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미르치아 엘리아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미르치아 엘리아데
관심작가 알림신청
Mircea Eliiade
엘리아데는 루마니아의 수도 부쿠레슈티에서 출생하여 미국 시카고에서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종교학을 중심으로 문학,철학 등 다방면에 걸쳐 관심을 가진 학자였다. 부쿠레슈티 대학 재학시 로마에 머물면서 『이탈리아 철학,마르실리오 피치노로부터 조르다노 부르노까지』를 쓸 무렵 인도철학자 다스굽타를 만나 그의 생애는 큰 전기를 맞게 된다. 서양의 고전적 전통을 이어받은 엘리아데는 다스굽타에게 산스크리트어를 배우며 인도의 사상과 상상력에서 깊은 영감을 받았다. 1936년에 쓴 박사학위 논문 「요가:인도 신비주의 기원」은 파리와 부쿠레슈티에서 동시에 출간되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 후 연금술과 우파니샤드, 불교를 통한 상징해석에 남다른 특색을 보이기 시작하며, 『잘목시스:종교학 연구 리뷰』를 출간하기도 한다. 1949년에는 그의 종교연구를 집대성한 『종교형태론』을 프랑스에서 출간하고 곧 영문판을 내게 되는데, 그의 학문적인 무대가 미국으로 옮겨져 영문판이 더 널리 읽히게 되었다.
1956년 미국으로 건너가 시카고 대학에서 한 '이니시에이션의 유행'이란 강의는 1958년에 『이니시에이션의 의례와 상징』『탄생과 재생의 신비』라 묶어 출간하였다. 1982년에 『종교관념의 역사』 2권을 출간하고 그 보완작업을 하던 중 사망하였다. 그가 책임편집을 하던 『종교대박과 사전』은 그가 죽은 다음해에 출간되었다. 엘리아데는 유럽문명의 우월성을 벗겨내고 제3세계 문화적 뿌리와 보편성을 일깨우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동양학 전반에 걸쳐 그의 종교현상학 방법이 널리 응용되었다.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다른 상품

신화·꿈·신비

신화·꿈·신비

19,800 (10%)

'신화·꿈·신비' 상세페이지 이동

신화와 현실

신화와 현실

20,900 (5%)

'신화와 현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박규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박규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신도와 일본인』(2017), 『일본 신사(神社)의 역사와 신앙』(2017), 『포스트-옴 시대 일본 사회의 향방과 ‘스피리추얼리티’』(2015), 『라프카디오 헌의 일본론』(2015), 『일본정신의 풍경』(2009), 『상대와 절대로서의 일본』(2005), 『일본의 신사』(2005),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일본』(2005),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2001) 외 다수가 있으며, 주요 역서로 『일본문화사』(폴 발리, 2011), 『신도, 일본 태생의 종교시스템』(이노우에 노부타카, 2010), 『국화와 칼』(루스 베네딕트, 2008), 『신도』(스콧 리틀턴, 2007), 『황금가지 1·2』(제임스 프레이저, 2005), 『세계종교사상사 3』(미르치아 엘리아데, 2005), 『일본 신도사』(무라오카 쓰네쓰구, 1998),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시마조노 스스무, 1997) 외 다수가 있다.

박규태의 다른 상품

한과 모노노아와레

한과 모노노아와레

30,600 (10%)

'한과 모노노아와레' 상세페이지 이동

종교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종교

종교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종교

16,200 (10%)

'종교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교차 4호 : 전쟁하는 인간 [2022]

교차 4호 : 전쟁하는 인간 [2022]

18,000 (10%)

'교차 4호 : 전쟁하는 인간 [2022]' 상세페이지 이동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

9,400 (5%)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 상세페이지 이동

황금가지 2

황금가지 2

27,000 (10%)

'황금가지 2' 상세페이지 이동

황금가지 1

황금가지 1

28,800 (10%)

'황금가지 1'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일본의 순례 문화

현대 일본의 순례 문화

22,000

'현대 일본의 순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일본 재발견

일본 재발견

18,000 (10%)

'일본 재발견'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