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2명)

이전

저 : 김기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기란
관심작가 알림신청
극장 구석에서 공연 보는 일이 본업인 자발적 비주류 연극평론가이다. 2004년 연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비주류들의 말하기-2000년대 한국연극의 새로운 입장들』(2021), 『극장국가 대한제국』(2020), 『논문의 힘』(2016), 『포스트드라마 연극』(2013, 번역)을 출간했다.

저 : 김숙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숙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기대 강사. 동국대에서 연극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어플라이드 시어터의 이론과 실천에 대해 공부하며 연극기반의 예술치료에 관심을 두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 자전적 공연을 만들고 있다. 『회상연극』(2019, 공역),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2022, 공저) 등을 출간했다.

김숙현 의 다른 상품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16,200 (10%)

'모바일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 상세페이지 이동

국립극단 70+ 아카이빙

국립극단 70+ 아카이빙

89,000

'국립극단 70+ 아카이빙'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과 인문학

연극과 인문학

13,000

'연극과 인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치료의 진단평가

연극치료의 진단평가

22,000

'연극치료의 진단평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유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유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극평론가,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현대희곡을 전공하고 연극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극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왔다. 또한 사람들과 함께 연구하기를 좋아해서 다양한 장르의 전공자들과 대중서사연구회에서 공부했다. 주요 저서로 『국립극단 70+아카이빙』(공저, 2020), 『연극과 젠더』(공저, 2019), 『순결과 음란』(공저, 2018), 『대중서사 장르의 모든 것 1-5』(공저, 2007, 2009, 2011, 2013, 2016), 『내일을 위한 오늘의 연극-연극비평집』(2003), 『한국 현대희곡의 제의구조 연구』(2002), 『번역서로 전래동화를 활용한 드라마 만들기』(공역, 2006) 등이 있다.

김유미의 다른 상품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 3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 3

23,000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 3'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40,000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 2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 2

20,000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 2' 상세페이지 이동

종합교양잡지와 연극비평지의 탄생

종합교양잡지와 연극비평지의 탄생

16,000

'종합교양잡지와 연극비평지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노이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노이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극평론가. 공저로 「고함」, 「박정자와 한국 연극 오십년」, 『한국 현대 연출가 연구 1』, 「세월호 이후의 한국연극」, 『유치진과 드라마센터-친일과 냉전의 유산』, 『연극과 인문학』 등이 있다. 도시와 연극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현대 공연예술과 시각예술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저 : 류재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류재국
관심작가 알림신청
철학박사, 고대희극 연구자, 연극 제작자이다. 중앙대학교 예술경영학과,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수학하였고,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에 대한 철학적 연구로 예술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미래교육원에서 공연예술학부 주임교수를 역임하였고, 동 대학 교양학부와 문화예술교육원, 경기대학교 한류문화대학원에 출강하고 있으며, 연극적 사명을 위해 극단 ‘호메로스’를 창단하여 실험에 기반한 연극을 제작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산업진흥회에서 인문예술연구소장으로, The Asia N에서는 문화비평 칼럼니스트로활동하고 있다. 저술 활동으로 전쟁과 평화, 신화와 문학, 정치와 민생, 가정과 국가, 소통과 화합 등에 대해 적극적 관심을 가지고 연극적 비판의식과 상호작용에 대해 분석하는 다수의 논문 이외에 『브레히트 연극사전』(공저)이 있다.

류재국의 다른 상품

아리스토파네스 희극론

아리스토파네스 희극론

30,400 (5%)

'아리스토파네스 희극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상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상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및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겸직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현대희곡을 전공했다. 한국 현대 연극사 및 영화사를 각색, 매체,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누구를 위한 연극: 동시대 ‘시민’ 연극의 질문과 연극예술의 경계―〈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2020)를 중심으로」, 「공해와 불온―1980년대 초중반 마당극과 생태주의」, 「민중과 통속: 영화 〈바람불어 좋은 날〉(1980)과 소설 〈우리들의 넝쿨〉(1978)·영화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1976) 사이의 거리」, 「민주교육, 참교육 그리고 행복-1980년대-1990년대 초 교육민주화운동과 교육운동극」 등이, 함께 지은 책으로 『연극의 고전 다시 읽다』(2023), 『드라마 일상성의 미학』(2024)이 있다.

박상은의 다른 상품

민중과 통속

민중과 통속

26,000

'민중과 통속'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현대 연극과 현장성의 미학

한국 현대 연극과 현장성의 미학

30,000

'한국 현대 연극과 현장성의 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드라마, 일상성의 미학

드라마, 일상성의 미학

18,000

'드라마, 일상성의 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오수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수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국 연극 전공자로 『송원희곡고역주』, 『海內外中國?劇史家自選集-吳秀卿卷』(중문), 『중국 고대극장의 역사』(공역) 등을 출판하였고, [장협장원], [뇌우], [찻집], [버스정류장], [피안], [만 마디를 대신하는 말 한 마디] 등의 중국희곡 번역이 있고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낙타 상자] 등의 무대화 작업에도 참여하였다.

