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저 : 신방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방실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에서 수학과 대기과학을 공부했다. NASA의 과학자를 꿈꿨지만 KBS의 기상전문기자가 되어 기후 재난의 현장에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2022년 여름 북극에 다녀와 [시사기획 창] ‘고장 난 심장, 북극의 경고’를 제작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여러 연구소와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 나로호·누리호 발사, 천리안2A 발사, 몽골, 일본 후쿠시마 등지를 취재했다. 2021년 대한민국 과학기자상, 2022년 한국방송기자대상 과학 부문, 2023년 대한민국 녹색기후상 언론 부문을 수상했다. 기후 위기 저널리즘을 주제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UNC)에 방문학자로 머물렀다.

신방실의 다른 상품

이토록 불편한 탄소

이토록 불편한 탄소

10,800 (10%)

'이토록 불편한 탄소' 상세페이지 이동

탄소중립, 어떻게 해결할까?

탄소중립, 어떻게 해결할까?

10,500

'탄소중립, 어떻게 해결할까?'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7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7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7' 상세페이지 이동

오늘도 대한민국은 이상 기후입니다!

오늘도 대한민국은 이상 기후입니다!

8,400

'오늘도 대한민국은 이상 기후입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생각이 크는 인문학 19 기후 위기

생각이 크는 인문학 19 기후 위기

8,000

'생각이 크는 인문학 19 기후 위기' 상세페이지 이동

나만 잘 살면 왜 안 돼요?

나만 잘 살면 왜 안 돼요?

9,800

'나만 잘 살면 왜 안 돼요?' 상세페이지 이동

보고 듣고 생각하는 날씨의 과학

보고 듣고 생각하는 날씨의 과학

8,000

'보고 듣고 생각하는 날씨의 과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충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충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천문학 석사학위를 받고,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천문학 잡지 [별과 우주]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동아], [수학동아]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과학 콘텐츠 기획·제작사 동아에스앤씨의 편집위원으로 있다.

과학의 대중화를 향한 그의 여정은 천문학 잡지 [별과 우주]에서 기자로 활동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후 그의 과학에 대한 관심은 우주와 별자리 이야기는 물론, 지구온난화, 화산과 지진과 같은 지구의 움직임, 조류의 지능 등 다방면으로 펼쳐졌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과 활동은 책과 칼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되었다. 그 중 『십 대가 꼭 알아야 할 기후변화 교과서』는 2023년 우수출판콘텐츠로 선정되었다. 지은 책으로 『지구 온난화 어떻게 해결할까?』 『재미있는 화산과 지진 이야기』 『블랙홀』 『재미있는 별자리와 우주 이야기(공저)』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시리즈(공저)』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상대적으로 쉬운 상대성이론』 『빛의 제국』 『빅뱅 직전의 우주 보이드』 『버드 브레인』 등이 있다.

이충환의 다른 상품

노벨상을 꿈꿔라 9

노벨상을 꿈꿔라 9

9,100

'노벨상을 꿈꿔라 9' 상세페이지 이동

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까?

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까?

10,500

'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까?'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6

노벨상을 꿈꿔라 6

9,100

'노벨상을 꿈꿔라 6'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8

노벨상을 꿈꿔라 8

9,100

'노벨상을 꿈꿔라 8'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12,460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상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상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에서 인공지능 분야 중 지식 표현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전략기획실과 미디어 서비스 사업팀에서 인터넷 사업을 담당한 후, 2003년 다음커뮤니케이션 전략대표와 일본 법인장을 역임했다. 카이스트와 세종대학교 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테크프론티어 대표를 맡고 있다. 현재 기업을 위한 기술 전략컨설팅, 정부 정책 자문과 연구 수행 그리고 기술과 사회에 관한 강연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 윤리를 위한 기술 프레임워크, 신뢰 가능한 인공지능 등에 대한 연구 과제를 수행했으며 AI 타임즈 등 여러 매체에 기술 관련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공공 영역에서는 인공지능 데이터셋 구축을 위한 AI 데이터 로드맵 총괄기획위원,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기획위원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한상기의 소셜미디어 특강(공저)》, 《인공지능은 어떻게 산업의 미래를 바꾸는가(공저)》,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공저)》,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공저)》 등이 있다.

한상기의 다른 상품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12,460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11,900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상세페이지 이동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

10,080 (10%)

'초연결시대 인간-미디어-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세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세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 사학과와 동 국제학대학원을 졸업했다. [전자신문] 기자, [동아사이언스] 데일리뉴스 팀장을 거쳐 [지디넷코리아] 과학 전문 기자로 일하고 있다. 『플랫폼 경제 무엇이 문제일까?』,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과학 용어 사전』 등을 썼고 『네트워크 전쟁』을 옮겼다.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과 『노벨상을 꿈꿔라』의 필진으로도 참여 중이다. 기술과 사람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해 가는 모습을 항상 흥미롭게 지켜보며 연구하고 있다.

