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소개(12명)

이전

작곡 : Piotr I. Tchaikovsky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Piotr I. Tchaikovsky
관심작가 알림신청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Piotr Ilyich Tchaikovsky / Peter Ilyich Tchaikovsky / Peter Iljitsch Tschaikowsky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러시아 제국의 작곡가이며, '러시아의 위대한 작곡가'이자 '러시아 클래식 음악의 거장'으로 평가받는다. 계획에 없던 음악가로서의 인생은, 갖은 역경과 시련을 거쳐 이제는 불멸의 명성을 남겨 주었다.1840년 5월 7일 ~ 1893년 11월 6일)는 낭만주의 시대의 러시아 제국의 작곡가, 지휘자이다.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비창 교향곡의 작곡자이다.

그의 작품은 선율적 영감과 관현악법에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는다. 1860년대에는 러시아의 민족주의 음악파인 러시아 5인조의 지도자 밀리 발라키레프와 교제하여 국민악파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나 후반에는 낭만주의 경향의 곡을 작곡하였으며 베토벤, 슈베르트의 전통을 러시아로 확산시켰다. 말년에는 유럽 순회 공연을 다녀 성공하기도 했다.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숲속의 미녀 등은 고전 발레 음악 중 최고의 작품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Piotr I. Tchaikovsky의 다른 상품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21,300 (19%)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상세페이지 이동

Dudok Quartet 차이코프스키: 현악 사중주, 예브게니 오네긴 중 렌스키의 아리아 (Tchaikovsky: String Quartets Vol.1)

Dudok Quartet 차이코프스키: 현악 사중주, 예브게니 오네긴 중 렌스키의 아리아 (Tchaikovsky: String Quartets Vol.1)

19,500 (19%)

'Dudok Quartet 차이코프스키: 현악 사중주, 예브게니 오네긴 중 렌스키의 아리아 (Tchaikovsky: String Quartets Vol.1)' 상세페이지 이동

Mikhail Pletnev 차이코프스키-플라트네프: 백조의 호수 모음곡  / 셰드린: `카르멘` 모음곡 (Swan Lake Suite, Carmen Suite)

Mikhail Pletnev 차이코프스키-플라트네프: 백조의 호수 모음곡 / 셰드린: `카르멘` 모음곡 (Swan Lake Suite, Carmen Suite)

39,000 (19%)

'Mikhail Pletnev 차이코프스키-플라트네프: 백조의 호수 모음곡 / 셰드린: `카르멘` 모음곡 (Swan Lake Suite, Carmen Suite)' 상세페이지 이동

Luka Faulisi 비발디 / 차이코프스키: 사계 (Vivaldi: The Four Seasons)

Luka Faulisi 비발디 / 차이코프스키: 사계 (Vivaldi: The Four Seasons)

18,600 (19%)

'Luka Faulisi 비발디 / 차이코프스키: 사계 (Vivaldi: The Four Seasons)' 상세페이지 이동

Valentin Uryupin 차이코프스키: 오페라 '마녀' (Tchaikovsky: The Enchantress)

Valentin Uryupin 차이코프스키: 오페라 '마녀' (Tchaikovsky: The Enchantress)

42,900 (19%)

'Valentin Uryupin 차이코프스키: 오페라 '마녀' (Tchaikovsky: The Enchantress)' 상세페이지 이동

워너 클래식스 레이블 차이코프스키 명연주집 (Intense Tchaikovsky: A Collection Of Russian Romantic Masterpieces) [LP]

워너 클래식스 레이블 차이코프스키 명연주집 (Intense Tchaikovsky: A Collection Of Russian Romantic Masterpieces) [LP]

32,200 (19%)

'워너 클래식스 레이블 차이코프스키 명연주집 (Intense Tchaikovsky: A Collection Of Russian Romantic Masterpieces) [LP]' 상세페이지 이동

Arvids Jansons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 '고전' 외 (Tchaikovsky: Symphony No. 5, The Sleeping Beauty Op. 66 & Francesca da Rimini - Prokofiev: Symphony No. 1)

Arvids Jansons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 '고전' 외 (Tchaikovsky: Symphony No. 5, The Sleeping Beauty Op. 66 & Francesca da Rimini - Prokofiev: Symphony No. 1)

29,900 (19%)

'Arvids Jansons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 '고전' 외 (Tchaikovsky: Symphony No. 5, The Sleeping Beauty Op. 66 & Francesca da Rimini - Prokofiev: Symphony No. 1)' 상세페이지 이동

Christof Loy 차이코프스키: '그리움을 아는 자만이 나의 괴로움 알리' (Tchaikovsky: None But the Lonely Heart)

Christof Loy 차이코프스키: '그리움을 아는 자만이 나의 괴로움 알리' (Tchaikovsky: None But the Lonely Heart)

41,600 (19%)

'Christof Loy 차이코프스키: '그리움을 아는 자만이 나의 괴로움 알리' (Tchaikovsky: None But the Lonely Heart)'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Dmitri Shostakovich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Dmitri Shostakovich
관심작가 알림신청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chostakowitsch Dmitriyevich Shostakovich
러시아의 작곡가이다. 그는 소비에트 정부와 복잡한 관계에 있었는데, 1936년과 1948년에는 그의 두 작품이 공개적인 경고를 받기도 했으며, 종종 그의 작품에 대해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 그는 동시대의 가운데 가장 유명한 소비에트 작곡가 가운데 한 사람이자, 여러 개의 표창과 상을 받기도 했으며, 소비에트 최고 회의 위원이기도 했다.

초창기의 아방가르드 시기를 제외하면, 쇼스타코비치는 주로 낭만파의 작품을 썼으며, 특히 구스타프 말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그는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무조주의 형식을 도입하였으며 종종 12음렬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의 음악은 강한 대조에, 그로테스크적인 요소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의 작품 가운데 교향곡과 현악 사중주 각각 열 다섯 곡씩이 유명하며, 오페라와 여섯 개의 협주곡, 그리고 여러 영화 음악도 널리 알려져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1906년 러시아 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9살 되던 해부터 피아노를 그의 어머니 소피아 바실리에프나로부터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는 남다른 재능 덕분에 또래 아이들보다 월등한 피아노 실력을 갖게 되었다. 그는 피아노와 함께 작곡도 배웠는데, 작곡 부문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쇼스타코비치의 어릴 때 기억은 거의 육성 회고록에 잘 나타나있다.

우리 가정은 제1차 세계대전, 2월 혁명, 10월 혁명과 연이어 터지는 사회적 사건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이 연대에 썼던 내 작품에서 이미 무언가 실생활을 담아내고 싶어 하는 마음이 드러나는 것은 그다지 놀랄 일도 아니다. 이러한 ‘실생활을 담고 싶다’는 어린 마음으로 만든 작품에는 피아노 소곡 <병사>, <자유의 찬가>, <혁명의 희생자에게 바치는 장송 행진곡>이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회고록에서도 잘 나타나 있듯이, 그는 어린 시절부터 ‘혁명’ 같은 사회적 현상에 관심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1919년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였다. 그는 작곡과 피아노를 모두 공부하였는데, 작곡은 막시밀리안 슈테인베르크에게, 피아노는 로자노바와 레오니드 니콜라에프에게 사사하였다. 그는 음악원에서 다양한 형식과 장르의 곡을 썼다. 이 당시 썼던 곡들은 피아노를 위한 소품 시리즈,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트리오, 피아노를 위한 전주곡 등이 있다. 그는 음악원 졸업 작품으로 첫 번째 교향곡을 탄생시켰다. 그의 작품은 당대 최고의 지휘자였던 토스카니니, 브루노 발터 등에 의해 소개되어 젊은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쌓기 시작한다.

쇼스타코비치는 1번 교향곡(1925)를 작곡한 이후, 2번 교향곡, 10월 혁명에 바침(1927), 3번 교향곡, 메이데이]](1929), [[4번 교향곡(1936)을 작곡하였다. 그리고 1927년에는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피아노 부문 2등을 하기도 한다. 이 무렵 쇼스타코비치는 교향곡 뿐만 아니라 오페라, 발레음악 등에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작곡하였다. 그는 오페라 귀는 1933년에,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1934년에 발표한다.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전통 오페라와 달리 상당히 전위적인 작품이었는데, 당시 소련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에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을 비판하는 기사가 실리게 된다. 당시 "프라우다"에는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을 "음악이 아니라 혼란(Chaos instead of Music/Sumbru vmesto muzyki)"라고 표현한다. 쇼스타코비치는 이 사건 때문에 상당한 충격을 받았으나 결국 1936년 4번 교향곡을 완성했다. 하지만 <4번 교향곡>의 초연 일정이 무산되었고, 25년이 지난 1961년에 초연이 이루어졌다.

그는 1937년에서 1941년에는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1943에서 1948년에는 모스크바 음악원의 작곡교수를 지냈다.

