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6명)

이전

저 : 에디 하르트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에디 하르트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Eddie Hartmann
함부르크 대학에서 사회학을 공부했으며 베를린 훔볼트 대학을 거쳐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교외 지역에서 발생한 폭력적 소요 이면의 사회적 갈등과 동원 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담은 박사학위 논문은 독일사회학협회에서 최고의 박사학위 논문상을 수상했다. 이후 포츠담 대학에서 교수자격을 취득했으며, 현재 포츠담 대학 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학 이론과 방법론, 폭력 사회학, 폭력 연구와 사회적 행동 이론 사이의 접점에 연구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저서로 『대항 행위의 전략들』 『질서와 폭력』(공저) 등이 있다.

저 : 토마스 회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토마스 회벨
관심작가 알림신청
Thomas Hoebel
빌레펠트 대학에서 사회학을 공부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조직화된 미시사회학적 폭력에 관한 연구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빌레펠트 대학, 라이프니츠 대학 등을 거쳐 현재 함부르크 사회연구소에서 거시적 폭력에 관한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폭력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 사회학적 이론의 문제로서의 폭력이며, 질적 사회조사 방법론과 조직사회학 방법론을 활용하여 폭력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이끌어내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 『폭력을 설명하라!』 『침묵에서 태어난 폭력』 등이 있다.

저 : 아네 케르슈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아네 케르슈텐
관심작가 알림신청
Anne Kersten
튀빙겐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간호사로 일하며 폭력 피해자 지원 활동에 오랫동안 참여해왔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프리부르 대학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폭력과 피해자 연구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프리부르 대학 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폭력, 가정폭력, 피해자 연구, 젠더와 폭력, 사회사업의 역사와 이론, 세대 간 관계, 질적 연구 방법, 복지 제도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가정폭력: 가족관계의 행동과 구조」 「아동에 대한 가정폭력의 원인과 결과」 「폭력 사건이 사람들을 피해자로 만드는가?」 등이 있다.

저 : 페르디난트 주터뤼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페르디난트 주터뤼티
관심작가 알림신청
Ferdinand Sutterluty
1962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인스브루크 대학, 콘스탄츠 대학, 베를린 자유대학 등에서 신학과 사회학을 공부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빈 대학에서 교수자격을 취득했다. 여러 해 동안 사회연구소의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프랑크푸르트 대학 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가족 및 청소년, 폭력 문제에 관한 독창적인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요 저서로 『폭력의 이력: 폭력과 무시의 순환 속의 청년들』 『인종 연대책임: 인종 갈등의 부정적 분류』 등이 있다.

저 : 자비네 안드레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자비네 안드레젠
관심작가 알림신청
Sabine Andresen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교육학을 공부하고 같은 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취리히 대학, 빌레펠트 대학을 거쳐 현재 프랑크푸르트 대학 사회교육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년기와 가족, 국제 아동 복지, 아동 및 가족 빈곤, 역사적 유년기, 아동 폭력, 성폭력 등이다. 유년기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바탕으로 국제적 관점에서 아동의 권리, 아동기 취약성, 아동 복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에는 아동과 청소년의 성적 학대에 대한 사회적 연관성, 가족 내 성적 학대, 이행기 정의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 『유년기』 『어린이, 빈곤, 가족』 등이 있다.

저 : 라우라 볼터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라우라 볼터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Laura Wolters
오스나브뤼크 대학과 브레멘 대학에서 철학과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지겐 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함부르크 사회연구소에서 거시적 폭력에 관한 연구 그룹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성폭력, 폭력에 관한 최근 연구, 성의 사회학, 사회학 이론 등이다. 지금까지 폭력의 사회학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성폭력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규범과 폭력, 감정과 신념의 연관성과 엇갈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모욕과 고통에 대하여: 집단 성폭력의 사회학』 『쇼타임: 과시적 폭력의 형태와 결과』(공저) 등이 있다.

