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9명)

이전

저 : 박명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명림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로서 정치학, 사회인문학, 평화학, 한국학, 동아시아국제관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인간평화와 치유 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박사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연구 교수(1994-1999),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 연구소 협동 연구학자(1999-2001), 프랑스고등사회과학원과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2013-2014)로 재직하였다.

박명림의 다른 상품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독립, 호국, 민주의 미래와 보훈의 가치

독립, 호국, 민주의 미래와 보훈의 가치

11,700 (10%)

'독립, 호국, 민주의 미래와 보훈의 가치' 상세페이지 이동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18,000 (10%)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큰글자책)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큰글자책)

35,000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6.15의 해법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6.15의 해법

13,000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6.15의 해법' 상세페이지 이동

트라우마와 사회치유

트라우마와 사회치유

20,700 (10%)

'트라우마와 사회치유'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22,800 (5%)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상세페이지 이동

대통령의 책 읽기

대통령의 책 읽기

16,200 (10%)

'대통령의 책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학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학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白鶴淳
서울대학교 영어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미국 University of Georgia를 거쳐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정치학 박사 를 받고, Harvard University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김대중학술원(The Academy of Kim Dae-jung Studies) 원장과 김대중평화회의(The Kim Dae-jung Peace Forum)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김대중평화센터, 김대중기념사업회,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의 이사로 있다. 제10대 세종 연구소 소장을 지냈고,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북한연구학회 부회장,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회 위원, 통일부 자체평가위원장, 외교통상부정책자문위 원, 민화협 정책위원장, 서울-워싱턴포럼 사무총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한반도 평화대전략』(공저, 2022), 『North Korea’s Foreign Policy: The Kim Jongun Regime in a Hostile World』(공저, 2022), 『박근혜정

부의 대북·통일정책』(2018)을 포함하여 역대 남한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을 다룬 저서 5권, 『김정은 시대의 북한정치 2012~2014: 사상·정체성· 구조』(2015), 『제2기 오바마정부 시기의 북미관계2013~2014: ‘핵무기 사용 위협’과 관계의 파탄』(2014), 『북한 권력의 역사: 사상·정체성·구조』 (2010) 등이 있다.

백학순의 다른 상품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북한 권력의 역사

북한 권력의 역사

39,000

'북한 권력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북한 권력의 역사

북한 권력의 역사

54,000

'북한 권력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혁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혁백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이다. 서울대에서 정치학 학사, 시카고대에서 정치학 석사, 박사를 받았다. 그는 광주과학기술원 (GIST)에서 석좌교수, 세계정치학회 (IPSA) 집행위원, 고려대 정책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대, 조지타운대, 듀크대, 스탠퍼드대에서 강의를 했고 존스 홉킨스대 SAIS와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에서 연구를 했다. 그는 김대중대통령과 노무현대통령의 정책자문위원이었고, 통일 부, 국방부,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자문을 하였다. 임혁백 교수는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원상 (2015),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2010), ICAS (아시아학자세 계총회) 우수학술도서상 (2017)을 수상하였고, 홍조근정훈장(2003)을 받았다.

최근에 출판된 임교수의 저서는 『Democratization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1960-Present』(Palgrave Macmillan, 2020), 민주주의의 발전과 위기』(김영사,2021), 『비동시성의 동시성: 한국 근대정치의 다중적 시간』(고려대 출판부, 2014), 『The Possibility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NU Press, 2017) 등이 있다.