쇼스타코비치의 5번 교향곡은 1937년에 작곡된다. 5번 교향곡은 혁명 교향곡이라고도 불린다. 쇼스타코비치는 자신의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을 비롯한 자신의 음악이 지나치게 형식주의적이라는 비판을 깨기 위해 다음 작품에 더욱 노력을 기울였다. 그렇게 탄생한 작품이 바로 5번 교향곡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이전의 비판과는 달리 호평을 받아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다. 그 뒤로 쇼스타코비치는 6번교향곡과 7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특히 7번 교향곡은 1941년 6월, 히틀러가 레닌그라드를 침공했을 때 레닌그라드에서 작곡한 작품인데, 이 때문에 7번 교향곡은 '레닌그라드 교향곡'이라고도 불린다. 레닌그라드 교향곡의 초연은 소련 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컸다. 초연은 토스카니니가 지휘하는 NBC 교향악단이 진행했는데, 이 공연은 미국 전 방송국을 통해 중계되었다.

7번 교향곡(레닌그라드)을 쓰고 난 이후, 그는 8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7번 교향곡은 전쟁의 고통을 가장 극적으로 반영한 교향곡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전쟁이 끝나고, 쇼스타코비치는 9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그는 9번 교향곡 자체를 쉽고 명쾌한 분위기에 의한 곡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귀엽고 발랄하기만 한 9번 교향곡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있었다. 스탈린은 9번 교향곡이 지니는 상징성(예를 들어, 베토벤의 9번 합창 교향곡이 갖는 상징성)과 전쟁의 종결이라는 큰 사건이 결합하여 대단한 걸작이 탄생할 것이라 기대했지만, 쇼스타코비치의 9번 교향곡은 그러한 기대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다. 이로 인해 즈다노프 비판이 시작되었다. 즈다노프 비판은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이루어졌는데, 음악 분야의 토론은 1948년 1월에 진행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전후 서유럽에서 도입된 형식주의적 사상과의 투쟁, 광범위한 인민대중을 높은 음악성에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한 음악 예술 발전의 과제가 토의되었다. 이 회의 이후, 쇼스타코비치 뿐만 아니라 프로코피예프, 하차투리안, 포포프, 세바린, 미야스코프스키 등이 형식주의자로 비난을 받게 된다. 이 즈다노프 비판으로 쇼스타코비치는 스탈린이 사망하는 1953년까지 교향곡을 작곡하지 않게 되고, 주로 스탈린 선전용 영화음악만을 작곡하게 된다.

스탈린이 사망(1953)하고 나서 쇼스타코비치는 같은 해 10월 10번 교향곡을 8년 만에 발표한다. 그리고 그 이후로 11번 교향곡과 12번 교향곡, 13번 교향곡, 14번 교향곡을 발표한다. 11번째 교향곡과 12번째 교향곡은 혁명을 주제로 쓴 교향곡이라고 평가받는데, 이는 표제 음악적 특징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반면 13번째 교향곡과 14번째 교향곡은 합창이 들어가기 때문에 성악 교향곡의 형태를 띠고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제 14번 교향곡을 작곡한 2년 뒤에 마지막 교향곡인 15번 교향을 작곡한다. 15번 교향곡은 앞 선 두개의 교향곡과 달리 순수 기악곡이다. 이 곡을 작곡할 때, 쇼스타코비치는 심근경색으로 병상에 있었다. 계속적인 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그는 1975년에 심장 발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의 음악은 러시아 사람들의 생활이나 기분을 잘 나타냈으며 듣기 쉬운 것이 특징이다.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은 교향곡이 대표적이며, 교향곡 뿐만 아니라 오페라,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성악곡으로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은 총 15개로 이루어진다.

제 1번 교향곡은 쇼스타코비치의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졸업 작품으로, 이 곡을 통해 세상에 젊은 작곡가, 쇼스타코비치가 알려지기 시작한다. 곡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당시 예술과 혁명은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서유럽의 현대음악 콘서트가 열리면서 자유로운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쇼스타코비치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2번 교향곡, 3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2,3번 교향곡에서는 대위적인 기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2번 교향곡에서는 극단적으로 27성부 모두 폴리포니를 이루기도 한다.

4번 교향곡은 표제가 없는 순수한 절대 음악이다. 또한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중 가장 많은 인원(총 134명)이 필요한 기악곡이다. 하지만 4번 교향곡이 <프라우다>지에서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에 대한 비판 사건으로 초연이 연기된다.

5번 교향곡은 쇼스타코비치의 15개 교향곡 중 으뜸으로 뽑힐 만큼 높은 작품성을 지녔다. 그는 그 무렵 [프라우다]에 쓰인 자신에 대한 비판, 즉 지나친 형식주의자라는 평가를 진지하게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러한 고민 끝에 탄생한 작품인 5번 교향곡은 베토벤의 5번 교향곡 운명과 극복-승리라는 내용으로 자주 비교되곤 한다.쇼스타코비치는 회고록을 통해 5번 교향곡의 주제가 인간성(인격)의 확립이라고 이야기 한다. 이 작품은 4악장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에서는 모든 악장에 일정 리듬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성을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았는데, 1악장은 d단조, 2악장은 a단조, 3악장은 f#단조, 4악장은 d단조로 볼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하자 소련 정부는 예술에 대한 간섭을 더욱 심하게 한다. 그리고 애국적인 예술 작품을 탄생시키는데, 7번 교향곡 레닌그라드도 이러한 맥락에서 탄생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독일군이 레닌그라드를 포위하였던 것에서 영감을 얻어 이 작품을 시작하였다. 이 작품 발표 당시 쇼스타코비치는 이 곡은 전쟁의 시(詩)이며, 뿌리 깊은 민족정신의 찬가이다라고 발표했지만 1악장을 제외하고는 묘사적 요소가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10] 이전, 쇼스타코비치에 대한 비난을 했던 <프라우다>에서도 이 곡에 대해서는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 곡은 훗날, 레닌그라드 시(市)에 헌정되었으며, 당시 스탈린상도 수상하게 된다. 이 곡은 표제 음악이며, 1악장은 '전쟁', 2악장은 '회상', 3악장은 '조국의 광야', 4악장은 '승리'로 알려져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9번 교향곡은 짧고 매우 경쾌한 소품 형식이다. 곡 자체는 완성도가 높은 편이었지만, 대작이 나올 것을 기대하였던 사람들에게 소규모의 경쾌하고 재치있는 곡은 실망을 안겨주었다. 쇼스타코비치는 9번 교향곡은 만든 지 8년 후에 제 10번 교향곡을 발표한다. 이 곡은 스탈린이 사망한 직후에 쓰여진 작품이었기 때문에 전 세계의 관심을 받았다.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이 곡을 "확대 된 타악기군을 포함하는 오케스트라"의 표준에 가까운 4악장의 교향곡이라고 설명하였다.

그의 13번 교향곡과 14번 교향곡에는 성악 부분이 들어가 있다.

쇼스타코비치가 마지막으로 쓴 교향곡은 1971년의 15번 교향곡이다. 15번 교향곡은 순수 기악 교향곡이다.

쇼스타코비치는 교향곡 뿐만 아니라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오페라, 성악곡에 걸쳐 많은 작품을 썼다. 관현악곡은 모음곡, 서곡, 교향시가 대부분이다. 특히 모음곡에서는 발레 음악을 모은 발레 모음곡이 대표적이다. 또한 쇼스타코비치는 민족 음악에도 관심을 가져 러시아와 기르기스 민요 서곡 op.115같은 민속적 선율로 곡을 쓰기도 하였다. <10월 혁명>이라는 교향시 op.131는 1967년에 있었던 10월 혁명 50주년을 기념하여 작곡된 작품이다.

협주곡은 피아노, 바이올린, 그리고 첼로 협주곡이 대표적이다.

쇼스타코비치의 오페라는 미완성 작품까지 모두 3개이다. 그 중 코(The Nose) Op.15와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Op.29이 대표적이다. 코는 고골리의 동명소설을 러시아로 번역한 것으로, G. 이오닌, A. 플라이스, J.자미야틴과 쇼스타코비치가 함께 공동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잃어버린 코를 찾아 원래 있던 자리에 붙인다는 내용의 원작을 모방하여 코믹적인 요소를 없앤 중후하고 무거운 음악이 오페라 전체에 흐른다.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1930년~1932년에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러시아어로 번역한 A. 플레이스와 쇼스타코비치의 공동 작품 <므첸스크의 백베스 부인>의 대본이 거의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 작품은 굉장히 규모가 큰 대작으로, 러시아 오페라의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즉, 이 작품은 부정적인 일들을 고발하고, 풍자하며, 극적이고, 서정적이면서 인물에 대한 심리 묘사, 성격 묘사에 대한 음악이 어우러진다. 이 작품은 1934년 초연 된 이후, <프라우다>지에서 ‘음악이 아니라 시끄러운 소리들일 뿐’이라는 비판을 받은 후, 상연이 금지되었다. 1979년에 원곡이 부활, 상연되었다.

