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9명)

이전

저 : 강호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호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경적 페미니즘과 생태 실천신학, 그리고 젠더 교회법 모색을 연구하는 실천신학자다. 건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석사(Th.M.)와 「교회여성리더십의 이론적 근거와 실천방안 연구」로 실천신학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총신대학교에서 ‘현대사회와 여성’,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는 ‘교회 여성의 이해와 사역’을 강의했으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성경과 여성’, ‘기독 신앙과 성’, ‘여성과 설교’를 강의하였다. 현재는 복음주의 교회연합 공동대표와 여성 신학회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여성이 만난 하나님』(2016)과 『성경적 페미니즘과 여성 리더십』(2020)이 있으며, 공저로는 『세월호, 희망을 묻다』(2015), 『성폭력, 성경, 한국교회』(2019), 『혐오를 부르는 이름 차별』(2020), 『생태 위기와 기독교』(2021), 『샬롬 페미니즘입니다』(2021)가 있다.

강호숙의 다른 상품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17,100 (5%)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상세페이지 이동

생태 위기와 기독교

생태 위기와 기독교

14,250 (5%)

'생태 위기와 기독교' 상세페이지 이동

성경적 페미니즘과 여성 리더십

성경적 페미니즘과 여성 리더십

20,700 (10%)

'성경적 페미니즘과 여성 리더십'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구미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구미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세상의 다채로운 풍광을 신학적 사유의 틀로 재미있게 풀어내는 우리 시대의 이야기꾼이자 기독교 인문학자. 매사에 심각하고 경직된 신학 풍토 속에서 그의 이야기 신학은 ‘춤추는 영’에 사로잡힌 듯 경쾌하고 자유롭다. 사회적 약자의 편에 서서 지구에 만연한 폭력을 고발하는 글에서도 그의 신학 언어는 발랄한 움직씨로 팔팔하게 약동한다. 하나님의 자비에 터한 살림의 영성과 돌봄의 윤리 감각은 교리나 교권 같은 답답한 울타리에 갇혀 있지 않고 하늘, 사람, 생명, 자연을 향해 활짝 열려 있다. 그의 신학이 생기를 잃지 않는 것은 시와 소설, 그림, 음악, 영화 등 동시대의 문화예술과 깊이 교감하며 사유의 진폭을 끊임없이 확장해 가기 때문이리라.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를 졸업했다. 생태여성주의에 바탕을 두고 신학과 윤리를 재구성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숭실대학교에서 강의하는 한편, 경기도 화성에 자리한 이은교회 목사로 활동하며, '화성으로 간 책방'을 꾸려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 글자로 신학하기》, 《두 글자로 신학하기》, 《그림으로 신학하기》, 《야이로, 원숭이를 만나다》, 《핑크 리더십》, 《구약 성서, 마르지 않는 삶의 지혜》, 《교회 밖 인문학 수업》, 《십자가의 역사학》 등이 있으며,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교회 다시 살리기》, 《작은 교회가 아름답다》, 《아웅산 수지, 희망을 말하다》, 《낯선 덕: 다문화 시대의 윤리》 등 여러 권이 있다.

구미정의 다른 상품

교회 옆 미술관

교회 옆 미술관

18,000 (10%)

'교회 옆 미술관' 상세페이지 이동

십자가의 역사학

십자가의 역사학

16,200 (10%)

'십자가의 역사학' 상세페이지 이동

두 눈, 그 너머에서 세상을 보다

두 눈, 그 너머에서 세상을 보다

14,250 (5%)

'두 눈, 그 너머에서 세상을 보다' 상세페이지 이동

교회 밖 인문학 수업

교회 밖 인문학 수업

14,400 (10%)

'교회 밖 인문학 수업' 상세페이지 이동

구약 성서, 마르지 않는 삶의 지혜

구약 성서, 마르지 않는 삶의 지혜

12,420 (10%)

'구약 성서, 마르지 않는 삶의 지혜' 상세페이지 이동

희망을 말하다

희망을 말하다

18,050 (5%)

'희망을 말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교회 다시 살리기

교회 다시 살리기

5,700 (5%)

'교회 다시 살리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순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순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삶의 상황성과 일상을 신학의 자료 삼는 구약성서 연구자다.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에서 구약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십 수 년 동안 백석대 신학대학원과 평생교육원, 안양대 신학대학원, 한영대에서 히브리어와 구약 과목들을 강의했다. 지금은 비블로성경인문학연구소 연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 교수 지원을 받으며 잠언의 지혜와 동아시아 도의 개념 비교, 생태학적인 구약본문 해석과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 『어찌하여 그 여자와 이야기하십니까?』(꽃자리, 2017), 『일상의 신학, 전도서』(새물결플러스, 2019) 등이 있다.

