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섭숭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섭숭의
관심작가 알림신청
?崇義
섭숭의는 북송 초기 하남 낙양 출신으로, 예학 특히 ‘삼례(三禮)’에 정통했던 인물이다. 후한·후주·북송 등의 왕조에서 20년 동안 학관(學官)을 맡으면서 예전(禮典)의 일을 함께 관장했다. 후주 세종 현덕 3년에 당시까지 전해지던 각종 『삼례도』를 수집·고증하여 교(郊)·묘(廟)에 사용할 제기(祭器)와 옥기(玉器)를 도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그 작업은 북송 태조 건륭 2년에 완성되어 『삼례도』의 이름으로 상주되었으며, 이후 국자감의 강당 벽에까지 그려져 전국으로 유포되었다. 송대 이후 예도(禮圖) 나아가 예제(禮制)의 변화와 전개과정을 고찰하고자 할 때, 『삼례도집주』는 그 출발점이 된다. 또 송대 이전 대부분의 예도가 망실된 현 상황에서 이를 완정한 형태로 담고 있는 섭숭의 『삼례도집주』는 사료적 가치의 측면에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섭숭의의 다른 상품

역 : 김용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용천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容天
대진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사학과, 동대학원 석·박사 졸업
저서로 『전한후기 예제담론』(선인), 『중국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동과서), 역서로 『의례 역주(1~9)』(세창출판사), 『중국 고대 정사 예악지 역주:진서·송서·위서』(공역, 혜안), 『역주 주례주소(1)』(전통문화연구회), 『천지서상지?당 제국의 제사와 의례』(신서원), 『중국의 공과 사』(신서원), 『중국의 예치시스템』(청계), 『중국사상문화사전』(책과함께), 『삼국지의 정치와 사상』, 논문으로 「「석거예론」의 분석과 전한시대 예치이념」, 「『순자』·『예기』 「왕제」의 예치구상」, 「양진시대 ‘위인후자爲人後者’의 복제服制 담론」, 「북위 효문제 ‘삼년상’의 실체와 그 성격」, 「전국시대 선양론의 전개와 입현공치」, 「‘부?’의 해명을 위한 경학적 접근」, 「기장旣葬 ‘수복受服’의 규정과 예학적 논쟁」, 「전한 원제기 위현성의 종묘제론」 등이 있다.

김용천의 다른 상품

삼례도집주 3

삼례도집주 3

33,000

'삼례도집주 3'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譯註 주례주소周禮注疏 4

역주 譯註 주례주소周禮注疏 4

27,000

'역주 譯註 주례주소周禮注疏 4' 상세페이지 이동

신당서 예악지 3

신당서 예악지 3

28,000

'신당서 예악지 3' 상세페이지 이동

구당서 예의지 3

구당서 예의지 3

34,000

'구당서 예의지 3' 상세페이지 이동

삼례도집주 4

삼례도집주 4

37,000

'삼례도집주 4'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3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3

30,000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3'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1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1

29,000

'역주 譯註 주례주소 周禮注疏 1'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소현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소현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국사회과학원 역사학박사로서, 현재 원광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東魏北齊莊嚴紋樣硏究-以佛敎石造像及墓葬壁畵爲中心』(2008)이 있고, 공저로 『돌, 영원을 기록하다-고대 중국인의 삶과 죽음』(2018)이 있으며, 역서로 『죽음을 넘어-죽은 자와 산 자의 욕망이 교차하는 중국 고대 무덤의 세계』(2019)가 있다. 「東魏武定年間白石半跏思惟像硏究」(2017), 「唐 高宗의 阿育王像 複製와 流布-道宣의 역할 및 諸州官寺制의 기능을 중심으로」(2021) 등의 논문이 있다.

소현숙의 다른 상품

삼례도집주 3

삼례도집주 3

33,000

'삼례도집주 3' 상세페이지 이동

죽음을 넘어

죽음을 넘어

31,500 (10%)

'죽음을 넘어' 상세페이지 이동

돌, 영원을 기록하다

돌, 영원을 기록하다

19,000

'돌, 영원을 기록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미술 감상 놀이

한국 미술 감상 놀이

14,250 (5%)

'한국 미술 감상 놀이'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차서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차서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조선 학자들의 복식에 대한 관점을 연구하고 있으며, 글로만 쓰인 복식을 그림으로 구현하는 연구로 폭을 넓히고자 한다. 『임원경제지』에서 복식 부분인 「섬용지」와 직물 부분인 「전공지」의 역자로 참여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다산학술재단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고,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심의(深衣) 연구」(2021), 「조선시대 야복(野服)에 대한 고찰」(2022) 등의 논문이 있다.

역 : 최진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최진묵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 연구교수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한대 수술학數術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인문학연구원에서 HK연구교수로 문명연구를 수행하면서, 『제국, 문명의 거울』(공저) 『동서양의 접점:이스탄불과 아나톨리아』(공저) 등을 출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오경과 육경:악경의 위상과 관련하여」, 「상해박물관장 초죽서 ‘내례’를 통해 본 고대 인륜의 형성과정」, 「중국 고대 망기술望氣術의 논리와 그 활용」 등이 있다.

최진묵의 다른 상품

삼례도집주 2

삼례도집주 2

46,000

'삼례도집주 2' 상세페이지 이동

신당서 예악지 2

신당서 예악지 2

22,000

'신당서 예악지 2' 상세페이지 이동

구당서 음악지 1

구당서 음악지 1

21,000

'구당서 음악지 1' 상세페이지 이동

제국, 문명의 거울

제국, 문명의 거울

35,000

'제국, 문명의 거울'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