 프랑스 파리로 이주했다. 1953년 발표한 첫 소설 『산에 올라 고하라Go Tell it on the Mountain』은 <타임> 100대 영어 소설에 선정되는 등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이후 소설 『조반니의 방』(1956), 에세이 『아무도 내 이름을 몰라Nobody Knows My Name』(1961)과 같은 작품도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렸다. 1957년 인종 차별에 맞서 등교한 흑인 소녀 도로시 카운츠의 사진을 보고 지식인으로서 책임감을 느끼고 귀국해서 인종 차별이 심한 미국 남부를 돌며 민권운동에 깊이 관여했다.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 선언 100주년이 되는 1963년 『단지 흑인이라서, 다른 이유는 없다』를 출간했는데, 이 책은 당대 인종 문제에 관한 책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책으로 손꼽혔다. 1987년 파리에서 위암으로 사망했지만, 사후에 미완성 원고 <이 가문을 기억하라Remember This House>는 다큐멘터리 영화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로, 1974년에 발표한 소설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는 동명의 영화로 만들어져 호평을 받으며 다시 주목받았다. 2022년 12월 23일 <뉴욕타임스>는 지난 10년 인터뷰한 작가, 가수, 배우 등 유명인을 대상으로 ‘만찬에 가장 초대하고 싶은 작가’가 누구냐고 물었는데 1위로 셰익스피어와 함께 제임스 볼드윈이 선정되기도 했다.

제임스 볼드윈의 다른 상품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

12,420 (10%)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 상세페이지 이동

단지 흑인이라서, 다른 이유는 없다

단지 흑인이라서, 다른 이유는 없다

11,520 (10%)

'단지 흑인이라서, 다른 이유는 없다' 상세페이지 이동

조반니의 방

조반니의 방

13,320 (10%)

'조반니의 방'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라울 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라울 펙
관심작가 알림신청
역사상 최초로 흑인 노예가 혁명을 일으켜 독립한 나라인 아이티 출신 영화감독. 사회적 이슈나 정치적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와 장편영화를 만들었고 문화부장관으로도 일했다. 아이티뿐 아니라 미국, 프랑스에 기반을 둔 영화 프로덕션 회사 벨벳필름 대표로 예술가 지원센터인 엘도라도 포럼을 창설하기도 했다. 대표작으로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와 마르크스가 엥겔스와 만나 공산당 선언을 집필하기까지의 과정과 두 사람의 우정을 다룬 <청년 마르크스> 등이 있다.

역 : 김희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희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소설가. 번역가. 1990년대는 연세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러시아문학을 공부했고 2000년대는 정당 개혁운동에 열중했으며 2012년 이후 IT회사 회사원을 거쳐 영어노어 번역을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북클럽비바]를 운영중이다. 소설로는 단편 『벚꽃, 어쩌면 동산』, 『푸른미로』를 발표했고, 옮긴 책으로는 『로봇R.U.R.』, 『무지와 편견의 세계사:똘레랑스』 등이 있다.

김희숙의 다른 상품

왬! 라스트 크리스마스

왬! 라스트 크리스마스

25,200 (10%)

'왬! 라스트 크리스마스 ' 상세페이지 이동

백치 2

백치 2

13,500 (10%)

'백치 2' 상세페이지 이동

백치 1

백치 1

13,500 (10%)

'백치 1' 상세페이지 이동

위민 투 드라이브

위민 투 드라이브

14,400 (10%)

'위민 투 드라이브' 상세페이지 이동

무지와 편견의 세계사

무지와 편견의 세계사

19,800 (10%)

'무지와 편견의 세계사'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언제나 옳다

나는 언제나 옳다

9,900 (10%)

'나는 언제나 옳다' 상세페이지 이동

로봇 ROBOT

로봇 ROBOT

11,250 (10%)

'로봇 ROBOT'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