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임대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대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동대학원 미술이론과를 졸업하고 멜버른대학 미술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부터 현재까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멀티플/다이얼로그∞』(2009), 『무제』(2015), 『균열』(2018), 『박이소: 기록과 기억』(2018), 『MMCA 현대차 시리즈 2019: 박찬경-모임』(2019), 『가면무도회』(2022) 등을 기획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전시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임대근의 다른 상품

전시의 전시

전시의 전시

32,000

'전시의 전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윤혜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혜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5년 10월 출생. 20년 넘도록 세계가 주목하는 예술 거장들을 만나 그들의 삶과 철학을 명징한 글로 전달해 온 에디터. 길바닥에 널브러진 사물 하나도 다르게 바라보기가 절실했던 그는 에디터로서의 태생적 한계를 예술가들이 해결해 주었다고 믿는다. 그래서 놀라운 각성의 순간을 선사하는 예술가의 보석 같은 말들을 차곡차곡 수집해 왔고, 그동안 만나 온 수백 명의 아티스트 중에 19인과의 인터뷰를 엄선하여 첫 저서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을 펴냈다. 이 책은 예술에 대한 편견을 넘어 현시대에 필요한 개념과 이상적인 작품을 창조하기 위해 분투하는 예술가들 곁으로 깊이 파고들어 그들의 말과 사유를 내밀하게 담고 있다. 윤혜정은 『필름 2.0』의 창간 멤버로 에디터 생활을 시작한 후, 『하퍼스 바자』와 『보그』에서 피처 디렉터로 오랜 세월 활동했다. 2014년에 패션과 예술의 공존을 조명하는 『바자 아트』를 창간했으며, 공저로 『김중업 서산부인과 의원: 근대를 뚫고 피어난 꽃』(2018)이 있다. 현재 국제갤러리 이사로 재직 중이며, 『보그』, 『바자』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하고 있다.

윤혜정의 다른 상품

인생, 예술

인생, 예술

16,200 (10%)

'인생, 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

20,700 (10%)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곽영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곽영빈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술평론가이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객원 교수로, 미국 아이오와대학에서 「한국 비애극의 기원」으로 박사학 위를 받았다. 2015년 서울시립미술관이 제정한 최초의 국공립미술 관 평론상인 제1회 SeMA-하나 비평상을 수상했다. 논문으로 「「다다익선」의 오래된 미래: 쓸모없는 뉴미디어의 ‘시차적 당대성’」, 「페 르/소나로서의 역사에 대한 반복강박-임흥순과 오디오-비주얼 이미지」 등이 있고, 저서로 『아바타 인문학』(공저), 『21세기 한국 예술의 고전을 찾아서』(공저), 『비디오 포트레이트』(공저), 『이미지의 막다른 길』(공저) 등이 있다.

곽영빈의 다른 상품

잠재공간 속의 생태학 : 재난, 생성신경망, 그리고

잠재공간 속의 생태학 : 재난, 생성신경망, 그리고

16,200 (10%)

'잠재공간 속의 생태학 : 재난, 생성신경망, 그리고 ' 상세페이지 이동

파도와 차고 세일

파도와 차고 세일

26,100 (10%)

'파도와 차고 세일' 상세페이지 이동

미술관은 무엇을 연결하는가

미술관은 무엇을 연결하는가

20,000

'미술관은 무엇을 연결하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한류 테크놀로지 문화

한류 테크놀로지 문화

19,000

'한류 테크놀로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16,200 (10%)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

14,400 (10%)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성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성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 인근에서 활동하며 저술과 번역을 겸하는 그래픽디자이너이다. 최슬기와 함께 ‘슬기와 민’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 지은 책으로 『누가 화이트 큐브를 두려워하랴?그래픽디자인을 전시하는 전략들』 『작품 설명』 『오프화이트 페이퍼?브르노 비엔날레와 교육』 『불공평하고 불완전한 네덜란드 디자인 여행』(이상 최슬기 공저), 『그래픽디자인, 2005?2015, 서울?299개 어휘』(김형진 공저),
『재료: 언어?김뉘연과 전용완의 문학과 비문학』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멀티플 시그니처』(최슬기 공역),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 『왼끝 맞춘 글』 『레트로 마니아?과거에 중독된 대중문화』 『파울 레너?타이포그래피 예술』 『현대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그래픽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를 가르친다.

