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이
관심작가 알림신청
Johan August Strindberg
1849년 1월 22일, 빚더미에 빠져 파산한 해운업자이며 귀족이었던 아버지와 여관에서 종업원으로 일했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여섯 명의 남매와 함께 스톡홀름에서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스트린드베리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웁살라대학에서 화학과 의학 공부를 시작했지만, 왕립극장의 배우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학업에 충실하지 못했다. 하지만 배우로서의 소질도 인정받지 못했던 그는 한때 방랑자처럼 생활하며 방황하기도 했다. 1874년 왕립도서관의 사서 보조로 일하면서 문화사와 중국학 등을 연구했으며 1877년에 남작 부인이자 배우 지망생이었던 시리 폰 에센과 결혼했다. 1879년에 출간한 자전적 사실주의 소설 『빨간 방』이 성공한 이후 풍자소설 『새로운 왕국』을 연이어 발표했다. 이후 단편집 『결혼』을 출간했으나 신성모독이라는 이유로 고발당했다. 스트린드베리는 무죄로 풀려났으나 이 일로 불안과 편집증적 증세를 보였고, 피폐했던 결혼 생활도 끝나게 된다. 1887년 자연주의 희곡으로 평가받는 「아버지」를 집필했으며, 1888년에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미스 줄리」를 선보였다. 이후에도 「파리아」, 「채권자」 등 주요 희곡을 연이어 발표했다. 1893년에는 두 번째 부인인 프리다 울과 결혼했으나 역시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고 곧 헤어졌다. 1898년 최초의 표현주의 희곡이라 평가받는 「다마스쿠스로」를 선보였고 1901년에 여배우 하리에트 보세와 세 번째 결혼 생활을 시작했으나 역시 이혼하고 말았다.
1902년에 그에게 명성을 안겨 준 희곡 「꿈의 연극」을 발표하고 아우구스트 팔크와 함께 스톡홀름에 극장 ‘인티마 테아테르’를 만들어 자신의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1910년에는 일명 ‘스트린드베리 논쟁’이라 불리는 스웨덴 역사상 가장 큰 문화 토론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순수한 문학 토론이었으나 곧 참정권, 국방 그리고 스웨덴 한림원의 역할에 대한 주제로 옮겨 가며 무려 20년 이상 지속됐다. 불우한 결혼 생활로 인해 정신적 고뇌를 겪고, 체제 비판적인 면모로 많은 공격을 받으면서도 위대한 작품을 집필했던 스트린드베리는 1912년 5월 14일 위암으로 타계했다.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이의 다른 상품

꿈의 연극

꿈의 연극

12,600 (10%)

'꿈의 연극' 상세페이지 이동

율리에 아씨

율리에 아씨

12,800

'율리에 아씨' 상세페이지 이동

율리에 아씨 (큰글자책)

율리에 아씨 (큰글자책)

24,000

'율리에 아씨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유령소나타 (큰글씨책)

유령소나타 (큰글씨책)

26,000

'유령소나타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꿈

22,500 (10%)

'꿈'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조성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조성관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경희대 영어영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0년대 말에 인디록페스티벌 〈소란〉을 기획했고, 연극 〈오델로〉, 〈갱스터스 파라다이스〉, 〈불멸의 여자〉, 뮤지컬 〈크레이지 포 유〉 외 여러 공연에서 조연출 및 무대 감독으로 일했다. 영국 런던대학교 퀸메리컬리지에서 공연학 석사,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연극학 박사 학위을 받았다. 가천대, 건국대, 고려대에서 강의했고 현재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샘 셰퍼드의 《마음의 거짓말》(공역, 2004, 예니)과 토머스 미들턴과 윌리엄 로울리의 《체인즐링》(2020, 지만지드라마)이 있다. 논문으로는 〈Theatre Censorship in South Korea : a Nation in Permanent Crisis〉, 〈The Method of Action Analysis and the North Korean Realism Theatre in the 1960s〉, 〈A Hero of the Two Koreas〉, 〈능동적인 수용자 : 랑시에르의 관객론과 한국 연극의 셰익스피어 수용〉 등이 있다.

조성관의 다른 상품

역 : 홍재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홍재범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기도 동두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이효석 소설과 1930년대 한국 대중 비극 연구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극단 미추에서 운영했던 미추연극학교를 2기로 수료하고 국립극단 연수단원을 거치면서 연극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현장 작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독립영화협의회에서 주관하는 ‘독립영화워크숍 HD 제작 실습 입문 과정’(160기)으로 영화 작업의 첫걸음을 시작했다. 1994년 국립극단 〈노부인의 방문〉 객원 출연 이후 〈태〉, 〈마르고 닳도록〉, 〈카르멘〉, 〈꽃다방 이야기〉, 〈인형의 집〉, 〈결혼 피로연〉, 〈꽃 속에 살고 죽고〉, 〈불멸의 여자〉 등의 연극과 단편 영화 〈낮잠〉, 〈인 하우스〉에 배우로 출연했고 〈인형의 집〉을 연출했다. 저서로는 《한국 대중 비극과 근대성의 체험》(2003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한국 극예술의 접점》(2006년 문화 관광부 우수학술 도서), 《각색의 기술, 재현과 창조 사이》(2015년 세종 우수 학술 도서), 《서구 현대극의 이론》(역), 《이야기와 담화》(역),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조선예술>》(편), 《북한 5대 혁명 연극》(편), 《20세기 한국 희곡 선집 1》(편저) 등이 있고, 논문들로 〈1930년대 휴머니즘 연구〉, 〈근대적 이성의 이율배반〉, 〈창조적 자감을 위한 시각적 상상력 훈련 방법〉, 〈The Method of Action Analysis and the North Korean Realism Theatre in the 1960s〉, 〈A Hero of the Two Koreas〉, 〈Distinctive Features in South and North Korean Translation of Stanislavski〉 외 다수가 있다. 경원대, 서울대, 서원대 등에서 강의했고, 현재 건국대 국어국문학과에 재직 중이며 대학원 문학예술심리치료학과 교수를 겸하고 있다.

홍재범의 다른 상품

20세기 한국희곡선집 1

20세기 한국희곡선집 1

25,000

'20세기 한국희곡선집 1' 상세페이지 이동

북한 5대 혁명연극

북한 5대 혁명연극

23,000

'북한 5대 혁명연극' 상세페이지 이동

채만식 희곡집

채만식 희곡집

26,000

'채만식 희곡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야기와 담화

이야기와 담화

22,000

'이야기와 담화 '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