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가와카미 미에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가와카미 미에코
관심작가 알림신청
Mieko Kawakami,かわかみ みえこ,川上 未映子
1976년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남동생의 학비를 벌기 위해 술집에서 일을 하기도 했던 그녀는, 2004년에 '꿈꾸는 기계', 2005년에 '머릿속과 세계의 결혼' 등의 앨범을 발표하며 가수로도 데뷔했다. 2006년에 수필집 『봐요, 머리는 큽니다, 세계가 쏙 들어갑니다』를 출간하였고, 첫 중편소설 『와타쿠시리츠 인 치아, 또는 세계』가 제 137회 아쿠타가와상 후보에 오름과 동시에 쓰보치쇼오상 장려상을 수상하면서 문단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뒤이어 2008년에는 『젖과 알』이 제138회 아쿠타가와상을 받으면서, '팔방미인 가수 출신 작가'로 언론의 대대적인 관심을 받았다.

그녀의 대표작 『젖과 알』은 여성의 몸과 마음의 관계, 그리고 자신은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을 소재로 했다. 수상 당시에 서점 직원, 치과의사 조수, 호스티스와 무명 가수 출신이라는 특이한 이력으로 화제가 되었지만, 화려한 이력은 작품성 앞에서 무색했다. 무라카미 류는 “아슬아슬한 곳에서 제어된 훌륭한 문체가 일품”이라며 호평했고, 심사위원 이케자와 나츠키 역시 “불만 없는 수상작”이라고 평한바 있다.

학교 내 왕따 문제를 통해 선과 악의 근원을 묻는 작가의 첫 장편소설 『헤븐』은 평단과 독자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일본 최대 서점 기노쿠니야 직원들이 뽑는 2010년 최고의 책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그는 이 작품으로 당대 최고의 여성작가에게 수여하는 무라사키 시키부 문학상까지 거머쥔다. 작가 데뷔의 발판이 된「끝으로, 찌를 거야 찔릴 거야 자, 됐어」를 엮은 시집은 제14회 나카하라 츄야상을 수상, 시인으로서도 인정받는다. 또한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을 영화화한 [판도라의 상자]를 통해 영화배우로도 데뷔하여, ‘키네마 순보 신인 여우상’, ‘오사카 시네마 페스티벌 신인 여우상’을 동시 수상하며 그녀의 끝없는 재능을 또다시 증명한다. 또한 극장 애니메이션 [미도리코]의 음악을 일부 담당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선보이고 있다.

가와카미 미에코의 다른 상품

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

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

9,800

'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지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지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을 원서로 읽기 위해 일본어를 전공한 번역가. 사노 요코의 『사는 게 뭐라고』 『죽는 게 뭐라고』,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키키 키린의 말』, 니시키와 미와의 『고독한 직업』 『야구에도 3번의 기회가 있다는데』, 미야모토 테루의 『생의 실루엣』 『그냥 믿어주는 일』, 가와카미 미에코의 『헤븐』 등 다수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고, 『아무튼, 하루키』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공저), 『읽는 사이』(공저)를 썼다.

이지수의 다른 상품

사랑인 줄 알았는데 부정맥

사랑인 줄 알았는데 부정맥

9,310

'사랑인 줄 알았는데 부정맥' 상세페이지 이동

그냥 믿어주는 일

그냥 믿어주는 일

9,800

'그냥 믿어주는 일'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올록볼록해

우리는 올록볼록해

10,500

'우리는 올록볼록해' 상세페이지 이동

두둥실 천국 같은

두둥실 천국 같은

12,600

'두둥실 천국 같은' 상세페이지 이동

이걸로 살아요

이걸로 살아요

12,000

'이걸로 살아요'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걸 비추는 밤, 마음만은 보이지 않아

모든 걸 비추는 밤, 마음만은 보이지 않아

14,800

'모든 걸 비추는 밤, 마음만은 보이지 않아' 상세페이지 이동

완두콩의 비밀

완두콩의 비밀

12,600

'완두콩의 비밀' 상세페이지 이동

낯선 여자가 매일 집에 온다

낯선 여자가 매일 집에 온다

11,000

'낯선 여자가 매일 집에 온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