최성민의 다른 상품

일상의 실천 EVERYDAY PRACTICE

일상의 실천 EVERYDAY PRACTICE

43,200 (10%)

'일상의 실천 EVERYDAY PRACTICE' 상세페이지 이동

누가 화이트 큐브를 두려워하랴

누가 화이트 큐브를 두려워하랴

14,400 (10%)

'누가 화이트 큐브를 두려워하랴' 상세페이지 이동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

27,000 (10%)

'리처드 홀리스, 화이트채플을 디자인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재료: 언어

재료: 언어

13,500 (10%)

'재료: 언어'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타이포그래피

현대 타이포그래피

22,500 (10%)

'현대 타이포그래피' 상세페이지 이동

멀티플 시그니처

멀티플 시그니처

34,200 (10%)

'멀티플 시그니처' 상세페이지 이동

왼끝 맞춘 글

왼끝 맞춘 글

22,500 (10%)

'왼끝 맞춘 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다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다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축과 도시계획을 전공하고 『공간』에서 기자와 편집자로 일한 뒤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며 건축 부문 전시 기획과 연구를 맡고 있다. 아카이브와 도큐멘테이션을 매개로 건축과 시각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는 큐레이터로 건축의 다양한 확장과 그것을 이론화하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 기획한 주요 전시로 「아트폴리 큐브릭」(2012), 「그림일기: 정기용 건축 아카이브」(2013), 「이타미 준: 바람의 조형」(2014), 「아키토피아의 실험」(2015), 「보이드」(2016), 「종이와 콘크리트: 한국 현대건축 운동 1987-1997」(2017), 「김중업 다이얼로그」(2018) 등이 있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를 비롯해 여러 책을 다른 연구자와 함께 썼다. 현재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로 디자인문화 연구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정다영의 다른 상품

뉴 큐레이터

뉴 큐레이터

28,500 (5%)

'뉴 큐레이터'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14,400 (10%)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심소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심소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과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큐레이터로, 도시공간과 예술 실천의 관계를 전시, 공공프로젝트, 리서치를 통해 탐구하고 이를 큐레토리얼 담론으로 재생산하는 데 관심을 둔다. 계간 『문화/과학』의 편집위원이며, 콜렉티브 ‘리트레이싱 뷰로’로도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큐레이팅 팬데믹』 및 『주변으로의 표류: 포스트 팬데믹 도시의 공공성 전환』 등이 있다.

심소미의 다른 상품

리얼-리얼시티

리얼-리얼시티

23,750 (5%)

'리얼-리얼시티' 상세페이지 이동

넥스토피아

넥스토피아

8,550 (5%)

'넥스토피아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원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원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골형성부전증으로 휠체어를 탄다. 열다섯 살까지 병원과 집에서만 생활했다. 검정고시로 초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장애인을 위한 특수학교의 중학부와 일반 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 등에서 일했으며, ‘장애문화예술연구소 짓’에서 연극배우로 활약하기도 했다. 현재 서울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사랑 및 우정에서의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 [인정투쟁―예술가 편] 등에 출연했다.

한편에는 장애, 질병, 가난을 이유로 소외받는 동료들이 있고 다른 한편에는 좋은 직업, 학벌, 매력적인 외모로 세상의 ‘중심’에 서 있는 동료들이 있다. 그 가운데서 진동하듯 살면서, 또 사회학과 법학을 공부하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장애인 문제를 사회적 차원에서 고민하기 시작했고, 그 고민을 여러 매체에 글로 썼다. 지은 책으로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인문의학』(공저) 『희망 대신 욕망』이 있다. [한겨레]와 [시사인], [비마이너] 등에 글을 쓴다. 2019 년 [시사IN]에 ‘김초엽, 김원영의 사이보그가 되다’를 연재했다.

김원영의 다른 상품

일상의 낱말들 (큰글자도서)

일상의 낱말들 (큰글자도서)

42,000

'일상의 낱말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일상의 낱말들

일상의 낱말들

16,200 (10%)

'일상의 낱말들' 상세페이지 이동

한편 9호 외모 [2022]

한편 9호 외모 [2022]

9,000 (10%)

'한편 9호 외모 [2022]' 상세페이지 이동

희망 대신 욕망 (큰글자도서)

희망 대신 욕망 (큰글자도서)

36,000

'희망 대신 욕망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큰글자도서)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큰글자도서)

32,000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사이보그가 되다 (큰글자도서)

사이보그가 되다 (큰글자도서)

40,000

'사이보그가 되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매거진 G : 3호 [2021]

매거진 G : 3호 [2021]

8,910 (10%)

'매거진 G : 3호 [2021] ' 상세페이지 이동

사이보그가 되다

사이보그가 되다

17,820 (10%)

'사이보그가 되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춘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춘웅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서울에서 활동 중인 건축가다. 2008년 광주비엔날레와 2010년 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에서 공간디자이너로 활동했고, 「플랫폼 인 기무사」(기무사, 2009), 「플레이타임」(문화역서울284, 2012), 「탁월한 협업자들」(일민미술관, 2013), 「아트선재 공간 프로젝트」(아트선재, 2014), 「보이드」(국립현대미술관, 2016)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버클리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미국과 스페인을 거쳐 2007년부터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춘웅의 다른 상품

트로피컬 스페이스 H&P 아키텍츠

트로피컬 스페이스 H&P 아키텍츠

19,800 (10%)

'트로피컬 스페이스 H&P 아키텍츠' 상세페이지 이동

리우지아쿤

리우지아쿤

18,000 (10%)

'리우지아쿤'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14,400 (10%)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