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라울 몬카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라울 몬카요
관심작가 알림신청
Raul Moncayo
라울 몬카요(Ph. D.)는 칠레 출신의 미국 정신분석 임상가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캘리포니아의 면허 심리학자로서 정신분석 라캉 스쿨(Lacanian School of Psychoanalysis)의 창립 멤버이자 감독 분석가이다. 그는 공중 보건부 산하 샌프란시스코의 정신 건강 교육 책임자이며, 학술 기관의 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몬카요는 Evolving Lacanian Perspectives for Clinical Psychoanalysis(2008), The Emptiness of Oedipus(2012), The Signifier Pointing at the Moon(2012), The Real Jouissance of Uncountable Numbers(2014), Lalangue, Sinthome, Jouissance, and Nomination(2016), Knowing, Not-Knowing, and Jouissance(2018), Lacan and Chan Buddhist Thought(2023)의 다수의 저작이 있다. 그는 언어가 인간의 정신 과정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을 명확히 밝히는 측면을 라캉 정신분석의 주요한 공헌으로 삼으며 임상, 교육, 집필 작업을 하고 있다. 이 텍스트는 현대 정신의학 중심의 현황에서 라캉학파의 정신분석 실천이 기존의 심리치료, 여타 정신분석학파와 어떻게 만나고 일별하는지 서설한다. 또한 라캉 정신분석에서 예비 면담부터 논리적 시간에서의 절분, 분석가의 존재, 오이디푸스 과정, 성차에서 일자의 기능과 여성적 주이상스, 분석의 목표와 종결까지 논함으로써 라캉 정신분석 실천의 이론과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라울 몬카요의 다른 상품

충동의 몽타주: 충동에 관한 18개의 텍스트

충동의 몽타주: 충동에 관한 18개의 텍스트

17,000

'충동의 몽타주: 충동에 관한 18개의 텍스트'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수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수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휴머니티융합학과 의료인문정신분석전공 교수이다. 상담전공으로 교육학 박사 학위와 정신분석전문가(Psychoanalytic Psychotherapist, KPA-T-056), 임상미술심리전문상담사(KATA, 09-053) 자격을 취득하고 교육, 연구, 분석 실천을 하고 있다. 현재 정신분석가 수련 중에 있다. 프로이트와 라캉, 그 외 정신분석학자들에 대한 폭넓은 시선의 탐구로 정신분석을 한국 사회에서 유효한 정신 탐구(법), 치료 방법, 그리고 과학으로 전문화와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KSCP)에서 공동체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연구와 저서로는 「히스테리(자)의 욕망에 대한 라캉 정신분석 사례연구」(2023), 「프로이트와 라캉, 불안의 개념화와 정신분석 실천 함의」(2021), “Art Therapy for Harmonizing Desire and Life in Korean Society”(2021),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 고찰의 정신분석 실천적 의미」(2019) 외 정신증의 연안 지대(2020), 프란시스코 고야 분석(2019), 분 석의 종결의 의미(2018), 히스테리와 여성성(2015) 등 다수의 논문, 『정신분석 미술치료: 프로이트부터 라캉까지』(2020) 외 두 편의 공저가 있다. 주체와 진리 탐구를 방향성으로 하여 학제적, 실천적 노력을 이어 감으로써 우리 개인과 사회를 위해 전문가 교육 및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수진의 다른 상품

정신분석 미술치료

정신분석 미술치료

25,000

'정신분석 미술치료'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