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도넬라 H. 메도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도넬라 H. 메도즈
관심작가 알림신청
Donella H. Meadows
세계적으로 저명한 환경학자이자, 작가이다. 1968년에 하버드 대학에서 생물물리학 박사 학위를 딴 뒤, MIT와 로마클럽에서 시스템 역학에 대해 연구했다. 이와 동시에 1972년부터 29년간 다트머스 대학에서 환경학에 대해 가르쳤다. 환경과학자로 커리어를 쌓아가면서 미국 퓨 재단이 장학금을 지원하는 퓨스칼라가 되었고, 맥아더펠로십을 수상하는 영예를 누렸다. 메도즈가 몸담았던 로마클럽은 2050년에 인류 문명이 파멸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아서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현재 로마클럽은 메도즈의 이름을 딴 상을 만들어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 사람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다.

첫 번째 대중서인 『성장의 한계』에서 저자는 인구와 경제, 환경의 장기적 추세에 대해 분석하면서 인류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예측하였다. 이 책에서 메도즈는 인류의 발전이 얼마나 더 지속될 수 있을지, 지구의 한계는 어디까지인지에 대해 다뤘는데, 이는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는 논쟁들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성장의 한계』를 통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지만, 2001년에 급작스럽게 암으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메도즈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작업하던 『ESG와 세상을 읽는 시스템 법칙』은 다이애나 라이트의 손을 거쳐서 세상에 빛을 보게 되었다. 오랫동안 사람들의 많은 기대를 불러일으켰던 이 책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기후위기 등 글로벌한 문제까지 아우르는 통찰을 제공해주는 중요한 책으로 순식간에 자리매김하였다. ESG에 관한 이 입문서는 컴퓨터와 방정식 속에만 존재하던 시스템의 원리를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힐 정도로 쉽게 설명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독자들에게 시스템에 관한 생각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를 알려주며, ESG를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지에 대해 힌트를 제시한다.

이 책은 전 세계에 걸친 리더들이 21세기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꼽은 생각들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메도즈가 시대를 앞서나간 과학자이자 교사이자 작가이자 농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은 국제적으로 가장 유명한 시스템 분석가들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에는 ‘지구가 하나의 마을이라면’ 에피소드를 만든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저 : 데니스 L. 메도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데니스 L. 메도즈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뉴햄프셔 대학의 시스템 관리학 명예 교수이며 정책사회과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이 책의 주 저자 도넬라 H. 메도즈의 남편이다. MIT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1960년대 후반부터 MIT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 경영학과 공학, 사회과학을 가르치며 다수의 혁신적인 전략 게임을 개발했고, 전 세계 50개가 넘는 나라에서 강연했다. MIT, 다트머스 대학에서 대학연구소장을 역임하고 국제시스템공학협회와 국제시뮬레이션게임협회 회장직을 수행했고, 시스템 공학, 공공 정책, 지속 가능한 개발과 관련된 전 세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식 네트워크 집단인 벌로톤그룹을 공동 설립하기도 했다.

저 : 요르겐 랜더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요르겐 랜더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Jorgen Randers
BI 노르웨이 경영대학(BI Norwegian Business School)의 기후전략 명예 교수이다. 경제, 환경, 인간 웰빙이 교차하는 영역에서 글로벌 지도자로서 활동해온 그는 1972년 《성장의 한계》와 이후 출판된 30주년 개정판을 공동 저술했다. 《2052》를 썼고 《번영의 재창조와 전환은 가능하다!Reinventing Prosperity and Transformation Is Feasible!》를 공동 저술했다.

요르겐 랜더스의 다른 상품

2052

2052

49,420 (18%)

'2052' 상세페이지 이동

2052: A Global Forecast for the Next Forty Years

2052: A Global Forecast for the Next Forty Years

35,280 (18%)

'2052: A Global Forecast for the Next Forty Years'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