Dmitri Shostakovich의 다른 상품

Dorothee Mields  ‘구원’ - 바흐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들 (Bach/Shostakovich: Salvation)

Dorothee Mields ‘구원’ - 바흐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들 (Bach/Shostakovich: Salvation)

16,900 (19%)

'Dorothee Mields ‘구원’ - 바흐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들 (Bach/Shostakovich: Salvation)' 상세페이지 이동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21,300 (19%)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상세페이지 이동

Anna Vinnitskaya 피아노 무곡 - 라벨, 쇼스타코비치, 비트만 (Piano Dances)

Anna Vinnitskaya 피아노 무곡 - 라벨, 쇼스타코비치, 비트만 (Piano Dances)

19,900 (19%)

'Anna Vinnitskaya 피아노 무곡 - 라벨, 쇼스타코비치, 비트만 (Piano Dances)' 상세페이지 이동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20,500 (19%)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상세페이지 이동

Bernard Haitink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8번 (Shostakovich: Symphony No. 8)

Bernard Haitink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8번 (Shostakovich: Symphony No. 8)

20,800 (19%)

'Bernard Haitink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8번 (Shostakovich: Symphony No. 8)' 상세페이지 이동

Quatuor Danel 쇼스타코비치: 현악 사중주 전곡 (Shostakovich: The Complete String Quartets)

Quatuor Danel 쇼스타코비치: 현악 사중주 전곡 (Shostakovich: The Complete String Quartets)

100,100 (19%)

'Quatuor Danel 쇼스타코비치: 현악 사중주 전곡 (Shostakovich: The Complete String Quartets)' 상세페이지 이동

Hisayoshi Inoue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 쇼스타코비치: 러시아와 키르기즈 주제에 의한 서곡 (Tchaikovsky: Symphony No.4 / Shostakovich: Overture On Russian and Kirghiz Folk Themes)

Hisayoshi Inoue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 쇼스타코비치: 러시아와 키르기즈 주제에 의한 서곡 (Tchaikovsky: Symphony No.4 / Shostakovich: Overture On Russian and Kirghiz Folk Themes)

21,300 (19%)

'Hisayoshi Inoue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 쇼스타코비치: 러시아와 키르기즈 주제에 의한 서곡 (Tchaikovsky: Symphony No.4 / Shostakovich: Overture On Russian and Kirghiz Folk Themes)' 상세페이지 이동

Vladimir Fedoseyev 쇼스타코비치: '카테리나 이즈마일로바' 교향곡 (Shostakovich: Katerina Ismailowa)

Vladimir Fedoseyev 쇼스타코비치: '카테리나 이즈마일로바' 교향곡 (Shostakovich: Katerina Ismailowa)

18,100 (19%)

'Vladimir Fedoseyev 쇼스타코비치: '카테리나 이즈마일로바' 교향곡 (Shostakovich: Katerina Ismailowa)'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Robert Schumann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Robert Schumann
관심작가 알림신청
로베르트 슈만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1810년에 독일 작센 주의 츠비카우 시에서 태어났다. 출판업을 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책을 가까이 했고, 음악 못지않게 문학에도 심취했다. 음악가가 되고 싶었던 슈만의 바람과는 달리 그의 부모는 이를 탐탁지 않게 여겼고, 슈만은 이후 급작스러운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1828년에 법학을 공부하기 위해 라이프치히 대학에 입학한다. 하지만 음악에 대한 마음을 버리지 못하고 피아노 공부를 이어가던 중 유명 피아노 교수 프리드리히 비크를 만나 그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는다. 그렇게 슈만은 열정적으로 음악에 빠져들었으나 혹독한 연습으로 손가락을 다쳐 결국 피아니스트의 꿈을 포기해야 했다.

이를 계기로 슈만은 작곡과 음악 평론의 길로 들어서는데, 어린 시절의 독서가 큰 자양분이 되었다. 1834년 동료들과 함께 음악 잡지인 <음악신보Neue Zeitschrift fur Musik>를 만들고, 10년간 편집장 역할을 하며 글을 썼다. 슈만은 이 잡지를 통해 베를리오즈, 쇼팽 등 무명의 뛰어난 음악가들을 소개하고 슈베르트, 멘델스존 등 작곡가들의 잘 알려지지 않은 훌륭한 작품을 알리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이 책에 실린 슈만의 조언들은 그의 피아노 작품집 〈어린이를 위한 앨범Album fur die Jugend〉과 함께 발표하려고 쓴 것인데, Musikalische Haus-und Lebensregeln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 어린이와 젊은 음악가들을 향한 슈만의 특별한 애정을 느낄 수 있으며, 150여 년이 지난 오늘에도 큰 울림을 준다.

1840년 클라라 비이크와 결혼하였다. 그 후 수많은 가곡을 작곡하고 멘델스존의 라이프니츠 음악원에서 강사, 드레스덴 합창단의 지휘자가 되어 활약하였다. 그 뒤 정신 이상으로 라인 강에 투신 자살을 기도했다가 구조되었으나 2년 후 1856년, 46세에 현재 본으로 편입된 엔데니히의 병원에서 생을 마감했다.

가장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곡가라고 평가받는다. 시적이며 철학적인 그의 음악은 아주 낭만적이다. 그의 초기 음악에서 형식적인 고전주의의 틀을 깨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근대적 피아노 기술을 개척하고 개성 있는 피아노 소곡과 가곡을 남겼으며, 가곡에서는 가곡 못지 않게 피아노 반주부에 중요한 표현을 준 점이 획기적이다. 그의 아내인 클라라 슈만은 우수한 피아니스트로서 그의 좋은 협력자였다. 그의 작품으로는 <사육제>, <어린이 정경> 등의 피아노 곡과 <시인의 사랑>, <여인의 사랑과 생애> 등의 가곡집, 합창곡 <유랑의 무리>가 유명하고, 그 밖에 관현악곡·실내악곡·기악곡도 많다.

Robert Schumann의 다른 상품

Varduhi Yeritsyan 슈만: 아베크 변주곡, 나비, 카니발 (Papillons - Schumann, Massenet, Grieg)

Varduhi Yeritsyan 슈만: 아베크 변주곡, 나비, 카니발 (Papillons - Schumann, Massenet, Grieg)

21,500 (19%)

'Varduhi Yeritsyan 슈만: 아베크 변주곡, 나비, 카니발 (Papillons - Schumann, Massenet, Grieg)' 상세페이지 이동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21,300 (19%)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상세페이지 이동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21,300 (19%)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상세페이지 이동

양성원 - 에코 오브 로망스: 슈만 & 브람스 (Echoes of  Romance:  Schumann& Brahms)

양성원 - 에코 오브 로망스: 슈만 & 브람스 (Echoes of Romance: Schumann& Brahms)

20,000 (19%)

'양성원 - 에코 오브 로망스: 슈만 & 브람스 (Echoes of Romance: Schumann& Brahms)' 상세페이지 이동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116,400 (19%)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상세페이지 이동

Gerhard Oppitz 슈만: '다비드 동맹 춤곡', 피아노 소나타 3번 F단조, '아라베스크' op.18, '빈 사육제의 어릿광대' 외 (Schumann: Piano Works)

Gerhard Oppitz 슈만: '다비드 동맹 춤곡', 피아노 소나타 3번 F단조, '아라베스크' op.18, '빈 사육제의 어릿광대' 외 (Schumann: Piano Works)

18,100 (19%)

'Gerhard Oppitz 슈만: '다비드 동맹 춤곡', 피아노 소나타 3번 F단조, '아라베스크' op.18, '빈 사육제의 어릿광대' 외 (Schumann: Piano Works)' 상세페이지 이동

Florian Uhlig 슈만: 피아노 작품 전집 (Schumann: Complete Works for Piano)

Florian Uhlig 슈만: 피아노 작품 전집 (Schumann: Complete Works for Piano)

72,500 (19%)

'Florian Uhlig 슈만: 피아노 작품 전집 (Schumann: Complete Works for Piano) ' 상세페이지 이동

Adam Laloum / Quatuor Hanson 슈만: 현악 사중주, 피아노 오중주 (Schumann: String Quartets, Piano Quintet)

Adam Laloum / Quatuor Hanson 슈만: 현악 사중주, 피아노 오중주 (Schumann: String Quartets, Piano Quintet)

32,800 (19%)

'Adam Laloum / Quatuor Hanson 슈만: 현악 사중주, 피아노 오중주 (Schumann: String Quartets, Piano Quintet)'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Johannes Brahms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Johannes Brahms
관심작가 알림신청
요하네스 브람스
요하네스 브람스(독일어: Johannes Brahms, 문화어: 요한네스 브람스, 1833년 5월 7일 ~ 1897년 4월 3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첼리스트,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이다. 함부르크 출생으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주로 음악가 생활을 했으며, 당대 낭만주의 음악의 선도적 존재였다. 일생동안 그는 높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졌으며, 19세기 지휘자 한스 폰 뷜로에 따르면 그를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더불어 "3B"로 칭하기도 했다고 한다.

