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한윤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윤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1948년 충북 청주에서 출생,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했다. 연미복 입은 모습이 좋아 외교관을 꿈꿨지만 외교관 월급이 적어 품위 유지하려면 부잣집 여자와 결혼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고 꿈을 접었다. 29살에 출판사 ‘청년사’를 차려 『판초 빌라』, 『본회퍼』, 『산체스네 아이들』, 『여공 20년 후』 등의 논픽션을 출간했다. 1978년 이오덕 선생이 농촌 아이들의 글을 모와 와 시집 『일하는 아이들』과 산문집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로 출판했다. 1980년 야학을 하던 대학생들이 10대 노동자들의 글을 모아 와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10대 근로자들의 일기와 생활담』으로 출간했다. 계엄령하였지만 책 못 내면 평생 후회할 것 같아 무려 2만 부를 찍어 200여 곳 교회 청년회를 통해 뿌렸다. 나오자마자 책은 판금됐고, 청년 사장 한윤수는 도망자가 됐다. 그해 가을 세상이 잠잠해지자 있는 돈 없는 돈 쓸어 모아 글 쓴 노동자들에게 인세를 지급하고 함께 마지막으로 북한산 등반을 했다. 이 책은 1980년대에서 21세기 초까지 대학 및 노동계 운동권의 필독서가 됐고, 원본을 구할 수 없어 복사본이 돌아다닐 정도였다. ‘청년사’ 운영을 후배에게 넘기고 경기도 고양군에 들어가 농사를 짓다가 누가 치어(稚魚)도 대 주고, 크면 다 가져다 팔아 주겠다고 해서 가물치 양어장을 차렸지만 가물치의 생태에 대한 전문적 소양의 부족으로 3년 만에 문을 닫았다. 빚이 늘어 갚을 요량으로 ‘형제출판사’를 열어 가족들 사이의 일을 적은 일기문들을 <고부일기 시리즈>로 내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번 무너진 가계는 도무지 회복이 안 됐고 1997년 IMF 사태로 결정타를 맞았다. 채무는 60억 원 가까이 늘어났다. 저당 잡혔던 친구들 집 12채도 다 넘어갈 뻔했지만 다행히 가물치 양어장 터가 삼송택지개발지구에 수용돼 그 보상금으로 원금을 갚았다. 그러나 생활비는커녕 아이들 교통비도 갖다주지 못한 상황에서 해 줄 수 있는 일이라곤 교회에 가서 같이 앉아 주는 것밖에 없었다. 부인과 “1. 절대로 죽지 않는다. 2. 희망을 가진다”고 합의하고 빚쟁이들을 피해 전국 안 가 본 곳 없이 도망다니다가 결국 부인에게 너무나 미안해 결혼하고도 25년 동안이나 가지 않았던 교회에 1998년 2월 어느 날 제 발로 가겠다고 나섰다. 교회에 간 동기가 일차적으로는 가족들에 대한 미안함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빚쟁이들을 피해 보자는 도피 심리가 더 컸다. 그나마 안전하겠지 했던 교회에까지 빚쟁이들이 쳐들어왔다. 크리스마스 날 빚쟁이들이 교회로 와서 노래 부르고 있는 그에게 ‘넌 빚을 지고선 즐겁게 노래가 나오냐’고 했다. 빚쟁이들한테 몰려 마지막으로 간 데가 신학교다. 2005년 신학교를 졸업하고 전도사 생활을 시작하고 안산에 오게 되었다. 1년 정도 지나 ‘안산노동자센터’에서 연락이 왔고 그때 외국인 노동자들을 처음 봤다. 새카만 모습으로 와서 도와달라고 하는데 10대 노동자들 생각이 났다. 30년 전 그 애들의 얼굴이 겹쳤다. 맨날 돈 떼이고 두들겨 맞는 것이 똑같았다. 그런데 상담이 맘대로 안 되었다. 어느 날은 상담실이 컴퓨터 교육실이 되어버렸다. 아스팔트에 비치파라솔을 놓고 상담을 했다. 컴퓨터도 전화도 없고 상담일지도 없었다. 내 식대로 해야지 하는 생각을 하던 중 2007년 4월 목사 안수를 받고 한 달 뒤 아무 연고도 없이, 단지 한국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가장 많다는 이유로 경기도 화성시로 향했다. 2007년 6월 5일 ‘화성외국인노동자센터’를 세우고 무료 상담을 시작했다. 전국에서 가장 돈 잘 받아 주는 센터로 통했다. ‘인생은 60부터’, ‘다시 인생이 바뀌었다’면서 2008년 11월 인터넷 언론 『프레시안』에 일명 ‘외국인 노동자 탐구생활’ 백서라고 할 수 있는 ‘오랑캐꽃’ 칼럼 연재를 시작했다. 현재까지 화성외국인노동자센터 대표로 있다.