저 : 이경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경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post-’에 대한 기존의 관심을 최근 신유물론으로 확장시키며, 현대연극에 대해 다시 공부하는 중이다. 「‘공연하는’ 몸과 극장 공간의 탈영토화」(2022), 「렉처 퍼포먼스의 미학적 잠재성과 기억의 재연(reenactment)」(2020) 등의 연구논문이 있다.

저 : 이선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선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불문과 및 동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김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연극을 통한 치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회장, 한국연극치료협회 이사,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이사, 극단 ‘삼산이수’ 상임 연출로 활동하고 있다. 동화 『곰팡이 빵』(2010), 『용기 없는 감잎』(2012), 『셈 아저씨』(2015)를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연극·영화로 떠나는 가족치료』(공저, 2010), 『프랑스 현대연극의 이론과 실제』(2007), 『예술 영화 읽기』(2005), 『연극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영상 예술 미학』(2009), 『공연 예술의 기호』(2008), 『이미지와 기호』(2004), 『지하철의 연인들』(2003), 『각색, 연극에서 영화로』(200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예술 치료를 위한 ‘은유’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소고」(2012), 「연극 치료와 몸」(2011), 「예술 치료를 위한 역할 개념 연구」(2010), 「퀘벡 연극, 변방과 중심?로베르 르빠주의 ‘안데르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2010), 「‘대머리 여가수’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2009), 「외국 연극 수용의 현대적 흐름」(2008) 등이 있다.

이선형의 다른 상품

연극치료, 연극의 뿌리를 찾아서

연극치료, 연극의 뿌리를 찾아서

17,000

'연극치료, 연극의 뿌리를 찾아서'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과 그 이중 (큰글씨책)

연극과 그 이중 (큰글씨책)

39,000

'연극과 그 이중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과 그 이중

연극과 그 이중

28,800

'연극과 그 이중' 상세페이지 이동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큰글씨책)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큰글씨책)

34,0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22,8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시누이올케들

시누이올케들

12,800

'시누이올케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진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진아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극평론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교수. 주요 저서로 『국립극단 70+아카이빙』(공저, 2020), 『유치진과 드라마센터』(공저, 2019), 『한국 소극장 연극의 신화: 소극장 산울림 30년사』(공저, 2015), 『오해-연극비평집』(2013), 『동시대 연극비평론의 방법론과 실제』(공저, 2009), 『가면의 진실-20세기 러시아 연극의 실험과 혁신』(2008)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 메이예르홀트의 『연극에 대해』(2012), 스타니슬랍스키의 『체험의 창조적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배우의 작업』(2011), 미하일 체호프의 『배우의 길』(2009) 등이 있다.

이진아의 다른 상품

종합교양잡지와 연극비평지의 탄생

종합교양잡지와 연극비평지의 탄생

16,000

'종합교양잡지와 연극비평지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수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수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극을 공부하고 만들고 가르치며 산 지 20년이 다 되어간다. 연극하며 살기로 결심한 것을 인생에서 가장 훌륭한 선택이라 믿고 있다. 그 믿음 하나로, 삶의 복잡다단한 격랑에도 지지 않고 지금까지 연극쟁이로 잘 살고 있다. 희곡을 토대로 실제 무대 대본을 만드는 텍스트 책임자인 ‘드라마터그’로서 연극을 만들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연극사를 가르치며, 고려대학교에서 우리 희곡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심청길-곡성 프로젝트](극단 마실, 2019) [실수 연발](국립극단, 2016) [타조 소년들](국립극단, 2014·2016) [헤다 가블러](명동예술극장, 2012) [예술하는 습관](명동예술극장, 2011) 등이 있다. 마포출판문화진흥센터 PLATFORM-P 1기 입주자로 선정되어, 경의선 책거리 한가운데에서 관객의 지평을 확장시키는 연극쟁이의 삶을 소박하게 실천하는 중이다.

정수진의 다른 상품

한 줄도 좋다, 우리 희곡

한 줄도 좋다, 우리 희곡

11,250 (10%)

'한 줄도 좋다, 우리 희곡'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성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성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최성희는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Madison)에서 브레히트 연극 이론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메릴랜드 주립대학(College Park)에서 브로드웨이의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안적 현실을 창조하는 ‘전이 영역’으로서의 연극의 사회적, 정치적, 미학적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정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다수의 논문, 서평, 평론을 국내외 학술지 및 평론지에 발표했으며 공저로 ≪현대 영어권 극작가 15인≫(동인), ≪뉴밀레니엄 시대의 영미 극작가 동향≫(동인),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푸른사상),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연극과인간), ≪아메리카나이제이션≫(푸른역사), ≪페미니즘, 차이와 사이≫(문학동네) 등을 출간했다. 한국아메리카학회 우보논문상(2003),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루비콘우수논문상(2015)을 수상했다.

최성희의 다른 상품

동시대 세계 극작술의 흐름

동시대 세계 극작술의 흐름

20,900 (5%)

'동시대 세계 극작술의 흐름' 상세페이지 이동

죽은 남자의 휴대폰

죽은 남자의 휴대폰

12,800

'죽은 남자의 휴대폰'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