브람스는 여러 피아노곡, 실내악, 교향악, 성악, 합창곡을 작곡했다. 피아니스트로서 그는 여러 자신의 작품을 초연했으며, 비르투오조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과 함께 당대의 뛰어난 연주자였다. 브람스의 여러 작품은 현대 음악회에서도 자주 연주되는 레퍼토리이다. 완고한 완벽주의자였던 그는 수많은 자신의 작품을 없애거나 출판하지 않기도 했다.

브람스는 전통주의자이자 혁신자였다. 구조나 작곡 기법면에서 그는 바로크와 고전파 음악에 굳게 뿌리를 두고 있었다. 그는 대위법의 대가였다. 이런 구조와 함께 그는 화성과 음색에 대한 대담하고도 새로운 시도로 당대 조성 음악의 개념을 바꾸어놓았다. 그의 업적과 기예는 아르놀트 쇤베르크에서 에드워드 엘가에 이르기까지 후대 여러 음악가들의 찬탄의 대상이었다. 브람스의 작품은 결국 조성을 버리게 되는 아르놀트 쇤베르크 등 한 세대의 음악가군의 시작점이자 영감의 원천이었다.

브람스의 작품은 독일 낭만파 중에서 비교적 보수적인 경향을 갖고 있다. 그의 작품은 고전파적인 양식 위에 서서, 중후하고 북독일적인 맛을 지니며, 또한 아름다운 서정성도 갖고 있다. 그가 작곡한 4개의 교향곡은 어느 것 하나 빠짐없이 걸작으로 그 중에서 교향곡 1번은 베토벤의 제9에 이어지는 제10교향곡이라고 할 만큼 베토벤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동시에 자신의 독자적인 세계를 쌓아올린 뛰어난 작품이다. 바이올린 협주곡도 놀랄 만한 완성도에서 베토벤의 곡 다음에 놓일 만한 가치가 있다. 피아노 음악에서도 피아니스틱한 화려한 기교를 배격하고 중후한 작품을 작곡하였다. 두 개의 피아노 협주곡은, 피아노가 관현악과 밀접히 결합되어 있는 데에 특색이 있다. 독주곡에서는 <파가니니 변주곡>(1863), <헨델 변주곡> 등이 뛰어났고, 연탄용(連彈用)인 <헝가리 무곡>은 특히 유명하다. 실내악에도 특필할 만한 작품이 많은데, <클라리넷 5중주곡>이 많이 연주되고 있다. <대학 축전 서곡>, <비극적 서곡>도 많이 알려져 있다. 그는 성악곡을 작곡하는데 있어서도 뛰어난 수완을 보였다. 200여 곡의 가곡과, 중후하고 교묘한 화성은 다소 가까이하기 어렵지만, <알토 랩소디> 등 깊은 슬픔을 담은 명작이 많다. 그리고 마지막엔 심각한 종교적인 작품 <독일 레퀴엠>(1866-1869)을 들 수 있다. 그의 암담하고 우울한 깊이가, 여기에서는 다듬어진 아름다움 속에 정화(淨化)되고, 모든 사람을 감명시키는 숭고함에 이르고 있다.

요하네스 브람스는 세레나데, 교향곡 네 곡, 피아노 협주곡 두 곡, 바이올린 협주곡 한 곡, 바이올린과 첼로 이중 협주곡 한 곡, 관현악 서곡(대학축전 서곡, 비극적 서곡) 등 수많은 관현악 작품을 남겼다.

그의 합창 대작 독일 레퀴엠은 전례상의 장송 미사(Missa pro defunctis)의 내용이 아니라 브람스가 루터 성서에서 고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그의 일생에서 세 번에 걸쳐 작곡되었다. 2악장의 초기 판본은 로베르트 슈만이 자살한 지 얼마 안된 1854년에 작곡한 것으로, 나중에 피아노 협주곡 1번에 쓰였다. 레퀴엠의 대부분은 1865년 어머니가 죽은 뒤에 작곡하였다. 5악장은 1868년 공식 초연 이후에 덧붙인 것으로, 작품은 1869년에 출판하였다.

브람스의 변주곡 작품으로는 슈만 주제에 의한 변주곡, 헨델 주제에 따른 변주곡과 푸가, 파가니니 변주곡(둘 다 피아노 독주), 그리고 하이든 주제에 따른 변주곡(피아노 연탄곡과 관현악용 두 판본)이 있다. 교향곡 4번의 마지막 악장은 형식적으로 파사칼리아이다.

그의 실내악곡으로는 현악 4중주 세 곡, 현악 5중주 두 곡, 현악 6중주 두 곡, 클라리넷 5중주, 클라리넷 3중주, 호른 3중주, 피아노 5중주, 피아노 4중주 세 곡, 피아노 3중주 네 곡(4번은 작품번호가 없다)이 있다. 그는 피아노가 반주하는 독주 소나타도 많이 썼는데, 바이올린 소나타 세 곡, 첼로 소나타 두 곡, 클라리넷 소나타 두 곡(이 두곡은 본인이 비올라 소나타로 편곡하였다)이 있다. 또 피아노 독주곡으로는 초기의 피아노 소나타와 발라드에서 나중의 소품 모음집 등 다양하다. 브람스는 가곡(Lied)에서도 중요한 작곡가로서 200곡이 넘는 가곡을 썼다. 그가 죽기 직전에 쓴 오르간 합창 전주곡(chorale preludes) Op.122는 오르간 주자의 중요한 연주곡목이기도 하다.

브람스는 음악에서 특정한 묘사나 이야기를 배제하는 절대 음악의 신봉자였으며, 오페라와 교향시를 전혀 쓰지 않았다.

브람스는 흔히 크고 복잡한 음악 구성을 보이는 진지한 음악가란 평을 받고 있지만, 브람스 생전에 유명해져 상업적으로 성공한 일부 작품 중에는 대중의 기호에 맞게 당대의 번성하던 음악 시장에 적합한 곡도 있다. 20세기 미국의 영향력 있는 비평가 B.H. 하긴은 브람스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를 거부하고 자신의 여러 녹음 음악 안내서에서 브람스는 그러한 작품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규모가 더 크고 진지한 음악에서는 그에 미치지 못했다고 주장하였다. 브람스가 쓴 이런 류의 가벼운 곡으로는 춤곡집(헝가리 춤곡 왈츠 Op.39 피아노 연탄곡, 성악 4중창과 피아노의 "사랑의 노래 왈츠"(Liebeslieder Waltzes)), 몇몇 성악 작품("자장가Wiegenlied" Op.49 4번이 유명하다. 1868년 출판.) 등이 있다. 브람스의 '자장가'는 친구 베르타 파버의 아들이 태어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썼다.

브람스는 자신의 작품에 고전파의 형식과 질서를 담아내어 당대 여러 화려한 음악과 대조된다. 그리하여 브람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들은 신독일 악파의 표제 음악과 대비하여 그를 전통 형식과 "순수 음악"의 대가로 보았다.

브람스는 베토벤을 숭상하였다. 그의 집에는 베토벤의 대리석 흉상이 그가 작곡하던 곳을 내려다보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서 일부 악절에서는 베토벤의 양식을 떠올리게 하기도 한다. 브람스 교향곡 1번의 4악장 주요 주제는 베토벤 교향곡 9번의 피날레 주제와 닮았으며, 브람스 본인도 그러한 유사성에 대해 아무리 멍청이(jeder Esel)라도 이 점을 알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독일 레퀴엠은 어느 정도는 1865년 어머니의 죽음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한편으로 1854년에 작곡을 시작하다가 슈만이 자살을 시도한 뒤 포기한 어느 교향곡 초고에서 내용을 가져온 것이기도 하다. 그는 한때 "슈만의" 레퀴엠을 쓰기도 하였다. 그가 포기한 이 교향곡 작품의 첫 악장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의 첫 악장으로 쓰였다.

