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5명)

이전

저 : 전우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전우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우택은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교수 겸 연세동곡의학교육원 원장이며, 한국의학교육학회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연세의대를 졸업하였다. 1989년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자격, 1994년 연세대학교에서 의사박사학위(정신의학)를 취득하였다. 1994년부터 연세의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고,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사회의학과(Department of Social Medicine)와 하버드 난민 프로그램(Harvard Program of Refugee)에서 fellow로 활동하였다. 정신과 영역에서는 주로 사회정신의학 영역에서 연구를 하여 탈북자, 난민, 사회적 트라우마, 북한과 통일에 대한 연구들을 하였으며, 한국자살예방협회 이사장,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 한반도평화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연세의대 의학교육학과로 소속을 옮겨 의학교육학과 교수 및 학과장으로 활동하면서 정신과학교실 및 인문사회의학교실 겸무교수로 있어왔다. 의학교육 학술지인 『의학교육논단』의 편집인 및 대한의학회 교육이사, 한국의학교육학회 의학교육지원단(MERCI)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통일 관련 대표저서로는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단독, 2000),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단독, 2007), 『웰컴 투 코리아』(공동저자, 2006), 『통일 실험, 그 7년』(대표편저자, 2010),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대표편저자, 2015),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대표편저자, 2016), 『트라우마와 사회치유』(대표편저자,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대표편저자, 2019, 2021), 『평화와 반평화』(대표편저자, 2021), 『통일보건의료의 미래』(대표편저자, 2023) 등이 있다. 의학교육 관련 대표저서로는 『사회의학 연구방법론』(단독, 1999), 『의료의 문화사회학』(대표편저자, 2002), 『의학적 상상력의 힘』(대표편저자, 2010), 『인문사회의학』(대표편저자, 2010), 『예비의료인을 위한 진로선택 가이드북』(대표편저자, 2006, 2014), 『의학교육의 미래』(1판, 단독, 2016) 등이 있다. 의료선교 관련 저서로 『의교선교학』(대표편저자, 2004), 『땅 끝의 아침』(대표편저자, 2007) 등이 있고, 그 외 『정신의학과 기독교』(대표편저자, 2020)가 있다.

전우택의 다른 상품

평화와 반평화 (개정증보판)

평화와 반평화 (개정증보판)

14,000

'평화와 반평화 (개정증보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소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소윤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료법윤리학과 교수로서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보건학 기획단장,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원장으로 재직중이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보 기술서기관, WHO WPRO Legal staff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의료법학회 회장, 국제보건학회 편집위원장, (재)아주 남북한 보건의료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국제보건총론」(계축문화사, 2023), 「노인보건학」(계축문화사, 2018),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분석」(박영사, 2017), 「남북한 보건의료 제11권 국제개발협력관점에서의 대북 보건의료지원: 감염병 관리를 중심으로」(재단법인, 아주남북한 보건의료연구소, 2017),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제3판)」(계축문화사, 2017) 등이 있다.

김소윤의 다른 상품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7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7

24,000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7'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원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원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료원 제중원보건개발원 의료선교센터 국제사역디렉터, 의과대학 소아과 및 인문사회의학교실 겸무교수로 재직 중이고, 통일보건의료센터 운영위원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M.D., Ph.D.) 및 미국 바이올라대학교 탈봇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였다. 연세의료원의 몽골사역책임자로 몽골국립의과학대학교 및 부속병원과 연세친선병원에서 교수, 중앙연구실장, 소아과자문의,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몽골지회 자문위원(2013-2019)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인터서브선교회 파트너 및 이사이다. 저서로는 『복음은 초원과 사막을 넘어』(홍성사, 공저 2018), 『현대 의료 선교학』(미래사cross, 공저 2018), 박사논문으로 『체제전환국가에서 이루어진 합작병원사업의 의료선교적 의미』(연세대학교, 2022)가 있다.

저 : 신보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보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기초연구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건학자로서 몸과 마음에 공유된 기억으로 새겨지는 사회적 트라우마가 개인과 집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사회적 트라우마를 사회를 통해 치료하고 치유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주요하게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통일 의료, 북한이탈주민, 북한, 갈등?화해학, 평화학 등을 주요 관심 연구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통일보건의료학회 총무간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트리우마와 사회치유』(역사비평사,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제2판, 2021) 등이 있다.