저 : 김만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만권
관심작가 알림신청
김만권은 철학자다. 땅에 발 딛고 선 철학을 하고파서 정치철학을 한다. 그러고 보니 생각으로 현실에 세상을 짓는 게 직업이다. 한편으로 김만권은 일곱 살 아이를 둔 아빠이기도 하다. 너무 늦은 나이에 본 아이라 그럴까? 어떻게 하면 이 아이가 안심하고 살 세상을 지을 수 있을까 이런저런 고민이 많다. 승자들이 모든 것을 가져가는 세상에서 그 모든 것을 가져가는 아이로 키워야 하나? 한때 이런 바보 같은 생각을 하기도 했다.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이렇다. 100분의 1도 안 되는 승자가 될 확률에 걸기보다는 아이가 평범하게 자라도, 아니 조금 모자라게 커도 걱정 없이 맘껏 사랑하고, 존중받고,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게 훨씬 현명한 길이라는 것, 내 아이에게 안전하고 좋은 세상이라면 세상의 모든 아이에게도 그럴 것이라는 것. 그래서 아빠는 아이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세상을 짓고 싶다. “걱정하지 말고 네가 원하는 일을 해도 괜찮아!” 지난번에 쓴 『새로운 가난이 온다』에서 우리 삶을 잠식하는 가난과 불안에 대해 이야기했던 것도, 이번 책에서 다시 우리 일상에 스며든 고립과 외로움을 다룬 것도, 모두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만은 달랐으면 하는 간절함 때문이었다.

그동안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호모 저스티스』, 『불평등의 패러독스』 등 10여 권의 책을 썼고,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최근엔 EBS e-class에서 ‘근대 정치철학사’, ‘20세기 정치철학사’ 등을 강의했다. 현재 경희대 학술연구교수이자 국가인권위원회 사회권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이며, 인공지능 시대의 인문학을 고민하는 콜렉티브 휴먼 알고리즘 의 창립 멤버 겸 대표로 일하고 있다.

김만권의 다른 상품

외로움의 습격

외로움의 습격

16,920 (10%)

'외로움의 습격' 상세페이지 이동

한나 아렌트 평전

한나 아렌트 평전

16,200 (10%)

'한나 아렌트 평전'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 저스티스 (큰글씨책)

호모 저스티스 (큰글씨책)

40,000

'호모 저스티스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큰글씨책)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큰글씨책)

30,000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언론술사

언론술사

16,650 (10%)

'언론술사' 상세페이지 이동

새로운 가난이 온다

새로운 가난이 온다

14,400 (10%)

'새로운 가난이 온다' 상세페이지 이동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14,850 (10%)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 저스티스

호모 저스티스

16,200 (10%)

'호모 저스티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주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주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에서 사회학, 정치외교학 학사를 마쳤다.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프랑크푸르트 대학 사회학과에서 지그하르트 네켈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상대 사회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기업가적 자아』가 있으며, 논문으로 「자본주의 비판과 민주주의 요구의 결합」 「현 시대의 자율성을 바라보는 두 시선」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등이 있다.

김주호의 다른 상품

비판사회이론

비판사회이론

26,000

'비판사회이론'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더 많은 민주주의를 향하여

더 많은 민주주의를 향하여

17,100 (10%)

'더 많은 민주주의를 향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16,200 (10%)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성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성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 사회학과에서 사회운동의 전략과 리더십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사회학과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공저서로 『한국사회의 반기업문화』 『금융산업 2차정규직』 등이 있으며, 역서로 『현대 사회이론의 흐름』(공역)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의문사에 투영된 정치적 억압」 「디지털이 수식하는 시민정치와 민주주의」 「정치적 억압의 전략과 법치주의」 등이 있다

역 : 고지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고지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독일 브레멘 대학 철학과에서 발터 벤야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과학기술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꿈과 깨어나기: 발터 벤야민 파사주 프로젝트의 역사이론』이 있고, 벤야민 관련 다수의 논문들이 있다. 공저서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등이 있으며, 공역서로 『베스텐트 2012』 『베스텐트 2013/1』 『베스텐트 2014』 『베스텐트 2015』 『대탈주: 베스텐트 한국판 5호』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베스텐트 한국판 7호』 등이 있다.

고지현의 다른 상품

라디오와 매체

라디오와 매체

19,800 (10%)

'라디오와 매체'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16,200 (10%)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김광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광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 과학·기술·철학과에서 인지문화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기초교육원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인지과학의 성과를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인지철학자이자, 여러 문화현상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문화철학자이다.