브람스는 고전파 작곡가인 모차르트와 하이든도 좋아하였다. 그는 이들 작품의 친필 악보나 첫 판을 수집하였으며, 편집하기도 하였다. 또 브람스는 조반니 가브리엘리, 요한 아돌프 하세, 하인리히 쉬츠 그리고 특히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등 고전파 이전 작곡가의 음악도 연구하였다. 그의 친구로 탁월한 음악학자들도 있었는데, 프리드리히 크리산더와 함께 브람스는 프랑수아 쿠프랭의 작품 판본을 편집하기도 하였다. 그는 엄격한 대위법 기술에서 영감을 얻기 위해 옛 음악을 검토하였는데, 그의 작품 가운데 일부 주제는 바로크 음악에서 본뜬 것도 있다. 가령 브람스 첼로 소나타 1번의 푸가로 된 피날레는 바흐 작품 푸가의 기법을 참조하였으며, 브람스 교향곡 4번 4악장의 파사칼리아는 바흐의 칸타타 150번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젊은 브람스를 격려해준 슈만 등 초기 낭만파 음악가들도 브람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브람스는 로베르트 슈만과 클라라 슈만과 종종 만나기도 하였다. 1862~63년 빈에 체제할 적에 브람스는 특히 프란츠 슈베르트의 음악에 관심을 기울였다. 슈베르트의 영향은 이 시기 브람스의 작품인 피아노 4중주 Op.25와 Op.26, 그리고 슈베르트 현악 5중주와 대 2중주가 암시된 피아노 5중주에서 드러난다. 혹자는 브람스의 작품에서 쇼팽과 멘델스존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여기기도 하지만, 이들이 브람스에 영향을 주었다는증거는 거의 없다. (가령 브람스의 스케르초 Op.4는 쇼팽 스케르초 B-flat단조, 그리고 브람스 피아노 소나타 3번 F단조 Op.5는 멘델스존 피아노 3중주 C단조를 암시한다는 식이다.)

베토벤처럼 브람스도 자연을 좋아하여, 자주 빈 근처의 숲에서 산책을 했다고 한다. 그는 주머니에 사탕을 넣어둬 아이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성인 브람스는 종종 무뚝뚝하거나 냉소적이었고, 때론 다른 사람들을 멀리하기도 했다. 그의 제자 구스타프 예너는 "브람스가 불평쟁이 평판을 듣는데는 이유가 있다. 또 그를 매력적으로 보는 사람도 거의 없다." 그는 빈의 그가 좋아하는 "붉은 고슴도치" 술집에 날마다 드나드는 것처럼 빈의 언론이 보도한 예상할만한 습관이 있었다. 그래서 언론에서는 그가 등짐을 지고 걷는 모습을 그가 붉은 고슴도치 술집으로 걸어가는 캐리커처로 묘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친구로 남은 사람들은 그에게 충실했으며, 브람스도 이들에게 성실하고 관대하게 대했다.

브람스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와 매우 다른 유형의 작곡가였지만, 그와 평생지기였다. 그는 1897년 죽음을 앞두고 빈의 빈 극장에서 초연하는 슈트라우스의 오페레타 이성의 여신(Die Gottin der Vernunft)에 가려고 하기도 했다. 아마 브람스가 슈트라우스에게 준 가장 큰 선물은 슈트라우스의 푸른 도나우 왈츠를 쓰는데 무언가 도움을 주겠다고 쓴 글일 것이다. 브람스가 슈트라우스와 안면을 트게 되었을 때, 슈트라우스의 아내 아델레(Adele)가 브람스에게 팬이라며 사인을 부탁하자, 브람스는 "푸른 도나우" 왈츠의 음표 몇 개를 쓰고는, "슬프게도 (이건) 브람스의 작품이 아니다!"라고 썼다.

1860년대부터 그의 작품은 널리 팔려, 브람스는 재정적으로 크게 성공하게 된다. 그러나 그는 방 셋짜리 아파트에 하녀 한 명을 두며 검소한 생활을 좋아했다. 그는 친척들에게 많은 돈을 썼으며, 젊은 음악가들에게 이름을 숨기고 도와주기도 했다.

그는 극단적인 완벽주의자였다. 그는 자신의 레메니나 바이올리니스트 페르디난트 다비트가 연주한 바 있는 바이올린 소나타 등 여러 초기의 작품들을 없애버렸으며, 1873년 첫 공식 현악4중주곡이 나오기 전에 20곡의 현악4중주곡을 없앴다고 이야기한 적도 있다. 수 년 동안 곡을 고친 끝에 그는 당초 D단조 교향곡으로 쓸 곡을 자신의 첫 피아노 협주곡으로 바꾸기도 했다. 그의 세밀함을 보여주는 다른 예로는 그의 교향곡 제1번인데, 이 곡은 약 1861년부터 1876년까지 거의 15년이 걸려서 쓴 곡이다. 이 곡을 몇번 연주한 뒤 브람스는 악보가 출판되기 전에 원래의 느린 악장을 없애고 새로 악장을 썼다.(원래의 느린 악장을 추측하여 복원한 판본을 로버트 파스칼이 출판한 바 있다) 브람스가 완벽주의자가 된 한 가지 이유로는 초기에 슈만이 그를 이르러 베토벤에 버금갈 음악가로 평가한 것 때문이기도 한데, 이 예언으로 브람스는 베토벤을 따라 잡을 수 있도록 매진하게 되었다. 슈만의 예언에 브람스는 거의 자신감을 얻지 못했으며, 아마 이 때문에 첫 교향곡 완성을 늦춘 것 같다. 그러나 클라라 슈만은 그 전부터 교향곡 1번이 그의 진짜 성격을 반영한 것이 아님을 알아차렸다. 클라라는 초고에서 본 어둡고 맹렬한 1악장에 매료되었기 때문에, 활기찬 마지막 악장이 "너무 화려하다"고 느꼈다. 그러나 클라라 슈만은 교향곡 2번을 인정하여 자신의 생각을 거두었는데, 이 작품은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으며, 브람스의 밝은 작품이다. 하지만 당대의 다른 사람들은 1악장이 특히 어둡다고 생각했는데, 교향곡 2번을 19세기의 우수(melancholia) 감정과 연관지어 연구했던 라인홀트 브링크만가 출판한, 브람스가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빈첸츠 라히너(Vinzenz Lachner)에 보낸 편지에서 브람스는 자신의 성격에 우울한 면이 있으며, 1악장에서 그런 성격이 반영되었다고 쓴 바 있다.

Johannes Brahms의 다른 상품

Gringolts Quartet 브람스: 현악 오중주 1번, 2번 (Brahms: String Quintet Op. 88, Op. 111)

Gringolts Quartet 브람스: 현악 오중주 1번, 2번 (Brahms: String Quintet Op. 88, Op. 111)

19,500 (19%)

'Gringolts Quartet 브람스: 현악 오중주 1번, 2번 (Brahms: String Quintet Op. 88, Op. 111)' 상세페이지 이동

양성원 - 에코 오브 로망스: 슈만 & 브람스 (Echoes of  Romance:  Schumann& Brahms)

양성원 - 에코 오브 로망스: 슈만 & 브람스 (Echoes of Romance: Schumann& Brahms)

20,000 (19%)

'양성원 - 에코 오브 로망스: 슈만 & 브람스 (Echoes of Romance: Schumann& Brahms)' 상세페이지 이동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116,400 (19%)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상세페이지 이동

Joseph Szigeti 바흐: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3번/본 윌리엄스: 바이올린 소나타 (Szigeti Plays Bach, Brahms & Vaughan Williams)

Joseph Szigeti 바흐: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3번/본 윌리엄스: 바이올린 소나타 (Szigeti Plays Bach, Brahms & Vaughan Williams)

19,500 (19%)

'Joseph Szigeti 바흐: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3번/본 윌리엄스: 바이올린 소나타 (Szigeti Plays Bach, Brahms & Vaughan Williams)' 상세페이지 이동

Kieran Carrel / Alina Wunderlin 브람스: 가곡 5집 (Brahms: Complete Songs, Vol. 5)

Kieran Carrel / Alina Wunderlin 브람스: 가곡 5집 (Brahms: Complete Songs, Vol. 5)

16,900 (19%)

'Kieran Carrel / Alina Wunderlin 브람스: 가곡 5집 (Brahms: Complete Songs, Vol. 5)' 상세페이지 이동

Christian Poltera / Ronald Brautigam 브람스: 첼로 소나타 1-2번 (Brahms: Cello Sonatas)

Christian Poltera / Ronald Brautigam 브람스: 첼로 소나타 1-2번 (Brahms: Cello Sonatas)

19,500 (19%)

'Christian Poltera / Ronald Brautigam 브람스: 첼로 소나타 1-2번 (Brahms: Cello Sonatas)' 상세페이지 이동

Johannes Leertouwer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Brahms: The Complete Sonatas for Piano and Violin)

Johannes Leertouwer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Brahms: The Complete Sonatas for Piano and Violin)

22,400 (19%)

'Johannes Leertouwer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Brahms: The Complete Sonatas for Piano and Violin)' 상세페이지 이동

Henryk Szeryng 헨리크 셰링 미공개 실황 녹음집 (Rediscovered - Live Recordings)

Henryk Szeryng 헨리크 셰링 미공개 실황 녹음집 (Rediscovered - Live Recordings)

