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역주 : 이원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이원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북아역사재단에 재직 중이다. 동아시아 전통사회의 예학(禮學)과 경연(經筵)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중세 정치사상과 周禮』(2005, 공저), 『유교의 예치이념과 조선』(2007, 공저), 『한국유학사상대계Ⅷ(법사상편)』(2008, 공저) 등이, 역서로 『茶山의 經學世界』(2002, 공역), 『역주 詩經講義 1~5』(2008, 공역) 등이, 논문으로 「顯宗朝의 復讐義理 논쟁과 公私 관념」(2002), 「법가사상과 리더십: 한비자의 경우」(2007), 「17세기 복제예송이 18세기 복제예론에 미친 영향」(2008), 「星湖의 정치사상과 ‘유교주의’」(2010), 「근대적 소유권의 확립과 관습적 권리의 박탈」(2010) 등이 있다.

이원택의 다른 상품

역사화해의 이정표 2

역사화해의 이정표 2

15,200 (5%)

'역사화해의 이정표 2' 상세페이지 이동

민의와 의론

민의와 의론

25,200 (10%)

'민의와 의론'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 박례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박례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역임하였고 延世大學校, 韓國航空大學校 강사. 현재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동아시아고전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역대 예제와 예제 현실의 예경학적 토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논저로는 「조선시대 국장에서 조조의 설행 논의와 결과」,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 존존의 정당화 문제」,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적 맥락에 대한 성찰」, 「덕치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즉위의례」, 「정현 예학의 지향점」, 『동양철학의 세계』, 『왕실의 천지제사』,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 사전』 등이 있다.

박례경의 다른 상품

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24,300 (10%)

'녹문 임성주의 학문과 사상'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譯註 주례주소周禮注疏 4

역주 譯註 주례주소周禮注疏 4

27,000

'역주 譯註 주례주소周禮注疏 4'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3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3

30,000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3'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1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1

29,000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1' 상세페이지 이동

즉위식, 국왕의 탄생

즉위식, 국왕의 탄생

22,500 (10%)

'즉위식, 국왕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혼례식 풍경

19,800 (10%)

'왕실의 혼례식 풍경' 상세페이지 이동

왕실의 천지제사

왕실의 천지제사

25,200 (10%)

'왕실의 천지제사'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