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저 : 이충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충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천문학 석사학위를 받고,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천문학 잡지 [별과 우주]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동아], [수학동아]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과학 콘텐츠 기획·제작사 동아에스앤씨의 편집위원으로 있다.

과학의 대중화를 향한 그의 여정은 천문학 잡지 [별과 우주]에서 기자로 활동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후 그의 과학에 대한 관심은 우주와 별자리 이야기는 물론, 지구온난화, 화산과 지진과 같은 지구의 움직임, 조류의 지능 등 다방면으로 펼쳐졌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과 활동은 책과 칼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되었다. 그 중 『십 대가 꼭 알아야 할 기후변화 교과서』는 2023년 우수출판콘텐츠로 선정되었다. 지은 책으로 『지구 온난화 어떻게 해결할까?』 『재미있는 화산과 지진 이야기』 『블랙홀』 『재미있는 별자리와 우주 이야기(공저)』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시리즈(공저)』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상대적으로 쉬운 상대성이론』 『빛의 제국』 『빅뱅 직전의 우주 보이드』 『버드 브레인』 등이 있다.

이충환의 다른 상품

노벨상을 꿈꿔라 9

노벨상을 꿈꿔라 9

9,100

'노벨상을 꿈꿔라 9' 상세페이지 이동

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까?

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까?

10,500

'미세먼지, 어떻게 해결할까?'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6

노벨상을 꿈꿔라 6

9,100

'노벨상을 꿈꿔라 6'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8

노벨상을 꿈꿔라 8

9,100

'노벨상을 꿈꿔라 8'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12,460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세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세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 사학과와 동 국제학대학원을 졸업했다. [전자신문] 기자, [동아사이언스] 데일리뉴스 팀장을 거쳐 [지디넷코리아] 과학 전문 기자로 일하고 있다. 『플랫폼 경제 무엇이 문제일까?』,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과학 용어 사전』 등을 썼고 『네트워크 전쟁』을 옮겼다.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과 『노벨상을 꿈꿔라』의 필진으로도 참여 중이다. 기술과 사람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해 가는 모습을 항상 흥미롭게 지켜보며 연구하고 있다.

한세희의 다른 상품

노벨상을 꿈꿔라 9

노벨상을 꿈꿔라 9

9,100

'노벨상을 꿈꿔라 9'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6

노벨상을 꿈꿔라 6

9,100

'노벨상을 꿈꿔라 6'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8

노벨상을 꿈꿔라 8

9,100

'노벨상을 꿈꿔라 8'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12,460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7

노벨상을 꿈꿔라 7

9,100

'노벨상을 꿈꿔라 7'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범용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범용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에서 철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뒤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과정을 다니고 있다. 전공 분야는 과학철학이며 경제학과 철학에 관심이 있다.

김범용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7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7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7'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응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응서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eBiz팀과 온라인뉴스팀 팀장, [수학동아], [과학동아] 부편집장, 머니투데이방송 선임기자, 테크월드 편집장, 이뉴스투데이 IT과학부&생활경제부 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이코노믹리뷰에서 산업부 부국장을 맡고 있다.

박응서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6

노벨상을 꿈꿔라 6

9,100

'노벨상을 꿈꿔라 6'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노벨상을 꿈꿔라 7

노벨상을 꿈꿔라 7

9,100

'노벨상을 꿈꿔라 7'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청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청한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파퓰러 사이언스] 한국판 기자와 동아사이언스 콘텐츠사업팀 기자를 거쳐 현재는 [사이언스 타임즈] 객원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김청한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8'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4'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오혜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혜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학교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학(STS) 석사학위를 받았다. 분자생물학부터 동물, 인체, 식물, 생태학까지 대학에서 열린 생명과학 전공 강의를 거의 전부 들었을 정도로 생물학을 좋아했지만, 세상에는 생물학보다 재밌는 것들이 너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대학원에 들어간 첫 학기에 실험하고 연구하는 과학자의 삶은 적성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잠시 방황의 길을 걸었다. 인생의 진로를 고민하던 중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현 과학학과)에서 과학기술에 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인 관점을 배우며 삶의 전환점을 맞았다. 이곳에서 과학기술학(STS)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하며 《어린이과학동아》《과학동아》에 기사를 썼다. 현재 과학 콘텐츠 기획·제작사 동아에스앤씨에서 기자로 일하고 있다.

오혜진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5 감염병 X, 바이러스와 인류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5 감염병 X, 바이러스와 인류

12,600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5 감염병 X, 바이러스와 인류'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9'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규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규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포스텍 생명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석사논문은 과학적 실재론 논쟁에 관해 썼고, 현재 같은 과정의 박사과정에서 생명과학철학·심리철학 분야를 공부하고 있다.

강규태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상세페이지 이동

전염병 팬데믹 어떻게 해결할까?

전염병 팬데믹 어떻게 해결할까?

10,500

'전염병 팬데믹 어떻게 해결할까?'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0'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미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미래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사이언스에서 [수학동아] 수학 기자로 활동했다. 2022년 필즈상 취재기사로 과학기자협회의 ‘2022 올해의 의과학취재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과학동아]에서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김미래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3'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원호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원호섭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를 졸업한 뒤 현대자동차 기술 연구소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동아사이언스 뉴스팀과 [과학동아]팀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매일경제 과학기술부, 산업부, 증권부를 거쳐 현재 현재 디지털테크부 미라클랩에서 스타트업을 취재하고 있다.

원호섭의 다른 상품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12,600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4'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상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상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KAIST에서 전기및전장공학으로 학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주)픽셀플러스와 삼성종합기술원에서 기업 경력을 쌓은 후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단장으로 근무 중이다. 주요한 관심 분야는 양자암호통신, 양자컴퓨터, 양자센서를 포함한 양자응용 시스템 개발이다. 2022년 양자암호통신 상용화 핵심기술 개발 성과를 통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로 선정되었으며, 양자 기술 분야의 공적으로 2021년 국무총리 표창, 2022년 과학기술정통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저 : 김상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상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대학에서 기계설계 및 공업디자인을 전공했으며 동아사이언스 등에서 과학에 대한 글을 썼고 라디오를 통해서 과학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현재는 칼럼니스트로 글을 쓰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과학 관련 영상 제작에 참여하고 있으며 KAIST 지식재산전략최고위과정에서 최우수 연구상을 받았다.

김상현의 다른 상품

미래 과학의 필수 과목, 어린이를 위한 뇌 과학 이야기

미래 과학의 필수 과목, 어린이를 위한 뇌 과학 이야기

9,000

'미래 과학의 필수 과목, 어린이를 위한 뇌 과학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