32,600 (19%)

'Henryk Szeryng 헨리크 셰링 미공개 실황 녹음집 (Rediscovered - Live Recordings)'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Franz Schubert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Franz Schubert
관심작가 알림신청
프란츠 슈베르트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독일어: Franz Peter Schubert, 1797년 1월 31일 ~ 1828년 11월 19일)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다. 음악의 최고봉 중 한 사람이다. 관현악곡·교회 음악·실내악·피아노곡 등 명작이 많은데, 특히 리트(독일 가곡)에 뛰어난 작품이 많으며, 19세기 독일 리트 형식의 창시자이다. 여러 가지 의문점을 남긴 채 31세로 병사한 그는 가난과 타고난 병약함 등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600여 편의 가곡, 13편의 교향곡, 소나타, 오페라 등을 작곡했으며, 가곡의 왕이라고 불린다.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의 교외 리히텐탈에서 독일의 슐레지엔의 자작농 출신이자 초등학교 교장인 아버지와 요리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음악을 좋아하는 아버지는 음악에 재능이 있는 슈베르트에게 5살부터 악기교육을 시켰고, 1년 뒤 그의 아버지의 학교에 입학한 슈베르트는 그때부터 공식적인 음악 교육을 받기 시작했는데, 그의 아버지는 슈베르트에게 바이올린의 기초를 가르쳤으며, 그의 형 이그나츠는 슈베르트에게 피아노 교습을 시켰다. 7살부터 지역 교회의 합창단장인 미하엘 홀처로부터 교습을 받았다. 또한 가족 현악 4중주에서 형 이그나츠와 페르디난트는 바이올린을, 아버지는 첼로를, 자신은 비올라를 맡아 연주하기도 하였다. 슈베르트는 어려서부터 음악에 대한 재능이 뛰어났으나 아버지가 음악을 가르친 이유는 단순히 취미였을 뿐, 슈베르트를 음악인으로 키우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나중에 어른이 된 슈베르트는 교사가 되길 바라는 아버지와 진로문제로 갈등을 겪게 되었다. 1804년 슈베르트는 살리에리의 지도를 받았으며 그 재능을 인정받기도 하였다. 1808년에는 궁정신학원에 장학생으로 입학하고 그곳에서 모차르트의 서곡이나 교향곡을 접하게 되었는데 그는 특히 모차르트를 좋아하고 베토벤을 존경하였다. 13세 때 변성기로 인해 궁정학교 수업을 그만두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군복무를 일정기간의 교사근무로 대신하는 대체복무제를 허용하고 있었으므로 아버지의 뜻에 따라 1814년부터 아버지가 근무하는 초등학교에서 조교사로 일했다. 이때부터 작곡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 해에 바 장조의 미사곡(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장례미사에 사용하는 음악)을 작곡하였는데, 이 곡의 독창을 부른 테레제 그로브는 슈베르트의 첫번째 애인이었다. 하지만 둘 사이의 사랑은 내성적인 성격 때문에 결실을 보지 못하고, 테레제는 다른 남자와 결혼을 하였다.

1815년 18세 때에 그의 재능을 아는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수백 곡의 가곡을 썼으며, 괴테의 시에 곡을 붙인 《마왕》, 《휴식 없는 사랑》, 《들장미》 등의 명작도 이 해에 작곡되었다. 그가 지은 가곡 중 일부는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책으로 편집되었다. 1816년 슈파운이 소개한 시인 친구 프란츠 폰 쇼버의 권유로 친구 집에 머물며 작곡에 몰두하였다. 이때부터 그의 방랑생활이 시작되며, 죽는 날까지 그를 괴롭힌 매독 또한 이 시기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1817년 당시 최고의 성악가이자 25세 연상인 요한 미하엘 포글을 만났다. 1818년에는 가곡 《죽음과 소녀》, 《송어》를 작곡하였으며 에스테르하지 공작 집안의 두 딸의 가정교사가 되어 한여름을 첼리즈에서 보냈다. 이듬해에 포글과 함께 북오스트리아 각지로 연주 여행을 하였는데, 그의 음악이 포글에 의해 처음으로 공개 연주되어 호평을 받았다. 이 좋은 벗의 도움으로 그의 명성은 차츰 높아지고, 오스트리아에 있는 그의 친구들을 중심으로 Schubertiads 라는 모임이 결성되었다. 1819년 라이바흐 사범학교의 교사가 되려고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부친의 학교에 머물면서 많은 작품을 작곡하였다. 가곡 《방랑자》나 《교향곡 제5번》 등이 이때의 작품이다. 1823년에는 《방랑자의 환상곡》, 《로자문데》 등을 발표했고 그 해 여름, 친구의 집에서 읽은 뮐러의 시에 감동하여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처녀》를 작곡하였다. 1824년, 다시 에스테르하지 가의 음악 교사가 되어 전원 생활을 즐기며 《현악 4중주곡》을 작곡하였다. 이듬해 다시 포글과 서부 오스트리아로 여행하였는데, 이때 《아베 마리아》를 작곡하였다. 1827년 30세가 되자 자신의 인생이 겨울을 맞았음을 아는 듯 《겨울 여행》을 작곡하였다. 1828년 3월 자작 연주회를 열어 성공을 거둔 뒤 교향곡 9번인 《대교향곡》을 완성하였으며, 그가 죽은 뒤 출판된 《백조의 노래》에 수록된 가곡의 대부분이 그 해 8월에 완성되었다.

슈베르트는 한때 베토벤과 만난 적이 있었다. 평소에 베토벤을 존경해왔던 슈베르트는 그를 만나고자 했지만 자신의 소심한 성격 탓에 쉽사리 만날 용기를 가지지 못했다. 게다가 베토벤의 청력상실을 비롯한 합병증으로 만난다 하더라도 제대로 된 대화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만날 기회를 더더욱 가지지 못했다. 그러다 지인들의 권유로 슈베르트가 용기를 내어 1827년 3월 19일, 베토벤 집에 방문하여 만나게 되었다. 놀라운 것은 이렇게 어렵게 만난 두 사람이 불과 2 km 정도 떨어진 곳에 살고 있었다는 것이다. 슈베르트는 베토벤에게 인사하는 한편 자신이 작곡한 악보를 보여준다. 베토벤은 슈베르트로부터 받은 그의 악보를 보고 감탄을 금치 못했으며 이렇게 늦게 만난 것에 대해 후회를 했고 슈베르트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네를 조금만 더 일찍 만났으면 좋았을 것을… 내 명은 이제 다 되었네. 슈베르트, 자네는 분명 세상에 빛낼 수 있는 훌륭한 음악가가 될 것이네. 그러니 부디 용기를 잃지 말게…"

이러한 베토벤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합병증으로 인해 힘이 들어 보였고 말할 때마다 계속되는 기침으로 슈베르트는 자신이 말하는 것보다 듣는 것이 더 괴로울 지경이었다. 그 후 베토벤은 청력상실로 듣지 못하는 탓에 슈베르트에게 자신에게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적으라고 했지만 슈베르트는 자신이 존경하는 음악가의 병이 든 처참한 모습을 보고 소심한 성격때문에 일찍 만나지 못한 자괴감과 후회감에 빠져 괴로운 나머지 인사말도 없이 그대로 방을 뛰쳐나가고 말았다. 베토벤이 죽기 일주일 전의 일이었고 이것이 처음이자 마지막 만남이었다. 그러나 슈베르트는 1주일 뒤인 3월 26일, 베토벤이 죽자 그의 장례에 참여하였다.

베토벤이 세상을 떠난 1년 뒤인 1828년, 그는 자신이 대위법이 부족한 것을 스스로 깨닫고 다시 공부하다가(키즐러에게) 11월 17일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을 얻어 몸져 누웠다. 그의 병세는 날로 악화되어 기억력이 감퇴하여 술에 취한 사람처럼 몸을 비틀거리는데다 허깨비가 보이며 혼잣말을 하는 등 정신이상의 증세를 보이다가 이틀 뒤인 11월 19일에 31세의 젊은 나이로 빈에서 요절하고 말았다. 슈베르트의 아버지는 유해를 교회에 묻으려 했으나 당시 그를 돌보던 둘째 형 이그나츠가 평소에 존경하던 베토벤의 옆에 묻어주자고 제안을 해 빈 중앙 묘지의 베토벤 무덤 옆에 나란히 묻혔다. 슈베르트의 죽음에 대한 의문은 아직 풀리지 않았는데 식중독으로 사망했다는 설, 장티푸스로 사망했다는 설과 매독의 악화로 사망했다는 설도 있으며 현재는 매독으로 인한 사망이 신빙성을 얻고 있다.[주해 1] 별세한 해에 만들어진 최후의 가곡 14곡을 모은 것이 《백조의 노래》이다.

