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관심작가 알림신청
Heinrich von Kleist
독일의 극작가·소설가. 프랑크푸르트 안데어오데르 출생. 포츠담 근위연대에 들어가 소위로 진급하였으나, 1799년 인생의 행복과 진실을 자기 내면의 문제로서 추구하는 길을 선택해 군을 떠났다. 고향에 있는 대학에서 공부, 칸트철학에서 절대적 인식의 불가능을 간파하고 충격을 받아 파리 여행을 했다. 그러나 대도시 생활을 혐오하고 스위스에서 자연 속의 농부가 되려 했다. 그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약혼자와의 관계를 끊고, 고독한 창작활동에 들어갔다.(1802) 야심작인 비극 『로베르트 지스카르트』를 완성하지 못하였으나 프로이센 관공서에서 일하며 창작의욕을 되찾았다. 프로이센이 나폴레옹에게 굴복하자 프랑스군에 체포되었으나 창작을 계속해 1807년 희극 『암피트리온』을 간행하였다. 석방된 뒤 드레스덴으로 옮겨 아담 뮐러와 월간지 『푀부스』를 창간 비극 『펜테질리아』(1808)를 비롯한 희곡과 단편소설을 발표하였다. 희극 『깨어진 항아리』(1811)의 초연이 실패하여 연출을 맡았던 괴테와 다투었으며 나폴레옹에 대한 증오로 애국적 시, 희곡을 써 베를린을 무대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낭만파 문인과 사귀며 [베를린 석간신문]을 발행, 단편과 에세이 『인형극』 등을 게재하였다. 희곡 『프리드리히 폰 홈부르크 왕자』(1810)를 왕실에 바치고, 『미하엘 콜하스』(1810)를 비롯한 8편이 수록된 『단편소설집』(2권, 1810∼11)을 출판하였다. 그는 독일 작가로서는 보기 드물게 비극과 희극 양면에서 재능을 발휘, 인간 인식능력의 부재와 그에 바탕을 둔 격렬한 갈등을 그려 이것을 자아의 깊은 곳에 있는 절대적 ‘감정’으로 극복하고 다른 사람이나 바깥세계와의 신뢰관계를 회복하려 하였다. 오늘날 그는 실존주의문학의 선구 또는 20세기 문학의 원류로서 새롭게 평가받고 있다.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다른 상품

깨어진 항아리 (큰글자책)

깨어진 항아리 (큰글자책)

36,000

'깨어진 항아리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깨어진 항아리

깨어진 항아리

16,800

'깨어진 항아리' 상세페이지 이동

암피트리온 큰글씨책

암피트리온 큰글씨책

28,000

'암피트리온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클라이스트 희곡선

클라이스트 희곡선

25,200 (10%)

'클라이스트 희곡선' 상세페이지 이동

하일브론의 케트헨

하일브론의 케트헨

8,010 (10%)

'하일브론의 케트헨' 상세페이지 이동

Michael Kohlhaas

Michael Kohlhaas

10,700

'Michael Kohlhaas' 상세페이지 이동

하일브론의 케트헨

하일브론의 케트헨

16,800

'하일브론의 케트헨'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아네테 폰 드로스테 휠스호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아네테 폰 드로스테 휠스호프
관심작가 알림신청
독일 베스트팔렌지역의 전통 있는 가톨릭 귀족가문 출신으로 독일을 대표하는 여성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어릴 적부터 문학과 음악에 재능이 두드러졌지만, 사회가 귀족여성에게 요구하는 삶을 살 수 밖에 없었다. 40세가 넘은 1838년에 처음 익명으로 시집을 내었으나 큰 호응을 받지 못했다. 1842년 소설 《유대인의 너도밤나무》를 발표하여 작가로서 이름을 얻었고, 1844년에는 코타 출판사가 그녀의 시집을 출간했다. 소설보다는 시 작품을 많이 남겼지만, 오늘날에는 《유대인의 너도밤나무》 작가로 더 알려져 있다. “100년이 지난 후에도 읽히고 싶다.”고 했던 작가는 병약하고 고독한 여인이었지만, 강한 의지와 철저한 작가 정신을 가진 위대한 시인으로서 후세 여성 시인들의 모범이 되었다.

아네테 폰 드로스테 휠스호프 의 다른 상품

유대인의 너도밤나무 (큰글자책)

유대인의 너도밤나무 (큰글자책)

32,000

'유대인의 너도밤나무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유대인의 너도밤나무

유대인의 너도밤나무

6,210 (10%)

'유대인의 너도밤나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프란츠 카프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프란츠 카프카
관심작가 알림신청
Franz Kafka
1883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현 체코)의 프라하에서 태어나 독일어를 쓰는 유대인 사회에서 성장했다. 1901년 프라하 대학에 입학해 독문학과 법학을 공부했으며, 1906년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어릴 때부터 작가를 꿈꿔 1904년 「어느 투쟁의 기록」, 1906년 「시골의 결혼 준비」를 집필했고, 1908년 노동자상해보험공사에 취직한 이후로도 14년 동안 직장생활과 글쓰기 작업을 병행했다. 「선고」 「변신」 「유형지에서」 등의 단편과 『실종자』 『소송』 『성』 등의 미완성 장편, 작품집 『관찰』 『시골 의사』 『단식 광대』 등 많은 작품을 썼고 일기와 편지 등도 방대한 양을 남겼다. 인간 운명의 부조리성과 인간 존재의 근원적 불안에 대한 통찰을 그려내, 사르트르와 카뮈에 의해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았다. 1917년 폐결핵 진단을 받아 여러 요양원을 전전한 끝에 병이 악화되어 1924년 빈 근교의 한 요양원에서 사망했다.

