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4명)

이전

저 : 마이클 스조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마이클 스조니
관심작가 알림신청
Michael Szonyi
마이클 스조니는 미국 하버드 대학의 중국사 교수이자 페어뱅크 중국학 센터의 소장을 맡고 있다. 토론토대학에서 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고 옥스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 타이완 대학과 중국의 샤먼대학에서도 연구를 수행했으며, 중국 제국 말기와 근대 중국의 사회사를 전공하고 있다. 맥길 대학교와 토론토 대학에서 가르치다가 2005 년에 하버드 대학교로 옮겼으며, 2007 년부터 인문학부 John L. Loeb 부교수 및 2009 년부터는 중국사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역사학과를 겸임하고 있다. 스조니는 전통적인 문헌자료와 민족지 형식의 현장 연구를 결합하여, 명 왕조로부터 21 세기까지 중국 남동부의 지역사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해 왔다. 저서로는 The Art of Being Governed: Everyday Politics in Late Imperial China(Princeton, 2017); A Companion to Chinese History (Wiley, 2017); Practicing Kinship (Stanford, 2002); Cold War Island: Quemoy on the Front Line (Cambridge, 2008) 등이 있다.

저 : 제니퍼 루돌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제니퍼 루돌프
관심작가 알림신청
Jennifer Rudolph
우스터공과대학교의 역사 및 국제관계학 교수이자 교내외 동아시아 국제 교류 및 지식 함양을 위해 설립된 동아시아허브(전 차이나허브)의 디렉터다. 중국의 성장과 국제적 위상, 그리고 내부 정치의 복잡성에 대해 일반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역 : 함규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함규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지금도 수없이 발굴되고 새로이 해석되는 방대한 역사의 세계를 우리 삶에 와 닿는 언어로 맛깔스럽게 전하는 역사저술가. 지식으로서의 역사를 넘어 ‘역사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이라는 무궁무진한 탐구 주제를 가지고 방송, 집필, 온라인 강의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재미있게 풀어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정약용의 정치사상을 주제로 정치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국가경영전략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보수와 진보 등 서로 대립되는 듯한 입장 사이에 길을 내고 함께 살아갈 집을 짓는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30개 도시로 읽는 한국사》, 《108가지 결정》, 《벽이 만든 세계사》, 《개와 늑대들의 정치학》, 《조약으로 보는 세계사 강의》, 《리더가 읽어야 할 세계사 평행이론》, 《세계사를 바꾼 담판의 역사》, 《유대인의 초상》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하버드대학 미·중 특강》, 《후안흑심》, 《피에 젖은 땅》, 《공정하다는 착각》, 《실패한 우파가 어떻게 승자가 되었나》 등이 있다.

함규진의 다른 상품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20,0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의 필란트로피

미래의 필란트로피

19,000

'미래의 필란트로피' 상세페이지 이동

10×10 로마사

10×10 로마사

18,900

'10×10 로마사' 상세페이지 이동

30개 도시로 읽는 한국사

30개 도시로 읽는 한국사

19,600

'30개 도시로 읽는 한국사' 상세페이지 이동

전통 인성교육, 이렇게 한다 : 온고지신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제

전통 인성교육, 이렇게 한다 : 온고지신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제

24,000

'전통 인성교육, 이렇게 한다 : 온고지신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제'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13,3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상세페이지 이동

시민의 조건, 민주주의를 읽는 시간

시민의 조건, 민주주의를 읽는 시간

16,100

'시민의 조건, 민주주의를 읽는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