김광식 교수는 에피쿠로스의 말을 빌려 “몸의 병을 물리치지 못하는 의술이 아무 소용없듯이, 마음의 고통을 물리치지 못하는 철학 또한 아무 소용이 없다”라고 강조한다. 거대담론의 철학보다 일상을 이야기하는 철학을, 삶과 격리된 동굴 속 철학이 아닌 삶의 작고 큰 고통을 함께 나누는 철학을 지향한다. 대중과 그들의 일상에 친밀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음악과 철학이 만나는 행복콘서트’, ‘철학과 음악 사이’, ‘영화와 철학이 만나는 행복콘서트’ 등의 철학 강의와 강연을 기획하고 펼쳐왔으며, 온라인 ‘김광식의 철학카페(cafe.naver.com/philocafe)’와 홍대에서 오프라인 ‘철학카페’를 열고 있다. 2011년 KBS [TV 특강]에서 “행복을 위한 철학콘서트”라는 주제로 강연하여 동시간대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MBC 라디오, KBS1 라디오 등 다수 매체에서 행복 철학을 전했다.

저서로 『행동지식』 『김광석과 철학하기』 『다시 민주주의다』(공저)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언어폭력」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동성애혐오」 등이 있다. 논문으로 [사이버네틱스와 철학],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언어폭력],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등이 있다.

김광식의 다른 상품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40,000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BTS와 철학하기

BTS와 철학하기

14,220 (10%)

'BTS와 철학하기'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16,200 (10%)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상세페이지 이동

김광석과 철학하기

김광석과 철학하기

12,420 (10%)

'김광석과 철학하기' 상세페이지 이동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18,000 (10%)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상세페이지 이동

역 : 문성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문성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文聖薰
서울여대 교수.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을 거쳐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에서 악셀 호네트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현대사회의 문제를 포착하고 비판하며 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오랫동안 탐구해 왔다. 특히 인정 개념과 인정 이론을 토대로 현대사회 변동과 한국사회를 분석하는 여러 연구 논문을 집필했으며, 최근에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적 정치이념을 정립하는 작업에 몰두했다.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는 이런 노력의 결과물로서 경쟁 사회를 넘어서 협력 사회를 지향하는 새로운 자유주의 이념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서울여대 교양대학 현대철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의 공식저널 『베스텐트』 한국판 책임편집자를 맡고 있다. 비판적 연구자들의 모임인 ‘연구모임 사회 비판과 대안’의 일원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미셸 푸코의 비판적 존재론』 『인정의 시대』가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정의의 타자』 『인정투쟁』 『분배냐, 인정이냐?』(이상 공역) 『사회주의 재발명』 등이 있다.

문성훈의 다른 상품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큰글자책)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큰글자책)

39,000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18,000 (10%)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상세페이지 이동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17,100 (10%)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상세페이지 이동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26,100 (10%)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위대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어린이 인문 교양 세트

위대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어린이 인문 교양 세트

324,000 (10%)

'위대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어린이 인문 교양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14,400 (10%)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정대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정대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Jeong, Dae-Seong,鄭大聖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보훔 대학에서 독일 관념론과 사회정치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저서로 『이성의 다양한 목소리』 등이 있으며, 역서로 찰스 테일러의 『헤겔』과 클라우스 피베크의 『자유란 무엇인가: 헤겔 법철학과 현대』를 비롯하여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비판, 규범, 유토피아』 『언어, 의미 그리고 철학』 등이 있다.

정대성의 다른 상품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16,200 (10%)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23,750 (5%)

'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정태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정태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에서 사회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공주대 교양학부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공화주의 공공 철학과 좋은 삶」 「좋은 삶의 형식적 개념에 기초한 물화의 재정식화」 「자본주의적 생산과 소비의 병리현상으로서의 물화」 등이 있다.

역 : 홍찬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홍찬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洪燦淑
독일 뮌헨시 루트비히 막시밀리안대학 사회학과에서 고(故) 울리히 벡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분야는 이론사회학, 젠더사회학이다. 현재 한국이론사회학회 부회장이고, 서울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 강사이다. 『울리히 벡 읽기』, 『개인화』 등 다수의 저서와 『자기만의 신』 등 다수의 역서가 있다.

홍찬숙의 다른 상품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15,300 (10%)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바다로 간다

우리는 바다로 간다

12,600 (10%)

'우리는 바다로 간다 ' 상세페이지 이동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16,200 (10%)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사회학의 이해

문화사회학의 이해

27,000

'문화사회학의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독일 통일과 여성

독일 통일과 여성

30,000

'독일 통일과 여성'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29,700 (10%)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연구모임 사회비판과 대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연구모임 사회비판과 대안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6년 발족한 비판적 연구자들의 모임으로 철학자, 사회학자, 정신분석학자, 문화예술이론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베스텐트 한국판’을 기획했으며, 비판적 사회이론을 소개하고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모임 사회비판과 대안의 다른 상품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18,000 (10%)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