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스탕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스탕달
관심작가 알림신청
Stendhal,마리 앙리 벨(Marie Henri Beyle)
발자크와 함께 프랑스 근대소설의 창시자로 불리는 스탕달은 1783년 프랑스 그르노블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자신과는 성향이 매우 달랐던 가족과의 불화 속에서 우울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소설 외에 문예평론·여행기·평전을 남겼다. 문필활동 말고는 나폴레옹시기에 군인·군무원을, 7월혁명 이후에 외교관을 지낸다.

1800년 용기병 소위로 임관받아 이탈리아로 떠난 이후 스탕달은 나폴레옹 제정의 관료로서 몇 차례의 승진과 함께 출셋길에 오르고 나폴레옹 원정군을 따라 알프스를 넘지만, 1814년 나폴레옹 몰락과 함께 이탈리아 밀라노에 머물면서 본격적인 문필생활을 시작한다. 이 시기에 『이탈리아 회화사』, 『아르망스』 등을 집필했다. 1819년 메칠드와 생애 최고의 연애를 하지만, 그들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경험은 뒷날에 평론 『연애론』(1822)을 탄생시킨다. 1921년 파리로 돌아와 문필활동을 계속하며 1825년 『라신과 셰익스피어』를 발표하여 낭만주의운동의 대변자가 된다.

첫 소설 『아르망스』(1827)는 성적 불능자를 주인공으로 한 특수한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그다지 주목받지 못한다. 7월혁명 이후 대표작 『적과 흑』(1830)을 출간하며 처음으로 ‘스탕달’이라는 필명을 사용한다. 그 밖에 미완성 장편소설 『뤼시앙 뢰방』, 『라미엘』, 사후에 ‘이탈리아 연대기’로 간행되는 『카스트로의 수녀원장』 등 중·단편들을 모은 『한 만유자의 메모』(1838)를 발표한다. ‘이탈리아 연대기’의 연장인 『파르마의 수도원』(1839)은 그의 생애를 매듭짓는 걸작이 된다.

이처럼 발상과 기법의 참신함 때문에 작가 생전에는 많은 이해를 얻지 못하지만, 죽은 뒤 스탕달의 작품은 점점 많은 독자를 얻어 세계적인 명작으로 발돋움한다. 스탕달은 1842년 파리에서 뇌졸중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유해는 몽마르트르 묘지에 안장되었다.

스탕달의 다른 상품

스탕달 누구에게나 연애는 있다

스탕달 누구에게나 연애는 있다

9,900 (10%)

'스탕달 누구에게나 연애는 있다' 상세페이지 이동

로마, 나폴리, 피렌체

로마, 나폴리, 피렌체

38,000

'로마, 나폴리, 피렌체' 상세페이지 이동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

14,400 (10%)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 상세페이지 이동

가만히, 걷는다

가만히, 걷는다

13,500 (10%)

'가만히, 걷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1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1

16,200 (10%)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1' 상세페이지 이동

적과 흑

적과 흑

8,550 (10%)

'적과 흑' 상세페이지 이동

발자크와 스탕달

발자크와 스탕달

13,300 (5%)

'발자크와 스탕달' 상세페이지 이동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11~20 세트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11~20 세트

97,200 (10%)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11~20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경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경래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스탕달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파리3대학에서 <스탕달 소설 세계에 나타난 시간성 연구>를 통해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프랑스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논문으로는 <라신과 셰익스피어 연구>, <스탕달의 서술 전략>, <스탕달의 음악적 글쓰기> 등 다수의 스탕달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언어철학》, 《시간과 이야기 1, 2》, 《유럽 문명의 아프리카 기원》 외 다수의 역서를 출간했다.

이경래의 다른 상품

로마, 나폴리, 피렌체

로마, 나폴리, 피렌체

38,000

'로마, 나폴리, 피렌체' 상세페이지 이동

아프리카 속담 사전

아프리카 속담 사전

18,000 (10%)

'아프리카 속담 사전'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의 시대, 인문학이 답하다

위기의 시대, 인문학이 답하다

18,000

'위기의 시대, 인문학이 답하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