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안도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안도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1년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협동의 기초」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정치학과,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집합행동이론과 공공선택이론이며 Journal of Politics, Political Psychology,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Journal of Public Economics, Journal of Public Economic Theory, Public Choice 등의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안도경의 다른 상품

저 : 김영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영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1997년 서울대학교에서 「고려말과 조선조 건국기의 정치적 위기와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통령실 연설기록비서관,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영남대학교 정치행정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 『건국의 정치: 여말선초, 혁명과 문명전환』(이학사, 2006)은 한국정치학회 학술상(2006), 제32회 월봉저작상(2007)을 수상했다. 공저로는 『정치학의 대상과 방법』(박영사, 2005), 『한국정치사상』(박영사, 2010), 『세종리더십 이야기』(한국학중앙연구원, 2010)가 있고, 논문은 「조선 공론 정치의 이상과 현실: 당쟁발생기 율곡 이이의 공론정치론을 중심으로」(2005, 2019), 「한일회담과 독도영유권」 (2008, 2010), 「일본 주자학 도입기 유학자의 문제의식: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의 사상을 중심으로」(2014), 「효행록에 나타난 효의 윤리관과 보응론」(2015), 「세종대 의 문화정체성 논쟁: 훈민정음 창제를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2016), 「조선조 김시습론과 절의론」(2020) 등이 있다. KBS 드라마 〈정도전〉(2014 방영), 〈태종 이방원〉(2021-2022 방영)의 자문교수이다.

김영수의 다른 상품

세종대의 정치와 사상

세종대의 정치와 사상

37,050 (5%)

'세종대의 정치와 사상' 상세페이지 이동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23,750 (5%)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상세페이지 이동

고려의 가을

고려의 가을

38,000 (5%)

'고려의 가을' 상세페이지 이동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학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학

14,400 (10%)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학'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 전망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 전망

29,000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 전망 ' 상세페이지 이동

민의와 의론

민의와 의론

25,200 (10%)

'민의와 의론' 상세페이지 이동

건국의 정치

건국의 정치

27,000 (10%)

'건국의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정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정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경상남도 합천 태생으로 학남초등학교, 덕곡중학교, 서울 대성중학교, 반포중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를 거쳐서 서울대 정치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나오고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하였다. 정치학의 다양한 분야를 통섭하고 오랜 기간 한국정치, 동남아정치경제, 인도정치와 사회, 그리고 서양과 한국 민주주의 사상을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는 정치학자이다. 저서 중에는 한국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한 “Votes, Party Systems, and Democracy in Asia(New York: Routledge, 2012)”와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는 동시에 교육부 학술지원사업 우수성과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한 『인도의 사회적 취약층과 우대정책: 기타후진계층(OBC)의 공직, 교육 및 정치부문 할당정책』(서울: 글로벌콘텐츠, 2017)이 있다. 논문으로는 인도, 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미국, 대만에 관한 경험적 연구들뿐만 아니라, 이 책의 주제인 민주주의 사상 관련된 것으로 “democracy는 민주주의가 아니라 다수정이다: 공화주의와의 차이를 논하며(2009),” “근대 한국에서의 민주 개념의 역사적 고찰(2013),” “동아시아 5개국 제헌과정의 민주적 정당성 비교(2021)”가 있다. 현재 그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받아 장기 개인연구 과제로 서양민주주의 개념사를 연구하고 있고, 공동연구 과제로 제헌국회 회의록에 등장하는 민주주의 사상을 연구 중이다.

최정욱의 다른 상품

서양 민주 개념 통사: 고대편

서양 민주 개념 통사: 고대편

13,500

'서양 민주 개념 통사: 고대편' 상세페이지 이동

인도의 사회적 취약층과 우대정책

인도의 사회적 취약층과 우대정책

13,800

'인도의 사회적 취약층과 우대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서희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희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방문학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경희대 공공거버넌스 센터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저술로는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창비, 2012/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한국헌정사, 1948-1987』(포럼, 2020/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Truth and Reconciliation in South Korea(공저, Routledge, 2013)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역사적 기원(1898-1919)」(2006), 「남한과 북한 헌법제정의 비교연구(1947-1948)」(2007), 「한국헌법의 정신사」(2011), 「김성수와 한국민주당 연구」(2013), 「헌법적 쟁점과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1945-1950)?(2014), 「1950년대 후반 ‘포스트 이승만 정치’의 헌정사」(2016), 「이승만의 민주공화주의 정치운동 연구(1895-1899)」(2019), 「근현대 한국 연호의 변화 양상과 논쟁」(2022), 「大韓民國憲法前文と大韓民國の正統性に關する議論」(2017), 「War and Justice: Just Cause of the Korean War」(2012) 등이 있다.

서희경의 다른 상품

87년 체제의 한국헌정사 1987-2017

87년 체제의 한국헌정사 1987-2017

55,000

'87년 체제의 한국헌정사 1987-2017' 상세페이지 이동

윤보선과 1950년대 한국정치

윤보선과 1950년대 한국정치

20,000

'윤보선과 1950년대 한국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헌정사 1948-1987

한국헌정사 1948-1987

55,000

'한국헌정사 1948-1987 ' 상세페이지 이동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

20,000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 상세페이지 이동

공화와 민주의 나라

공화와 민주의 나라

26,600 (5%)

'공화와 민주의 나라'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