한윤수의 다른 상품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큰글자책)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큰글자책)

34,000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6,200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세트

오랑캐꽃이 핀다 세트

120,000

'오랑캐꽃이 핀다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3

오랑캐꽃이 핀다 3

12,000

'오랑캐꽃이 핀다 3'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2 (큰글자책)

오랑캐꽃이 핀다 2 (큰글자책)

38,000

'오랑캐꽃이 핀다 2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2

오랑캐꽃이 핀다 2

12,000

'오랑캐꽃이 핀다 2'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1 (큰글자책)

오랑캐꽃이 핀다 1 (큰글자책)

38,000

'오랑캐꽃이 핀다 1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1

오랑캐꽃이 핀다 1

12,000

'오랑캐꽃이 핀다 1' 상세페이지 이동

편 : 홍윤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홍윤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인문대학(1975∼1985)과 동 대학원(1985∼1987)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최고 우등점(summa cum laude)으로 철학박사를 취득(1995)했으며, ‘시민과 세계’의 공동편집인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글쓰기 및 사회 참여를 통해 대중과의 소통을 모색하고 있다. 하버마스의 책과 울리히 벡의 책을 소개하기도 했다. 유학 중 독일 통일 후 유럽 현지를 현장으로 [한겨레] 통신원으로 활동했다. 귀국 후 1999년부터 2022년까지 동국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서울시·성남시·경기도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장을 역임했다. 철학을 비롯한 인문학, 사회과학 등에서 다수의 논문과 저서와 역서들이 있다. 대학 재학 중 신림겨레터야학 4대 학장(1976∼1977)으로 있으면서 작문 수업을 통해 노동 청소년들의 글을 모았다. 이 수업을 이어받은 같은 야학의 김융희 강학이 더 많은 글을 모아 당시 출판사 ‘청년사’를 운영하던 한윤수 대표를 찾아갔고, 한 대표의 권고로 전국 야학에서 더 많은 글을 수집해 한윤수 대표가 엮은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1980)이 출간되었다. 박정희와 전두환의 유신 군부독재 체제 아래에서 1977∼1984년에 걸쳐 2년여 수감, 5년여 상시 사찰과 감시를 받는 생활을 했다. 이런 공동의 시대 체험을 인연으로 한윤수 목사가 60대 들어 자기 삶의 열정을 쏟았던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활동과 삶의 기록을 엮고 연구하게 되었다.

홍윤기의 다른 상품

오랑캐꽃이 핀다 세트

오랑캐꽃이 핀다 세트

120,000

'오랑캐꽃이 핀다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3

오랑캐꽃이 핀다 3

12,000

'오랑캐꽃이 핀다 3'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2 (큰글자책)

오랑캐꽃이 핀다 2 (큰글자책)

38,000

'오랑캐꽃이 핀다 2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2

오랑캐꽃이 핀다 2

12,000

'오랑캐꽃이 핀다 2'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10 (큰글자책)

오랑캐꽃이 핀다 10 (큰글자책)

34,000

'오랑캐꽃이 핀다 10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10

오랑캐꽃이 핀다 10

12,000

'오랑캐꽃이 핀다 10'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1 (큰글자책)

오랑캐꽃이 핀다 1 (큰글자책)

38,000

'오랑캐꽃이 핀다 1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오랑캐꽃이 핀다 1

오랑캐꽃이 핀다 1

12,000

'오랑캐꽃이 핀다 1'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