슈베르트는 그 짧은 일생에 수많은 가곡과 기악곡, 교향곡 등을 작곡하였으나, 그의 이름을 유명하게 한 것은 가곡이다. 690곡에 이르는 가곡들이 모두 훌륭하다는 평을 듣지만, 특히 《겨울 여행》이나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처녀》, 《백조의 노래》 등이 특히 뛰어난 작품이며, 자유로운 표현력을 지니는 멜로디의 아름다움, 그리고 화성의 미묘한 변화 등 낭만주의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교향곡에서는 제8번의 《미완성》이 특히 유명하나, 제9번 《대교향곡》의 아름다움도 잊어서는 안된다. 피아노곡에서는 《마왕》, 《방랑자 환상곡》, 《스케르초》, 《악흥(樂興)의 한때》 등이 알려져 있고, 실내악곡에도 《죽음과 소녀》나 《송어》 등 걸작이 많다. 그 밖에 오페라·음악극의 작품도 있으며, 가곡을 비롯하여 교향곡·실내악·피아노곡 등 1,200여 곡의 많은 작품을 남겼다.

Franz Schubert의 다른 상품

Can Cakmur 슈베르트: 헝가리안 멜로디, 알레그레토 / 크레네크: 피아노 소나타 2번 (Schubert + Krenek)

Can Cakmur 슈베르트: 헝가리안 멜로디, 알레그레토 / 크레네크: 피아노 소나타 2번 (Schubert + Krenek)

19,500 (19%)

'Can Cakmur 슈베르트: 헝가리안 멜로디, 알레그레토 / 크레네크: 피아노 소나타 2번 (Schubert + Krenek)' 상세페이지 이동

Apollon Musagete Quartett 슈베르트: 현악사중주 1번 9번 13번 '로자문데' (Schubert: String Quartets D.18, D.173, D.804 'Rosamunde')

Apollon Musagete Quartett 슈베르트: 현악사중주 1번 9번 13번 '로자문데' (Schubert: String Quartets D.18, D.173, D.804 'Rosamunde')

19,300 (19%)

'Apollon Musagete Quartett 슈베르트: 현악사중주 1번 9번 13번 '로자문데' (Schubert: String Quartets D.18, D.173, D.804 'Rosamunde')' 상세페이지 이동

Takacs Quartet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5번, 8번 (Schubert: String Quartets D.887, D.112)

Takacs Quartet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5번, 8번 (Schubert: String Quartets D.887, D.112)

19,500 (19%)

'Takacs Quartet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5번, 8번 (Schubert: String Quartets D.887, D.112)' 상세페이지 이동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116,400 (19%)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상세페이지 이동

Trio con Brio Copenhagen 슈베르트: 피아노 삼중주 2번/바인베르크: 피아노 삼중주 (Trio Con Brio Copenhagen: The Passenger)

Trio con Brio Copenhagen 슈베르트: 피아노 삼중주 2번/바인베르크: 피아노 삼중주 (Trio Con Brio Copenhagen: The Passenger)

19,500 (19%)

'Trio con Brio Copenhagen 슈베르트: 피아노 삼중주 2번/바인베르크: 피아노 삼중주 (Trio Con Brio Copenhagen: The Passenger)' 상세페이지 이동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20,500 (19%)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상세페이지 이동

Paul Lewis 슈베르트: 피아노 솔로 작품집 (Schubert: Piano Sonatas)

Paul Lewis 슈베르트: 피아노 솔로 작품집 (Schubert: Piano Sonatas)

49,100 (19%)

'Paul Lewis 슈베르트: 피아노 솔로 작품집 (Schubert: Piano Sonatas)' 상세페이지 이동

Giovanni Doria-Miglietta  슈베르트(리스트 편곡): ‘방랑자’ 환상곡, 가곡 모음집 외 (Schubert/Liszt: Der Wanderer, Wanderer Fantasie, Song Transcriptions)

Giovanni Doria-Miglietta 슈베르트(리스트 편곡): ‘방랑자’ 환상곡, 가곡 모음집 외 (Schubert/Liszt: Der Wanderer, Wanderer Fantasie, Song Transcriptions)

26,000 (19%)

'Giovanni Doria-Miglietta 슈베르트(리스트 편곡): ‘방랑자’ 환상곡, 가곡 모음집 외 (Schubert/Liszt: Der Wanderer, Wanderer Fantasie, Song Transcriptions)'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Antonin Dvorak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Antonin Dvorak
관심작가 알림신청
안토닌 드보르작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한 체코의 작곡가로, 관현악과 실내악에서 모국의 보헤미안적인 민속 음악적 작품성 풍색과 선율을 표현하였다.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에 의하여 확립된 체코 민족주의 음악을 세계적으로 만든 음악가이다.

드보르작은 오스트리아 제국 프라하(현재는 체코 공화국) 근처 넬라호제베스에서 태어나서, 생애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드보르작은 즈로니체에 있는 외삼촌과 리마 선생이 부친을 설득한 보람으로 1857년 16세에 프라하의 오르간학교에 입학하여 정식으로 음악가가 되는 길을 걷게 되었다. 프라하에서는 오르간 학교에서의 교육보다도 학우이며 훗날의 지휘자 칼레르 벤달과 친교를 맺고, 재학 중부터 오케스트라에 가담하여 바이올린을 켜서 수확을 올렸다. 특히 그 오케스트라가 당시 명성을 얻고 있던 바그너를 영입하고 있던 관계도 있어 드보르작은 퍽 오래도록 바그너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드보르작은 바그너식의 오페라나 음악극의 체코판을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라 바그너의 멜로디나, 특히 화성의 특징을 자기 나름대로 소화하여 받아들였다. 드보르작은 꽤 노력형이어서 학생시절부터 친척집에 기숙하면서 침식을 잊고 공부하였다.

졸업 후에는 프라하의 일류 호텔이나 레스토랑에 출연하고 있던 갈레루 코므자크 악단에 가담하여 비올라를 켜게 되었으나 1862년에 체코인을 위한 국민극장이 건설될 때까지의 임시극장이 개관되어 악단과 더불어 이 극장 전속 오케스트라의 핵심이 되어 약 10년간 근속하였다. 1866년부터 스메타나가 이 극장의 오페라 감독에 취임, 자작의 오페라 등을 지휘하게 되었으므로 바그너, 슈베르트나 베토벤의 영향과 함께 스메타나의 민족주의적인 음악사상이 그의 작품을 채색하게 되었다. 드보르작은 오케스트라 동료들로부터 작곡 같은 것을 해서 무엇하느냐고 핀잔을 받았으나 묵묵히 작곡을 하였으며 특히 1861년(20세 때)부터 실내악의 대곡(작품 1의 현악 5중주곡)을, 또 1865년부터 교향곡(제1과 제2를 이해에)을 작곡한 것은 당시의 슬라브계의 민족음악의 작곡가들이 스메타나를 비롯하여 대체로 이와 같은 순음악보다도 표제 음악이나 오페라에 끌려 있던 것과 대조적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드보르작의 이러한 순음악에 대한 열정은 죽기 약 9년 전인 1895년까지 계속된다. 후기 낭만적 음악의 화성조직이나 색채적인 오케스트라의 사용법이라든가 그러한 개개의 기법에 이끌렸어도 고전적인 음악형식을 저버리려고 하는 그 무렵의 작곡계의 일반적인 경향에는 반대였고 새로운 고전주의를 목표로 한 점에서 독일의 대작곡가 브람스의 생각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어 사실 브람스에게는 매우 총애를 받아 드보르작의 작품이 1877년 이후 베를린의 지므로크 음악출판사를 통해 출판되었고, 체코 이외의 나라에서 연주하게 된 것도 브람스의 소개로 된 것이었다.

브람스를 비롯하여 지휘자이며 피아니스트인 한스 폰 뷜로, 지휘자인 한스 리히터, 당시 빈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한 평론가 한슬리크 등 독일,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음악인 지위를 얻게 된 것도 드보르작의 명성과 작품을 세계적으로 만드는 데 큰 힘이 되었다. 독일, 오스트리아뿐만 아니라 1884년 말 영국에도 9번 방문하여 영국을 위해 <유령의 신부> 및 <교향곡 제7번 D단조>를 쓰고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드보르작은 국제인으로서 사는 것을 바라지 않고 끝까지 체코인으로 살아갔다. 빈으로 이주하도록 재삼 권유된 것을 거절한 것도 그의 신념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빈 정부에 대해 독립투쟁을 밀고 있던 동포들을 버리고 자신만 빈에서 안일하게 생활을 한다는 것은 생각도 하지 않았다.

