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민경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민경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음악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거쳐 동경예술대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책임연구원, 교육부 교과과정 심의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서울 문화예술 평론상, 일본 방송진흥기금 대상 및 특별상, 국가보훈처 보훈문화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본 한국근현대음악관 소장 자료 『근화창가』의 희귀성과 그 가치를 평택시에 알려 문화재 등록을 추천하고 자문한 바 있다.
주요 연구로는 『김순남 가곡전집』(편저, 1988), 『한국창가의 색인과 해제』(1997), 『한국작곡가사전 I, II, III』(공저,1999), 『우리양악 100년』(공저, 2001),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2006), 『동아시아와 서양음악의 수용』(공저, 2008),『문화예술운동』(공저, 2009), 「신편창가집과 라마자 신편창가집」(1995), 「보통학교창가서」(1995), 「보통학교보충창가집」(1996), 「김인식의 (교과적용) 보통창가집」(1997), 「홍난파의 통속창가집」(1998), 「이상준이 편찬한 신유행창가집」(2000), 「‘창가’를 다시 묻는다」(2008) 등이 있다.

민경찬 의 다른 상품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8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8

25,000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8' 상세페이지 이동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5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5

23,000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5'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문옥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옥배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 공주문화재단 대표이사
국립공주사범대학(음악교육학전공)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음악학전공)를 졸업했다. 호서대학교 겸임교수, 대전문화재단 사무처장, 당진문예의전당 관장, 공주문화재단 대표이사 등을 지냈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심의위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활동증명심의위원, 음악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 공연예술 통제사』(예솔, 2013), 『한국금지곡의 사회사』(예솔, 2004), 『한국 교회음악 수용사』(예솔, 2001), 『한국 찬송가100년사』(예솔, 2002), 『음악사회의 인식과 비평』(예솔, 2007) 등이 있다.

문옥배의 다른 상품

일제의 대중문화 통제

일제의 대중문화 통제

19,000 (5%)

'일제의 대중문화 통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수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수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민족문화유산연구소 소장.
서울대 음악대학 졸업. 중앙대 음악학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중앙대 겸임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로는 『근대음악기사자료집』1~10권(공편, 2008), 『사진과 엽서로 본 근대의 풍경』(공저, 2011), 『조선시대 악률론과 시악화성』(2012), 『경기음악Ⅱ』(공저, 2013), 『지영희를 말한다』(공저, 2016), 『조선의 악률론과 근대음악론』(2021), 『1914 북간도의 노래-최신창가집 152곡』(엮음, 2023), 『시나위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엮음, 2023), 「일제강점기 국악 관련 학술적 연구경향고찰」(2012), 「근대시기 전통음악 장르용어에 관한 연구」(2012), 「실록악보로 본 세종 세조의 음악실천과 이론」(2021), 「사료로 보는 애국가 짓기와 부르기의 역사」(2021), 「일제강점기 음악통제와 애국창가 탄압사례」(2021), 「항일 독립운동가로 부른 학도가류 연구」(2021), 「북간도 광성중학교 발행 『최신창가집(부악전)』(1914) 수록 창가 연구」(공저, 2022) 등이 있다.

김수현의 다른 상품

조선의 악률론과 근대음악론

조선의 악률론과 근대음악론

35,000

'조선의 악률론과 근대음악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준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준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초빙교수.
노래를 찾는 사람, 노래로 역사를 쓰는 사람, 노래로 세상을 보는 사람. 한국 고전 대중음악 전공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1920- 40년대 조선 대중음악과 만주: 인적 접속의 흔적과 영향」 등 관련 논저를 발표해 왔다. <남인수 전집>, <이난영 전집> 등 음반을 기획?제작했고, KBS <가요무대> 등 방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옛 가요 사랑 모임 ‘유정천리’ 부회장이며 전주대학교 등에서 대중음악 및 대중문화 강의를 이끄는 강사이기도 하다.

저 : 강태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태구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공주문화관광재단 시민문화팀장 겸 문화도시센터장 직무대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과를 거쳐 동아대학교 음악문화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목원대학교, 동아대학교, 중앙대학교 강사 및 겸임교수,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전문 인력, 대전시립연정국악원 공연기획 등을 역임하였다. 본 한국근현대음악관을 조성하기 위한 고 노동은 교수의 자료기증과 자료이관, 자료 정리 등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일본음악의 역사』(번역서, 2013), 『친일의 오늘-안익태 애국가와 트로트』(공저, 2023), 「경성후생실내악단에 관한 연구?(2012), 「조국의 광복을 노래한 작곡가 먼구름 한유한?(2019) 등이 있다. 또 고 노동은 교수의 유작 『항일음악 330곡집』(2017)의 교정, 『인물로 본 한국근현대음악사: 음악가 10인의 엇갈린 선택』(2017), 『친일음악』(2017) 등을 발간하였다.

강태구의 다른 상품

친일의 오늘 : 안익태 애국가와 트로트

친일의 오늘 : 안익태 애국가와 트로트

14,250 (5%)

'친일의 오늘 : 안익태 애국가와 트로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세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세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국립국악고등학교 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예술사와 전문예술사를 졸업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악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근현대음악관의 상설 전시 기획 및 개관 기념 도록을 집필하였고 『근화창가』의 희귀성을 입증하는 근거자료를 수집하여 문화재 등록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바 있으며 한국근현대음악관 귀중자료 4,000점 목록화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주요 논문 및 집필서로는 한국근현대음악관 개관기념 도록 『한국 근현대 음악 100년의 기록: 1890-1990』(2020), 「평택 근대음악사 연구: 포승읍의 자주적 근대음악을 중심으로」(2021), 「경기도시도등록문화재 일제강점기 금지창가집 『槿花唱歌』」(2022), 『지영희 해외 활동 자료집-평택에서 세계로』(202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