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4명)

이전

저 : 장현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현광
관심작가 알림신청
張顯光
장현광(張顯光)은 1554년(명종 9)에 출생해서 1637년(인조 15)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학자다. 호는 여헌(旅軒)이고 자는 덕회(德晦)다. 경상북도 인동(仁同)에서 태어난 장현광은 17세기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유학자로 이황(李滉)의 문인들 사이에서 확고한 권위를 인정받았다.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힘썼으며 많은 남인계 학자들을 길러 냈다. 학맥은 퇴계 학파로 분류되지만 이(理)와 기(氣)를 이원적으로 보지 않았다는 점에서 오히려 이이(李珥)의 심성론에 부합하는 바가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런 까닭에 그의 학설은 남인 계열의 학자들 중에서 매우 이색적이고 독창적이라고 평가된다. 그의 생애 기간은 왜란 및 호란의 양란기와 맞물려 있는데 한때 의병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왜란 이후 15년간 여기저기를 떠돌 수밖에 없었는데, 자호(自號) 여헌(旅軒)이 암시하듯이 모든 인간은 궁극적으로 우주 사이의 나그네이며, 나그네로서 지켜야 할 도리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장현광은 적지 않은 저술을 남겼다. 18세에 ≪우주요괄(宇宙要括)≫, 44세에 ≪여헌설(旅軒說)≫을 지었으며, 55세에는 ≪역학도설(易學圖說)≫을 찬술하기 시작했다. 68세에는 ≪경위설(經緯說)≫을, 75세에는 ≪만학요회(晩學要會)≫를, 77세에는 ≪역괘총설(易卦總說)≫을, 78세에는 ≪우주설(宇宙說)≫을, 79세에는 ≪태극설(太極說)≫을, 81세에 ≪도서발휘(圖書發揮)≫를 각각 지었다. 그는 보은현감(報恩縣監), 공조좌랑(工曹佐?), 의성현령(義城縣令), 형조참판(刑曹參判)을 지냈으며, 대사헌(大司憲)과 공조판서(工曹判書)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사후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장현광의 다른 상품

역 : 성원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성원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成元圭
198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단국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고전번역교육원 연수부 과정을 졸업하고, 현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심대윤의 『시경집전변정』을 함께 번역했다.

성원규의 다른 상품

역 : 윤은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윤은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尹銀淑
1957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덕성여대 경영학과와 방송통신대 중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연수부와 일반연구부 과정을 마치고 전통문화연구회 집필위원을 거쳐 현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자치통감강목(4-14)』, 심대윤의 『시경집전변정』 등을 함께 번역했다.

윤은숙의 다른 상품

여헌성리설 2

여헌성리설 2

28,000

'여헌성리설 2' 상세페이지 이동

여헌성리설 1

여헌성리설 1

40,000

'여헌성리설 1' 상세페이지 이동

시경집전변정 4

시경집전변정 4

35,000

'시경집전변정 4' 상세페이지 이동

시경집전변정 3

시경집전변정 3

35,000

'시경집전변정 3' 상세페이지 이동

시경집전변정 2

시경집전변정 2

35,000

'시경집전변정 2' 상세페이지 이동

시경집전변정 1

시경집전변정 1

35,000

'시경집전변정 1'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

36,000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김형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형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炯奭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전자공학과 중어중문학을 공부하였고, 한국고전번역원 연수부를 졸업하였다. 현재 해동경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심대윤의 『시경집전변정』을 함께 번역했다.

김형석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