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저 : 전복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전복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 석사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여성정치문화연구소 이사

전복희 의 다른 상품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24,000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34,000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순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순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중남미지역전공). 현재 울산대학교 스페인·중남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라틴아메리카 페미니즘, 성평등, 젠더 정책, 여성 정치 리더십 등을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라틴아메리카의 여성운동과 여성정책』(단독)이 있으며, 『세계가 주목하는 여성정치인의 리더십』, 『이주와 불평등』, 『라틴아메리카의 어제와 오늘』(이상 공저)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저술했다.

이순주 의 다른 상품

젠더와 불평등

젠더와 불평등

16,200 (10%)

'젠더와 불평등' 상세페이지 이동

동과 서, 문화와 문명,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오백 년

동과 서, 문화와 문명,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오백 년

19,000 (5%)

'동과 서, 문화와 문명,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오백 년' 상세페이지 이동

이주와 불평등

이주와 불평등

16,200 (10%)

'이주와 불평등'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정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정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선임연구원 겸 동서문제연구원 객원교수

최정원 의 다른 상품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24,000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34,000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채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채복
관심작가 알림신청
숙명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럽정치와 다문화 및 이주 문제, 그리고 젠더 및 여성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유럽연합과 젠더: 정책, 제도, 행위자적 고찰』(2019),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2019, 공저), 『다문화주의와 페미니즘』(2017, 공저) 등이, 논문으로는 ?‘포스트팍티쉬(postfaktisch)’ 정치와 대안적 진실을 넘어: 정치적 포풀리즘과 독일 이주문제?(2019),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2018), ?‘이주노동자’에서 ‘한인여성’으로: 한인여성의 독일이주의 역사화?(2018) 등이 있다.

박채복 의 다른 상품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24,000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유럽연합과 젠더

유럽연합과 젠더

25,000

'유럽연합과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유럽의 역사 화해와 지역 협력

유럽의 역사 화해와 지역 협력

19,800 (10%)

'유럽의 역사 화해와 지역 협력' 상세페이지 이동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34,000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유럽연합과 젠더

유럽연합과 젠더

33,000

'유럽연합과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성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성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글라스고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 대학교 한국학전공 전공주임을 겸임하고 있다.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주 관심분야는 러시아 외교안보정책과 연방관계, 동북아 안보문제, 유럽/CIS 지역 이주/난민문제, 여성정책 등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정치경제학과 한반도』(공저, 2024), 『21세기 뉴페미니즘』(공저, 2023) 등의 저서와 “‘한국학’ 발전과 사회과학적 접근: 정치학을 중심으로”(202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의미와 영향”(2022), “탈접촉시대 유라시아 경제협력 방향”(2022), “네트워크 사회와 시리아 난민의 이동”(2021) 등의 논문이 있다.

김성진 의 다른 상품

글로벌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글로벌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29,000

'글로벌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북한의 공간적 이해

통일·북한의 공간적 이해

32,000

'통일·북한의 공간적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