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2명)

이전

저 : 김현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현중
관심작가 알림신청
듀폰 코리아 이사, 코닝 미국 본사 전략 담당 임원, PPG 코리아, 디스플레이 글래스 얼라이언스 CEO 등을 지냈다. 근무한 네 곳 모두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글로벌 기업으로 그 역사를 모두 더해, 이른바 ‘800년 내공’을 직접 경험했다. 제조·생산 관리 등의 공장 현장 업무부터 영업, 마케팅, 신규 비즈니스 개발, 전략 기획까지 다양한 업무를 두루 섭렵하고, 아시아 총괄 및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로 활약했다.

서울대학교에서 재료공학을 전공하고 미국 MIT 슬론 스쿨에서 MBA를 취득했다. 현재 통찰력(Insight), 혁신(Innovation), 영감(Inspiration)을 모토로 내건 ‘김현중 3i 경영연구소’의 소장으로서 집필, 강연, 코칭, 자문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아울러 중국 푸단대학교 객좌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바운스 백, 공처럼 다시 튀어 오르는 사람들의 비밀』이 있다.

김현중의 다른 상품

바운스 백

바운스 백

8,190 (10%)

'바운스 백' 상세페이지 이동

바운스 백

바운스 백

8,200 (9%)

'바운스 백'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종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종구
관심작가 알림신청
나노융합2020사업단장은 KAIST에서 재료공학을 전공(박사)하였으며, KIST에서 30년 이상 새로운 소재를 개발해온 재료공학자이다. KIST에서 나노과학기술본부장, 다원물질융합연구소장 등 연구 행정을 경험하였으며, 우수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지식경제부의 연구개발특구기획단장에 임용되어 혁신 클러스터의 핵심인 기술 사업화에 관한 경험을 쌓았다. 또한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개발을 조기에 착수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으며, 현재는 연구자들이 개발한 나노기술을 기업들이 사업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나노융합2020사업(단장)을 맡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전문위원,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구 개발 성공 사례로 꼽히는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 기술을 개발한 주역 중의 한 사람으로, 여러 건의 소재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하였다. 또한 기술융합, 기술혁신 그리고 새로운 산업혁명으로의 전환 등 기술 개발과 기술의 활용 과정에 큰 관심을 가져왔다. ‘지능정보사회 시대에 필요한 나노기술 도출을 위한 기획 연구’를 수행하면서 걱정되기도 하고 확실해 보이지도 않은 4차 산업혁명의 모습을 조금은 구체적으로 그려보고자 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막 발을 들여놓은 모든 이들에게 4차 산업혁명의 미래 퍼즐 조각들을 맞추어갈 수 있도록 여백을 조심스럽게 주고자 한다.

박종구의 다른 상품

딥테크 스타트업

딥테크 스타트업

18,000

'딥테크 스타트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창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창한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0년대 후반 충남 연기군 금남면 황용리에서 태어나 지금은 서울에서 살고 있다. 태어난 곳이 세종특별시고 사는 곳이 서울특별시니 특별한 곳에서 태어나 특별한 곳에서 살고 있는 특별시민이라고 본인은 주장한다. 기계공학과 경제학을 전공했다. 기업과 정당에서 활동을 하기도 했지만 주로 중앙 행정부처에서 근무했다. 1980년대 초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몇 개 부처를 돌아다녔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산업자원부에서 보냈고 지금은 민간 부문에 몸담고 있다. 2015년에 『사람과 사회를 찾아서』라는 책을 집필하였다. 이 책에서 저자는 행복과 욕망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람이 사는 의미와 사회의 정체를 밝혀 보고자 나름 노력하였다.

저 : 주병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병권
관심작가 알림신청
1995년 고려대학교 공학박사. 2005년까지 KIST에서 근무했으며, 2005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22년부터는 한국주도형 K-센서 기술개발사업 총괄책임자로서, 한국센서산업의 도약과 약진을 위해 활동 중이다.

주병권의 다른 상품

저 : 서성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성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기계·우주항공 공학자. 과학고등학교를 조기 졸업한 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했고,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한 후에는 현대자동차 파워트레인연구소에서 가솔린 엔진을 개발했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순수 국내 기술로 완성한 한국형 우주발사체(누리호) 엔진의 전신이자 국내 최초 터보펌프식 30톤급 액체로켓엔진의 개발을 주도했다.

지금은 국립한밭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 신개념 동력원을 연구한다. 초소형 인공위성을 우주로 보내는 로켓 개발 스타트업인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에 기술 자문을 하는 등 하드웨어 개발에도 진심이다. 대중에게 과학기술이 불러올 미래를 흥미롭게 전달하는 일에도 관심이 많다. 저궤도 로켓을 타고 우주로 나가 지구를 두 눈으로 바라보는 꿈을 품고 있다. 저서로는 『모빌리티의 미래』가 있다.

서성현의 다른 상품

모빌리티 쫌 아는 10대

모빌리티 쫌 아는 10대

13,000

'모빌리티 쫌 아는 10대' 상세페이지 이동

모빌리티의 미래

모빌리티의 미래

14,000

'모빌리티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문보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보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0년 고려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2015년 영국 서식스대학교 과학기술정책 석사, 2022년 충북대학교 위기관리학 박사를 수료했다. 2004년 전자신문에 입사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소프트웨어 산업을 거쳐 국토교통부와 교육부 출입 기자로 활동하며 4차 산업혁명의 ‘융합’을 경험하는 중이다. 기술과 산업 자체를 취재할 때보다 지금 더욱 센서의 확장 가능성을 확신하게 됐다.

저 : 김민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민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0년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2003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소재부품 및 산업융합 연구개발에 기여해 왔으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위원, ICT융합전문위원, 기계소재전문위원장 등을 역임, 과학기술정책에 기여하는 한편, 스마트안전 리빙랩 사업의 총괄책임자로서 국내 최초 산업 혁신 리뱅랩을 구축하는 등 실증 기반의 신제품 사업화를 위해 활동 중이다.

저 : 이민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민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1년 카이스트 재료공학 학·석사. 2008년 산업시스템공학과 박사. SDS,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엔씨소프트에 2011년까지 근무했으며, 2012년부터 현재까지 세종사이버대학 경영대학원 주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최근 공공데이터, IoT 데이터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 : 박영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영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 학사, 동 대학원에서 유럽과학사와 미국과학기술사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회와 방위사업청에서 국방 정책 입법과 행정 업무를 담당했고, 광운대학교와 동양대학교, 카이스트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에서 국방 과학 기술 정책을 중심으로 강의와 연구 경력을 쌓았다. 현재 우석대학교와 명지대학교 객원교수이자 한국국방기술학회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반도체 인사이트 센서 전쟁』(공저), 『과학기술, 미래 국방과 만나다』(공저) 등이 있다.

박영욱의 다른 상품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

11,800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준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준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카이스트 미래전략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중앙일보에서 과학·미래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산업부와 경제부에서 경력을 쌓았으나 2009~2010년 해외연수 기간에 하와이미래학연구소에서 미래학을 연구하면서 ‘과학과 미래’ 쪽으로 전문 분야를 좁혔다. 사단법인 미래학회의 창립 멤버이며, 현재 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2018년 출범한 국회미래연구원의 설립 준비위원으로도 활동했다.

편 :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내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업계 의견을 대변하기 위해 1991년 11월 설립되었다. 반도체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학연 협력과, 반도체 관련 업계 유대를 강화하고, 건전한 산업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정부와 국회에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지원, 대중소 상생 협력 프로그램 운영, 반도체 산업 통계 및 연구 보고서 제공 등 반도체 산업과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