임혁백의 다른 상품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정치사상과 사회발전

정치사상과 사회발전

18,000 (10%)

'정치사상과 사회발전' 상세페이지 이동

민주주의의 발전과 위기

민주주의의 발전과 위기

12,150 (10%)

'민주주의의 발전과 위기' 상세페이지 이동

민주주의와 시장

민주주의와 시장

18,000

'민주주의와 시장' 상세페이지 이동

신유목적 민주주의

신유목적 민주주의

20,000

'신유목적 민주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시민사회의 정치과정

시민사회의 정치과정

18,000

'시민사회의 정치과정'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과 일본의 정치와 거버넌스

한국과 일본의 정치와 거버넌스

18,000

'한국과 일본의 정치와 거버넌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영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영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남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문학박사). 전남대학교에서 30여 년 동안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대학에 재직하는 동안 5?18 연구소장, 교무처장, 인문대학장 그리고 한국독일사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1989년부터 1990년까지 독일에 머물면서 베를린 장벽 붕괴 및 독일통일 과정을 지켜봤다. 이후 독일과 한반도의 분단극복정책과 통일 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에 대한 연구에 큰 관심을 가졌다. 시민운동에 참여하여 광주흥사단 및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공동의장,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론화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 『독일 통일의 3단계 전개과정』, 『베른슈타인의 민주적 사회주의론』 등이 있다. 공저?역서로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5?18, 그리고 역사』, 『미국을 바꾼 혁신주의 대통령들』 등이 있다.

최영태의 다른 상품

거인의 꿈

거인의 꿈

19,800 (10%)

'거인의 꿈' 상세페이지 이동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

35,000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 상세페이지 이동

독일 통일의 3단계 전개 과정

독일 통일의 3단계 전개 과정

13,500 (10%)

'독일 통일의 3단계 전개 과정'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황인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황인구
관심작가 알림신청
보스턴 칼리지(Boston College) 국제학 프로그램의 한국학 강의전담 조교수와 아시아학 프로그램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면서, 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민주주의, 인권, 안보, 발전에 관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한국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졸업하였고, 이어서 시카고 대학 역사학과에서 우수 학위 논문상과 함께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시카고 대학 인권 센터에서 박사 후 연구와 강의를 진행한 후, 보스턴 칼리지에 한국국 제교류재단 방문학자로 한국 현대사와 정치에 관한 강의를 제공하였다. 2022년 3월 1970년대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글로벌 인권사의 관점에서 저술한 첫 단행본 『인권과 한국의 초국적 민주주의』가 한국학 중앙 연구원의 해외 한국학 단행본 출판 지원을 통해서 펜실베이니아 대학 출판부 인권학 시리즈 에서 출간되었다. 현재는 1980년대 후반 이래 한반도 글로벌 개입 정책과 정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황인구의 다른 상품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장훈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훈각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전문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 다. 한국정치, 한미관계, 남북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편저로는 『한국대통령통치사료집VIII 박정희(5): 주한미군 철수』(2010), 『한반도 핵문제의 태동과 전개, 1974-1993: National Security Arichive 수집사료를 중심으로』(2019) 등이 있다. 연구논문으로는 「이승만 대통령과 한미동맹」 (2011),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남북관계」(2011), 「김대중의 3단계 통일론의 철학: 민주주의와 평화」(2019) 등이 있다.

장훈각의 다른 상품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현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현백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3년 4월 9일 한국 부산 출생으로 여성가족부 장관(2017. 7 - 2018. 9)을 지냈고, 현재 성균관대 사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1984년 이래 성균 관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주로 독일노동사, 여성사분야 연구로 많은 저서를 출간하였다. 그 외에도 정현백은 열정적인 시민운동 활동가이다. 한 국여성운동의 우산조직인 한국여성단체연합의 공동대표를 역임하였고, 이어 대표적인 시민단체인 참여연대의 공동대표로 활동하였다. 주로 여성문제 와 통일 평화운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노동운동과 노동자문화』(한길사, 1991), 『민족과 페미니즘』(당대, 2003), 『여성사 다시 쓰기』(당대, 2007), 『주거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들: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주거개혁과 주거정치』(당대, 2015), 『연대하는 페미니즘』(동녁, 2021), 『The History of Korean Women』(공저, 한국학중앙연구 원, 2022) 등 다수가 있다.