김순영의 다른 상품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17,100 (5%)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상세페이지 이동

성서, 생태 위기에 답하다

성서, 생태 위기에 답하다

17,100 (5%)

'성서, 생태 위기에 답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일상의 신학, 전도서

일상의 신학, 전도서

16,200 (10%)

'일상의 신학, 전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소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소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지천명’의 나이 오십이 되면 하늘의 뜻을 헤아릴 수 있는 ‘존재의 깊이’에 도달할 줄 알았건만, 여전히 엄마로 교수로 동동거리며 일상의 관계들을 이어가고 있다. 피하지 않고 마주한 모든 관계와 씨름하는 동안 샘물처럼 길어올린 신앙적, 신학적 성찰들을 토대로 공동체 윤리를 모색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기독교학(BA)과 기독교사회윤리학(MA)을 전공했다. 이후 미국 보스턴대학교 신과대학에서 기독교사회윤리학과 비교신학 박사학위(Th.D.)를 취득하였다. 그러나 박사학위 논문을 쓸 무렵 결혼을 했고 한 아이의 엄마가 되어 7년간 경력 단절을 겪었다. 우여곡절 끝에 늦깎이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 기독교학과 초빙교수로 직업 현장에 들어섰고 현재 강남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의 사랑이 義롭기 위하여』, 『엄마되기 힐링과 킬링 사이』, 『세상을 욕망하는 경건한 신자들』, 『삶, 그 은총의 바다』, 『페미니즘과 기독교의 맥락들』, 『살아내고 살려내고』, 『기독교 허 스토리』 등이 있으며 저서의 주제를 중심으로 대중 특강과 북콘서트, 교양강좌를 진행해왔다. CBS, CGNTV, 유튜브 ‘잘 믿고 잘 사는 법’ 등에서 활동했으며, 개인 유튜브 채널 ‘So young한 인문신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백소영의 다른 상품

예기적 기다림

예기적 기다림

2,250 (10%)

'예기적 기다림' 상세페이지 이동

사실은 당연하지 않은 것들

사실은 당연하지 않은 것들

12,350 (5%)

'사실은 당연하지 않은 것들' 상세페이지 이동

기독교 허스토리

기독교 허스토리

15,300 (10%)

'기독교 허스토리' 상세페이지 이동

살아내고 살려내고

살아내고 살려내고

11,400 (5%)

'살아내고 살려내고' 상세페이지 이동

그 후로도 기다림

그 후로도 기다림

2,090 (5%)

'그 후로도 기다림' 상세페이지 이동

혐오와 한국 교회

혐오와 한국 교회

14,400 (10%)

'혐오와 한국 교회'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사회

포스트 코로나 사회

13,500 (10%)

'포스트 코로나 사회' 상세페이지 이동

세상을 욕망하는 경건한 신자들 (큰글자책)

세상을 욕망하는 경건한 신자들 (큰글자책)

23,000

'세상을 욕망하는 경건한 신자들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순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순양
관심작가 알림신청
드류(Drew) 대학교에서 “알 수 없는 하나님을 닮은 알 수 없는 인간(The Non-Knowing Self and ‘The Impossible’ Other)”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에서 시작하여 부정신학적 신론과 인간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현재 이화여대와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조직신학개론’ ‘포스트모더니즘과 여성신학’ 등을 가르치고 있고 이화여대 대학교회에서 청년부 담당 목사로 일하고 있다. 포스트페미니스트라고 불리는 가야트리 스피박, 쥬디스 버틀러의 사상을 신학적 사고에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가가 관심사다. 여성학적 시각이 녹아나 있는 신학적 인간론을 구상해보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스피박의 서발턴의 관점에서 바라본 아시아 여성신학과 민중신학적 담론에 대한 문제제기」와 「한국 개신교의 ‘가족 강화’ 신앙 교육과 여성」이 있고, 공저 『한국신학 의 선구자들』에 윤성범에 대한 글을 썼고, 여성신학회 논집 『21세기 세계 여성신학의 동향』에 지도교수 캐서린 켈러를 소개하는 글을 썼다. 그밖에 『남겨진 자들의 신학』, 『위험사회와 여성신학』, 『한국적 생명신학을 논하다』, 『민중신학의 여정』 등의 공저자로 참여하였다. 현재 소장 인문/신학자들의 모임인 [인문학밴드: 대구와 카레]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순양의 다른 상품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17,100 (10%)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 상세페이지 이동

아픔 넘어

아픔 넘어

12,600 (10%)

'아픔 넘어' 상세페이지 이동

편 : 한국여성신학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한국여성신학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1984년 10월에 창립된 한국여성신학회는 여성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명제를 기본 바탕으로 잡고, 이 명제를 풀어가기 위하여 종교상에 나타난 여성관, 언어를 통한 여성학의 성격과 특성이라는 주제를 갖고 제1회 학술대회(1985년)를 개최한 이래,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의 여성문제에 대한 학제적 학술 활동을 지속해 오고 있으며 학술지 발간, 학술대회, 포럼 및 세미나 등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한국여성신학회의 다른 상품

치유와 여성신학

치유와 여성신학

15,300 (10%)

'치유와 여성신학'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