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조에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에린
관심작가 알림신청
조에린 교수는 30년 가까이 미국에서 학자로 커리어를 쌓았으며, 현재 홍콩이공대학교 패션 스쿨에서 최고위 학장직(Executive Dean)과 통합 전략과 리더십 석좌교수(Limin Endowed Professor in Integrated Strategies and Leadership)를 역임하고 있습니다. 동양 여성 최초로 세계적 디자인 학교인 파슨스에서 정교수(Tenured Full Professor)가 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파슨스가 속한 The New School 전체 대학교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동양 여성으로서 학장을 지냈습니다. 디자인, 창의성, 테크놀로지, 경영 전략의 접점에서 혁신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깊은 전문성과 경험이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홍콩, 한국 등에서 활발히 연구와 기업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저 : 제갈성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제갈성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내 대기업의 기술연구소에서 AI 전략기획을 담당하고 있으며, AI 기술 트렌드 조사, AI 기술 도입 및 활용 사례 분석, 기업 내 AI 기술 확산에 대한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AI 기술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에 대해 경영진의 깊은 이해가 필요하고, 특히 세부 조직별 특성에 따라 적절한 AI 기술 노하우를 쌓아나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향후 기업 경쟁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제조업에 특화된 AI 기술 도입 체계 및 로봇, 챗GPT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저 : 김준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준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은행에 입사 후 25년간 본부 부서와 지점에서 근무하였으며, 지점장을 거쳐 현재 은행 본부의 부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와 알토대(핀란드) 경영학 석사를 거쳐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현재 AI와 금융 관련 논문을 준비하는 중입니다.

저 : 김임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임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내 대기업의 전자 반도체 부문에서 30년 이상에 걸쳐 교육, 개발, 마케팅 업무를 수행해왔으며, 지난 3년간은 Digital Transformation Agent로서 급변하는 AI 기술을 업무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노력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이 책을 통해 저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비록 개인적인 한계와 제한된 시야로 작성된 글일 수 있지만 상호 발전을 위해 이런 내용들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독자 여러분들과 이 책을 통해 현대 사회의 변화에 공감하고 변화에 대한 준비를 잘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 : 김진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진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P&G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여 2001년 어려워진 가족 회사를 경영하기 위해 귀국 후 과감한 구조 조정과 글로벌 사업을 진행하여 기업을 성공적으로 재기시켰고, 19년간 회사 경영 후 2019년 말 사모펀드에 지분을 매각하였습니다. 이런 경영 경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CEO의 리더십과 기업가 지향성, 그리고 사업 성과 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개인 전문 투자자로서 M&A, 사모펀드, 벤처 기업, 스타트업 관련 투자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경영 자문이나 사외이사, 기업과 대학에서의 강의 등 다양한 투자 및 경영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저 : 하재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재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30년 이상 국내 대기업의 HR 부문에서 근무한 경험을 지닌 전문가로서, 주로 기업 교육 분야에서 활약해왔습니다. 국내 및 해외 임직원 교육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데이터 기반 HR 업스킬링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세대 법학과 졸업 후, 경력 중반에 MBA를 취득하였고, 현재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박사학위에 도전 중입니다. 또한, 국내 기업 최초로 피플 애널리틱스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Insight222’의 2023년도 트렌드 보고서에 자신의 우수 사례를 게재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