프란츠 카프카의 다른 상품

너와 세상 사이의 싸움에서

너와 세상 사이의 싸움에서

9,900 (10%)

'너와 세상 사이의 싸움에서' 상세페이지 이동

초판본 변신

초판본 변신

12,420 (10%)

'초판본 변신' 상세페이지 이동

변신·단식 광대

변신·단식 광대

10,800 (10%)

'변신·단식 광대 ' 상세페이지 이동

우연한 불행

우연한 불행

13,500 (10%)

'우연한 불행' 상세페이지 이동

필사의 힘 : 프란츠 카프카처럼 [변신] 따라쓰기

필사의 힘 : 프란츠 카프카처럼 [변신] 따라쓰기

16,650 (10%)

'필사의 힘 : 프란츠 카프카처럼 [변신] 따라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변신 · 시골 의사 (완역본)

변신 · 시골 의사 (완역본)

6,930 (10%)

'변신 · 시골 의사 (완역본)' 상세페이지 이동

돌연한 출발

돌연한 출발

14,400 (10%)

'돌연한 출발'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가 길이라 부르는 망설임

우리가 길이라 부르는 망설임

13,500 (10%)

'우리가 길이라 부르는 망설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베르톨트 브레히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베르톨트 브레히트
관심작가 알림신청
Bertolt Brecht
1898년 2월 10일 독일 아우구스부르크(Augsburg)에서 종이 공장에서 일하던 아버지 베르톨트 프리드리히 브레히트(Berthold Friedrich Brecht)와 브레칭(Brezing)에서 태어난 어머니 조피(Sofie) 사이에서 태어났다. 1917년 10월 2일 뮌헨 대학에 입학했다. 이듬해 뮌헨의 ‘카머슈필렌’ 극장에서 그라베(Grabbe)의 「고독한 사람(Der Einsame)」이라는 공연을 보고, 이 작품에 대한 응답으로 5월 1일 「절반은 희극인 바알(Die halbe Komodie Baal)」을 완성했다. 1920년에 「바알」을 고쳐서, 게오르크 뮐러 출판사(Georg Muller-Verlag)에서 출판하고자 했으나, 출판을 거절당했다. 1922년 9월 29일 ‘카머슈필렌’ 극장에서 「한밤의 북소리(Trommeln in der Nacht)」를 초연했으며 같은 해 11월 3일에는 마리아네 초프(Marianne Zoff)와 결혼했다. 1923년 3월 12일 딸 하네(Hanne)가 태어난다. 1928년 8월 31일 ‘쉬프바우어담’ 극장에서, 에리히 엥겔(Erich Engel) 연출로 「서푼짜리 오페라」를 초연한다. 이듬해 4월 10일 헬레네 바이겔과 재혼한 브레히트는 1933년 가족과 함께 프라하로 이주한다. 1940년 1월 헬레네 바이겔이 스톡홀름에 연기학교를 세운다. 4월 17일 나치 군대가 덴마크와 노르웨이에 침입하자, 브레히트는 가족과 함께 헬싱키로 피난한다. 이듬해 7월 21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도착한 브레히트는 할리우드 근처의 산타 모니카(Santa Monica)에 거주하기 시작한다. 1947년 10월 30일 ‘반미활동조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브레히트는 미국에서도 추방당한다. 10월 31일 파리로 출발한 브레히트는 11월 5일 스위스 취리히에 도착한다. 1956년 5월 초 감기 증상이 나타났다. 8월 10일 마지막으로 ‘베를리너 앙상블’ 극단 연습장에 나타난 뒤, 8월 14일에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 『한밤의 북소리』, 『남자는 남자다』, 『서푼짜리 오페라』, 『마하고니 시의 흥망』, 『어머니』, 『제삼제국의 공포와 참상』,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사천의 착한 사람』, 『갈릴레이의 생애』, 『푼틸라 나리와 그의 하인 마티』, 『코카서스의 분필 원』 등이 있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다른 상품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큰글자책)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큰글자책)

39,000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18,800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상세페이지 이동

꽃을 피우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격

꽃을 피우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격

15,030 (10%)

'꽃을 피우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격' 상세페이지 이동

채신없는 할머니

채신없는 할머니

9,000 (10%)

'채신없는 할머니' 상세페이지 이동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큰글씨책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큰글씨책

29,000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18,800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상세페이지 이동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오디오북)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오디오북)

79,000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오디오북)' 상세페이지 이동

역 : 배중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배중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교수로 정년 퇴임한 후, 현재는 동 대학교 명예교수로 독일 문학 작품의 번역작업을 하고 있다. 번역한 작품으로는 클라이스트가 지은 『깨어진 항아리』, 『미하엘 콜하스』, 『칠레의 지진』(단편전집), 『슈로펜슈타인 일가』, 『암피트리온』, 『헤르만의 전쟁』과 『유태인의 너도밤나무』(드로스테 휠스호프 지음), 『예기치 않은 재회』(요한 페터 헤벨 지음) 등이 있고, 옮겨 엮은 책으로는 『동화로 배우는 독일어』가 있다.

배중환의 다른 상품

클라이스트 희곡선

클라이스트 희곡선

25,200 (10%)

'클라이스트 희곡선' 상세페이지 이동

하일브론의 케트헨

하일브론의 케트헨

8,010 (10%)

'하일브론의 케트헨'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