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클로딘 갈레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클로딘 갈레아
관심작가 알림신청
Claudine Galea
1960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출생한 소설가, 극작가, 청소년 문학 작가.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한 후 연극 배우로 활동하다 글쓰기에 흥미를 느껴 《잡지 위뷔》 편집부에서 활동하다 《라 마르세예즈》 신문 기자가 된다. 시?마르세유 국제센터 CCP 주간 잡지 문학 관련 기사를 쓴다. 몇 년 후 기자 생활을 그만두고 라디오, 연극, 소설, 동화 쓰기에 전념한다. 1993년에 첫 라디오 극 〈말타 섬의 사람들〉이 라디오 방송 ‘프랑스 퀼튀르’에서 방송된다. 이후 라디오 극작가로 작품 의뢰를 받기 시작한다. 1999년에 아메드 에샤드의 오페라 대본을 썼다. 2022년부터 현재까지 ‘낭테르 아망디에 극장’(예술 감독 크리스토프 로크) 전속 극작가로 있다. ‘스트라스부르 국립극장’에서 펴내는 잡지 《Parages(해역)》 2021년 9월 호는 작가 클로딘 갈레아 특집으로 꾸며졌다. 여러 작품이 프랑스 국내외에서 계속 공연되고 있으며 12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

클로딘 갈레아의 다른 상품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30,000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임혜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임혜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임혜경은 현재 숙명여대 명예교수(프랑스언어문화학과)이며, 번역가, 연극평론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극단 프랑코포니’(2009년 창단) 대표로서 거의 매년 한 편씩 공연 제작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문학상 번역 신인상(한국 문화 예술 진흥원, 1991), 한국문학 번역상(한국문학번역원, 2003)을 공역자 카티 라팽과 공동 수상한 바 있으며, 서울연극인대상 번역상(서울연극협회, 2014)을 수상했다. 그 외 프랑스정부 교육공로훈장(PA)(2015), 올빛상(학술평론부문, 한국여성연극인협회, 2018)을 받았다. 프랑스어 역서(카티 라팽과 공역)로는 윤흥길의 소설≪에미≫와 ≪장마≫, ≪김광규 시선집≫을 비롯하여, 최인훈 희곡≪봄이 오면 산에 들에≫, 윤대성 희곡≪신화1900≫, 이현화 희곡≪불가불가≫, 이윤택 희곡≪문제적 인간-연산≫과 ≪이윤택희곡집≫, ≪한국 현대 희곡선≫, ≪한국연극의 어제와 오늘≫, ≪이현화 희곡집≫ 등의 한국 문학과 한국희곡, 한국연극 연구서가 프랑스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우리말 역서로는 불어권의 동시대 희곡인 미셀 마크 부샤르의 ≪고아 뮤즈들≫와 ≪유리알 눈≫, 장 뤼크 라갸르스의 ≪난 집에 있었지 그리고 비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지≫와 ≪단지 세상의 끝≫, 장 미셀 리브의 ≪동물 없는 연극≫, 조엘 폼므라의 ≪두 한국의 통일≫와 ≪이 아이≫, 레오노르 콩피노의 ≪벨기에 물고기≫, 상드린느 로쉬의 ≪아홉 소녀들≫, 플로리앙 젤레르의 ≪아버지≫, 마갈리 무젤의 ≪쉬지 스톨크≫ 등이 있다. 그 외에 피에르 볼츠의 ≪희극, 프랑스 희극의 역사≫(공역), 카티 라팽의 시집 ≪그건 바람이 아니지≫와 ≪맨살의 시≫(공역)가 있다.

임혜경의 다른 상품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30,000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너 자신이 되라 (큰글자책)

너 자신이 되라 (큰글자책)

20,000

'너 자신이 되라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너 자신이 되라

너 자신이 되라

12,800

'너 자신이 되라' 상세페이지 이동

아버지 (큰글씨책)

아버지 (큰글씨책)

23,000

'아버지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큰글씨책)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큰글씨책)

34,0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22,8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쉬지 스토르크 (큰글씨책)

쉬지 스토르크 (큰글씨책)

25,000

'쉬지 스토르크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