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유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유계
관심작가 알림신청
1607(선조40)~1664(현종5). 조선 중기의 인물로,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이다. 1630년(인조8) 진사과에 합격하고, 163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시강원 설서로서 척화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성립되자 임천(林川)에 유배되었다. 1639년에 풀려났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금산(錦山)의 마하산(麻霞山)에 산천재(山泉齋)를 짓고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1646년 무안 현감이 되었다. 1649년 인조 사후에 인조의 묘호를 정하는 일에 반대하여 선왕을 욕되게 했다는 죄로 효종의 노여움을 사 1650년(효종1) 온성(穩城)에 유배되었다가 영월(寧越)로 이배되었다. 1652년 유배에서 풀려난 뒤 다시 등용되어 대사간·대사성·부제학·대사헌·이조 참판·도승지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는 《시남집(市南集)》, 《가례원류(家禮源流)》, 《여사제강(麗史提綱)》이 전한다. 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이유태(李惟泰)·윤선거(尹宣擧)와 더불어 충청 오현(忠淸五賢)으로 일컬어졌다.

유계의 다른 상품

역 : 오승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오승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吳承峻
1979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학산 조종업, 아당 이성우 선생에게서 한문을 배웠다.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옥오재집』, 『동주집』 등이 있다.

오승준의 다른 상품

역 : 황교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황교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黃敎殷
1978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현민 이종선·병주 이종락·한송 성백효·아당 이성우 선생을 사사했으며,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도곡집》, 《성재유고》 등이 있다.

황교은의 다른 상품

역 : 이재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재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在淑
1975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기려수필』, 『승암시화』, 『좌계부담』, 『해동사부』 등이 있고 저서로 『호서의 큰 고을, 홍주이야기』 등이 있다.

이재숙의 다른 상품

역 : 이상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상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1981년 세종에서 태어났다. 공주대학교에서 학사과정을 마쳤고,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병주 이종락, 아당 이성우 선생에게서 한문을 배웠다.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에서 연구보조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면불일기』 등이 있다.

이상수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