저 : 손인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인배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반도 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통일,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남북보건의료협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표, 지수 개발 작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반도 번영의 경제적 귀결을 관심 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한반도평화연구원 행정팀장,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간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23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위원이다. 저서로는 『트리우마와 사회치유』(역사비평사, 2019)가 있다.

손인배의 다른 상품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14,000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영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영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연구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자격소지자로,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 수련감독자로 근무하며 심리평가, 심리치료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고, H2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 구성과 진행, 결과 분석을 담당하였다.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수련이사, 정책및제도이사, 총무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 : 김옥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옥심
관심작가 알림신청
북한이탈주민이며,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BK21 ‘S-L.E.A.P 미래간호인재 교육연구단’의 연구원으로 ‘바이오마커 기반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복합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측정도구 개발 및 사회적 회복 요소 발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그 가족들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와 특히, 북한이탈주민과 자녀들의 건강에 관심이 있다.

김옥심의 다른 상품

남한 의료인과 북한이탈주민의 의료 의사소통

남한 의료인과 북한이탈주민의 의료 의사소통

9,100

'남한 의료인과 북한이탈주민의 의료 의사소통'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경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경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객원교수이다. 북한에서 태어나 자라나고 공부했다. 그러나 소위 적대계급 출신이었기에 많은 차별과 고통을 받아오다가 북한을 탈출해 한국으로 들어왔다. 2017년 탈북 여성의 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분단된 한반도 지정학적 위기를 배경으로 북한 체제의 트라우마 및 북한 사람의 트라우마 이해와 치유, 한반도 트라우마와 치유, 북한 인권과 북한 시민 사회, 평화 사상, 용서와 화해 등에 관해 연구하며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 : 김재송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재송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약무정보파트장으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이다. 사회약학자로서 현재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위원, 한국병원약사회 홍보위원장,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홍보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판, 2021), 「사회·행동학적 측면에서의 약료」(신일북스, 2017), 「세상에서 제일 좋은 직업 약사」(범문에듀케이션, 2016)가 있다.

저 : 박용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용범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교수(류마티스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학교육학교실 겸무교수로 재직 중이며,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연세의료원 제중원보건개발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판, 2021)이 있다.

저 : 손은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은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장으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이다. 약학대학과 연계한 약학기획단 창단과 활동에 기여한 바가 크고, 약제부서가 통일에 관심을 갖도록 지속적으로 독려하고 있으며, 연세의료원 ‘통일 수액 나눔 행사’에 최다 부서원이 참여한 바 있다. 저서로는 『사회?행동학적 측면에서의 약료』(신일북스, 2017), 『세상에서 제일 좋은 직업 약사』(범문에듀케이션, 2016)가 있다.

저 : 이재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재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의료원 산하 통일보건의료센터 치의학기획단장이며 치의학 분야의 통일관련 연구를 하여 왔다. 해당분야에서 여러 차례 통일보건의료학회에서 발표와 중국에서 여러 차례 북한 치과의사들을 교육한 경험이 있다. 저서로는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판, 2021) 최근 논문으로는 “북한이탈주민의 구강보건서비스 경험이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미치는 영향”(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22)이 있다.

저 : 이정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정임
관심작가 알림신청
1990년부터 백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서 내·외과 중환자실 및 암병원 간호사로 26여년간 근무하였다. 2016년 1년간 KOICA 봉사단으로 Nephal Pokhara Western Regional Hospital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활동하였으며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Afria Ghana UHAS 대학 보건의료교육 역량강화 사업’에 2년 6개월간 참여하였다. 현재 연세대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사후 과정, 연세대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재)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사무국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남북보건의료협력증진을 위한 법, 남북보건의료관련법, 보건권(human right to health), RMNCAH 등에 관심이 있다.

저 : 정진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진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산업중점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 세브란스통일의료기획단 약학 분야에서 활동하였고, 제약바이오특성화대학원 사업단장을 5년 간 맡아 왔으며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인 K-NIBRT의 교육센터장을 3년 간 역임하였다. 현재는 의약품제조기준인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제정을 하는 국제기구인 PDA(Paranrteral Drug Association)의 한국회장을 맡고 있다.

역 : 추상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추상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약리학을 전공한 간호학자로 북한이탈주민의 심혈관계 건강과 트라우마, 바이오마커, 사회적 회복 요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전공선택교과목인 ‘통일과 간호’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 간호의 현재와 미래과제』(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판, 2021)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