한세희의 다른 상품

노벨상을 꿈꿔라 9

노벨상을 꿈꿔라 9

9,100

'노벨상을 꿈꿔라 9'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6

노벨상을 꿈꿔라 6

9,100

'노벨상을 꿈꿔라 6'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8

노벨상을 꿈꿔라 8

9,100

'노벨상을 꿈꿔라 8'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12,460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7

노벨상을 꿈꿔라 7

9,100

'노벨상을 꿈꿔라 7'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응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응서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eBiz팀과 온라인뉴스팀 팀장, [수학동아], [과학동아] 부편집장, 머니투데이방송 선임기자, 테크월드 편집장, 이뉴스투데이 IT과학부&생활경제부 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이코노믹리뷰에서 산업부 부국장을 맡고 있다.

박응서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6

노벨상을 꿈꿔라 6

9,100

'노벨상을 꿈꿔라 6'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7

노벨상을 꿈꿔라 7

9,100

'노벨상을 꿈꿔라 7'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상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상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과학자가 꿈이었으나 능력의 한계를 느껴 그들의 이야기를 알리는 작가가 되자고 마음먹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등에서 과학에 대한 글을 썼고 라디오를 통해서 과학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칼럼니스트로 글을 쓰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과학 관련 영상 제작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울트라고릴라 TV’에서 ‘위클리사이언스뉴스’를 진행합니다.

집필한 책으로 『어린이를 위한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이야기』와 『어린이를 위한 4차 산업혁명 직업 탐험대』가 있습니다. 이 책은 2019년 우수과학도서에 선정됐고, KAIST 지식재산전략최고위과정에서 최우수 연구상을 받았습니다.

김상현의 다른 상품

인공지능, 무엇이 문제일까?

인공지능, 무엇이 문제일까?

10,500

'인공지능, 무엇이 문제일까?' 상세페이지 이동

지구와 미래를 위협하는 우주 쓰레기 이야기

지구와 미래를 위협하는 우주 쓰레기 이야기

8,400

'지구와 미래를 위협하는 우주 쓰레기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어린이를 위한 4차 산업혁명 직업 탐험대

어린이를 위한 4차 산업혁명 직업 탐험대

8,400

'어린이를 위한 4차 산업혁명 직업 탐험대' 상세페이지 이동

어린이를 위한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이야기

어린이를 위한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이야기

8,400

'어린이를 위한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청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청한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파퓰러 사이언스] 한국판 기자와 동아사이언스 콘텐츠사업팀 기자를 거쳐 현재는 [사이언스 타임즈] 객원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김청한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4'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오혜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혜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학교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학(STS) 석사학위를 받았다. 분자생물학부터 동물, 인체, 식물, 생태학까지 대학에서 열린 생명과학 전공 강의를 거의 전부 들었을 정도로 생물학을 좋아했지만, 세상에는 생물학보다 재밌는 것들이 너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대학원에 들어간 첫 학기에 실험하고 연구하는 과학자의 삶은 적성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잠시 방황의 길을 걸었다. 인생의 진로를 고민하던 중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현 과학학과)에서 과학기술에 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인 관점을 배우며 삶의 전환점을 맞았다. 이곳에서 과학기술학(STS)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하며 《어린이과학동아》《과학동아》에 기사를 썼다. 현재 과학 콘텐츠 기획·제작사 동아에스앤씨에서 기자로 일하고 있다.

오혜진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5 감염병 X, 바이러스와 인류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5 감염병 X, 바이러스와 인류

12,600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5 감염병 X, 바이러스와 인류'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규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규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포스텍 생명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석사논문은 과학적 실재론 논쟁에 관해 썼고, 현재 같은 과정의 박사과정에서 생명과학철학·심리철학 분야를 공부하고 있다.

강규태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상세페이지 이동

전염병 팬데믹 어떻게 해결할까?

전염병 팬데믹 어떻게 해결할까?

10,500

'전염병 팬데믹 어떻게 해결할까?'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원호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원호섭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를 졸업한 뒤 현대자동차 기술 연구소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동아사이언스 뉴스팀과 [과학동아]팀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매일경제 과학기술부, 산업부, 증권부를 거쳐 현재 현재 디지털테크부 미라클랩에서 스타트업을 취재하고 있다.

원호섭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5'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경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경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방송통신대 영상학과를 졸업하고 ‘군사세계’의 해외기술 담당 기자 및 ‘이미지프레임’의 군사서적 전문 편집자로 일했다. 현재 ‘우라웍스’의 영상 콘텐츠 시나리오 작가이자 《월간 밀리터리 리뷰》, 《플래툰》의 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