정현백의 다른 상품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제국주의 질서와 역사인식

동아시아 제국주의 질서와 역사인식

30,000

'동아시아 제국주의 질서와 역사인식' 상세페이지 이동

전후 지식인의 이데올로기와 역사인식

전후 지식인의 이데올로기와 역사인식

30,000

'전후 지식인의 이데올로기와 역사인식' 상세페이지 이동

연대하는 페미니즘

연대하는 페미니즘

14,400 (10%)

'연대하는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처음 만나는 여성의 역사

처음 만나는 여성의 역사

13,500 (10%)

'처음 만나는 여성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시대, 인문학의 쓸모 (큰글자도서)

우리 시대, 인문학의 쓸모 (큰글자도서)

19,000

'우리 시대, 인문학의 쓸모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시대, 인문학의 쓸모

우리 시대, 인문학의 쓸모

9,900 (10%)

'우리 시대, 인문학의 쓸모' 상세페이지 이동

여성의 역사

여성의 역사

11,700 (10%)

'여성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귀옥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귀옥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 사회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고, 지금은 한성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통일부와 여성가족부의 정책자문위원과 한국연구재단 이사 등을 역임했고, 한국여성평화연구원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특별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사회를보는 새로운 눈』(제3판, 공저, 2021), 『그곳에 한국군’위안부’가 있었다』(2019),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공저, 2019), 『촛 불 이후 사회운동의 과제 및 전망』(2019), 『식민주의, 전쟁, 군’위안부’』(공저, 2017), 『고통의 공감과 연대』(공저, 2016), 『구술사연구』(2014), 『우리 가 큰 바위얼굴이다』(2014), 『군대와 성폭력』(공저, 2012), 『朝鮮半島の分斷と離散家族』(2008) 등 다수가 있다.

김귀옥의 다른 상품

사상가 김대중

사상가 김대중

28,500 (5%)

'사상가 김대중' 상세페이지 이동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29,500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상세페이지 이동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29,000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상세페이지 이동

그곳에 한국군‘위안부’가 있었다

그곳에 한국군‘위안부’가 있었다

19,000

'그곳에 한국군‘위안부’가 있었다' 상세페이지 이동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39,000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상세페이지 이동

촛불 이후 사회운동의 과제 및 전망

촛불 이후 사회운동의 과제 및 전망

30,000

'촛불 이후 사회운동의 과제 및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강화도 지오그래피

강화도 지오그래피

16,200 (10%)

'강화도 지오그래피'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노명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노명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필자 노명환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학부에서 아랍어 전공과 함께 중동의 역사와 평화문제를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이어서 독일 뮌스터대학교 사학과의 학부·석사 과정에서 유럽현대사, 이슬람학, 정치학을 공부하면서 기독교 유럽과 이슬람 중동 지역의 대립과 평화의 문제에 대해 천착하기 시작했다. 전쟁을 극복하고 영구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유럽통합 운동사, 이와 깊은 관련이 있는 독일의 분단·통일의 역사와 빌리 브란트에 대한 연구로 이어가 면서 독일 두이스부르크-에센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외대 사학과와 대학원 정보·기록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해 오고 있으며 세계적인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에 의거하여 위의 주제 의식들을 연계·융합하면서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와 상생을 위한 연구와 실천을 추구하고 있 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특별히 김대중의 정치와 사상에 주목해 오고 있다.

노명환의 다른 상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김대중 생애·사상·정책의 의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김대중 생애·사상·정책의 의미

33,250 (5%)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김대중 생애·사상·정책의 의미' 상세페이지 이동

사상가 김대중

사상가 김대중

28,500 (5%)

'사상가 김대중' 상세페이지 이동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의 최고 행정기관 기록물 이관

세계의 최고 행정기관 기록물 이관

12,000

'세계의 최고 행정기관 기록물 이관' 상세페이지 이동

20세기 서양의 일상과 풍경

20세기 서양의 일상과 풍경

25,000

'20세기 서양의 일상과 풍경'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