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조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1500년대 경상도 일대의 산림에 머물며 학문에 몰두했던 유학자이다. 성리학 이론보다는 실천을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황과 같은 시대를 살았는데, 당대의 학문적 위상이나 이후의 역사에 미친 영향은 이황 이상이었다.

여남은 번 이상 벼슬을 제수 받았지만 단 한번도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간신들이 권력을 잡고 얼토당토않은 정치를 펼치는 때에 벼슬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555년 명종에게 <을묘사직소>로 일컬어지는 상소를 올렸다. 이 상소에서 “전하의 나랏일은 이미 잘못되었다”고 말하며 당대 조정의 정치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1558년 네 명의 벗들과 함께 지리산을 유람하고 <유두류록>을 썼다. 이 유람기에서 “우리는 모두 길 잃은 사람들”이라고 썼다. 경(敬)과 의(義), 쇄소응대(灑掃應對)를 강조한 것으로 유명하다.

1501년 경상도 삼가현(현재의 합천군 삼가면)의 외가에서 태어났고, 1572년 지리산 덕산동(현재의 산청군 시천면)의 산천재(山天齋)에서 일생을 마쳤다. 자는 건중(楗仲), 호는 남명(南冥)이다. 제자들이 그의 글을 모아 묶은 《남명집》을 통해 그의 삶과 학문을 접할 수 있다.

역 : 이상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상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출판편집자이다. 인문학 고전 읽기를 지금의 현실과는 무관한 지적 골동 취미나 장식장 꾸미기처럼 여기는 문화에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오래 되었으나 여전히 현재의 우리에게 묵직한 화두를 던져 주는 우리 인문학 고전을 현재의 시각으로 풀이하고자 한다. 이전까지 〈조선의 유학자, 조식〉, 〈부디 제발〉 등을 편집한 바 있다.

최근에는 한문 번역가로서 조식의 〈을묘사직소〉, <유두류록>을 한글로 옮겨 출간했다. 스스로 주해 번역이라고 부르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