1890년부터 프라하 음악원에서 작곡과 그 밖의 것을 가르치고 있었으나, 1892년의 51세 때 뉴욕의 국민음악원의 원장으로 초빙되었다.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 현악 4중주곡 <아메리카> 등 오늘날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드보르작의 작품이 미국에 머무르는 동안에 작곡되었다. 그러나 1894년의 여름 휴가로 귀국(이 때 피아노 독주곡, 8개의 <유모레스크>를 작곡했다. 그 중에서 7번째 곡이 바이올린으로 편곡되어 유명해지자 다시 미국으로 가기가 싫어졌지만 일단 돌아가서 결국 다음해 봄 많은 사람들이 좀 더 오래도록 미국에 머물러 있을 것을 바라는데도 불구하고 계약을 중도파기하고 귀국했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에는 슬라브풍의 음악에 흑인과 인디언의 멜로디를 조화하며 작곡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귀국 후 만년의 약 10년간은 일반 민족주의 음악의 작곡가와 같이 오페라와 교향시에 주력하여 <루살카>(1901 초연)와 같은 귀여운 오페라도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창작력이 그 정상에 달한 것은 이 이전, 특히 도미 직전인 수년간으로 추측된다. 피아노 3중주곡 <도무키>(1890-1891)가 그 좋은 한 예이듯이 종래의 독일류의 음악형식에 구속되지 않은, 슬라브인의 변화와 대조를 좋아하는 민족성에 한층 잘 맞는 새로운 형식적 질서를 낳은 것도 그 무렵이었다. 1901년엔 빈의 종신 상원의원으로 귀족이 되었고, 같은 해 프라하 음악원의 원장이 되기도 한, 독립 전의 체코의 문화인으로서는 최고의 영예를 받은 뒤 1904년 뇌일혈로 사망, 국장으로 모셔졌다.

드보르작은 이른바 귀재형의 음악가는 아니며 굳이 말하자면 평범 속에 위대성이 있는 사람이라는 평이 있다.

Antonin Dvorak의 다른 상품

Tomas Brauner 드보르작: 슬라브 춤곡(무곡) 전곡 op.46, 72 (Dvorak: Slavonic Dances op.46, 72)

Tomas Brauner 드보르작: 슬라브 춤곡(무곡) 전곡 op.46, 72 (Dvorak: Slavonic Dances op.46, 72)

19,900 (19%)

'Tomas Brauner 드보르작: 슬라브 춤곡(무곡) 전곡 op.46, 72 (Dvorak: Slavonic Dances op.46, 72)' 상세페이지 이동

Tomas Brauner 프라하를 위한 음악 - 드보르작, 오스트르칠, 스메타나, 수크 (Music for Prague - Smetana, Dvorak, Suk, Ostrcil)

Tomas Brauner 프라하를 위한 음악 - 드보르작, 오스트르칠, 스메타나, 수크 (Music for Prague - Smetana, Dvorak, Suk, Ostrcil)

19,900 (19%)

'Tomas Brauner 프라하를 위한 음악 - 드보르작, 오스트르칠, 스메타나, 수크 (Music for Prague - Smetana, Dvorak, Suk, Ostrcil)' 상세페이지 이동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21,300 (19%)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상세페이지 이동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39,000 (19%)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상세페이지 이동

Simon-Pierre Bestion 스카를라티 /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Scarlatti / Dvo?ak: Stabat Mater)

Simon-Pierre Bestion 스카를라티 /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Scarlatti / Dvo?ak: Stabat Mater)

29,900 (19%)

'Simon-Pierre Bestion 스카를라티 /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Scarlatti / Dvo?ak: Stabat Mater)' 상세페이지 이동

Ruggiero Ricci / Rudolf Firkusny 드보르작: 바이올린, 피아노 협주곡 등 (Dvorak: Violin Concerto, Piano Concerto)

Ruggiero Ricci / Rudolf Firkusny 드보르작: 바이올린, 피아노 협주곡 등 (Dvorak: Violin Concerto, Piano Concerto)

19,500 (19%)

'Ruggiero Ricci / Rudolf Firkusny 드보르작: 바이올린, 피아노 협주곡 등 (Dvorak: Violin Concerto, Piano Concerto)' 상세페이지 이동

Zara Nelsova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 자라 넬소바 (Dvorak: Cello Concerto, Silent Woods)

Zara Nelsova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 자라 넬소바 (Dvorak: Cello Concerto, Silent Woods)

19,500 (19%)

'Zara Nelsova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 자라 넬소바 (Dvorak: Cello Concerto, Silent Woods)' 상세페이지 이동

Pietari Inkinen 드보르작: 교향곡 7번, 8번 (Dvorak: Symphonies Op. 70, Op. 88)

Pietari Inkinen 드보르작: 교향곡 7번, 8번 (Dvorak: Symphonies Op. 70, Op. 88)

19,300 (19%)

'Pietari Inkinen 드보르작: 교향곡 7번, 8번 (Dvorak: Symphonies Op. 70, Op. 88)'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Sergei Prokofiev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Sergei Prokofiev
관심작가 알림신청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Sergei Sergeevich Prokofiev
1891년 러시아에서 태어났으며, 교향곡과 협주곡, 영화 음악, 오페라, 발레, 표제 음악 등 폭넓은 영역의 작품을 남겼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음악과 친숙했던 그는 5세 때부터 작곡을 시작했다. 1904년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여 음악 이론뿐만 아니라 피아노, 지휘 등을 배웠으며, 러시아 혁명을 계기로 1918년 미국에 망명하여 미국과 유럽에서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면서 피아니스트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 후 여러 차례 귀국 요청을 받은 그는 1934년 조국으로 돌아가 당국의 비판을 받으면서도 작곡을 계속해 나갔다. 1936년 당국의 문화 방침에 의하여 음악 동화『피터와 늑대』를 발표해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1948년 쇼스타코비치, 하차투리안 등과 함께 당국으로부터 서구를 따르는 형식주의자라는 비판을 받는 등 창작에 제약을 받기도 했다. 이후 병으로 인하여 고생하다가 1953년 3월 스탈린과 같은 날 모스크바에서 세상을 떠났다. 주요 작품으로 오페라 <전쟁과 평화>,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교향곡 제5번> 등이 있다.

Sergei Prokofiev의 다른 상품

Christian Poltera 프로코피에프: 협주 교향곡, 첼로 소나타 (Poltera Plays Prokofiev)

Christian Poltera 프로코피에프: 협주 교향곡, 첼로 소나타 (Poltera Plays Prokofiev)

19,500 (19%)

'Christian Poltera 프로코피에프: 협주 교향곡, 첼로 소나타 (Poltera Plays Prokofiev)' 상세페이지 이동

Aziz Shokhakimov 프로코피에프: 교향곡 1번 '고전', 로미오와 줄리엣 모음곡 (Prokofiev: Symphony No. 1)

Aziz Shokhakimov 프로코피에프: 교향곡 1번 '고전', 로미오와 줄리엣 모음곡 (Prokofiev: Symphony No. 1)

21,500 (19%)

'Aziz Shokhakimov 프로코피에프: 교향곡 1번 '고전', 로미오와 줄리엣 모음곡 (Prokofiev: Symphony No. 1)' 상세페이지 이동

Arvids Jansons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 '고전' 외 (Tchaikovsky: Symphony No. 5, The Sleeping Beauty Op. 66 & Francesca da Rimini - Prokofiev: Symphony No. 1)

Arvids Jansons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 '고전' 외 (Tchaikovsky: Symphony No. 5, The Sleeping Beauty Op. 66 & Francesca da Rimini - Prokofiev: Symphony No. 1)

29,900 (19%)

'Arvids Jansons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 '고전' 외 (Tchaikovsky: Symphony No. 5, The Sleeping Beauty Op. 66 & Francesca da Rimini - Prokofiev: Symphony No. 1)' 상세페이지 이동

Pietari Inkinen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3번, 6번 (Prokofiev: Symphonies Nos. 3 & 6)

Pietari Inkinen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3번, 6번 (Prokofiev: Symphonies Nos. 3 & 6)

19,300 (19%)

'Pietari Inkinen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3번, 6번 (Prokofiev: Symphonies Nos. 3 & 6)' 상세페이지 이동

Leonard Slatkin 프로코피에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키제 중위 모음곡 (Prokofiev: Alexander Nevsky & Lieutenant Kije Suite)

Leonard Slatkin 프로코피에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키제 중위 모음곡 (Prokofiev: Alexander Nevsky & Lieutenant Kije Suite)

19,500 (19%)

'Leonard Slatkin 프로코피에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키제 중위 모음곡 (Prokofiev: Alexander Nevsky & Lieutenant Kije Suite)' 상세페이지 이동

Behzod Abduraimov 라벨, 프로코피에프, 사이다미노바: 피아노 작품집 (Shadows of My Ancestors)

Behzod Abduraimov 라벨, 프로코피에프, 사이다미노바: 피아노 작품집 (Shadows of My Ancestors)

19,900 (19%)

'Behzod Abduraimov 라벨, 프로코피에프, 사이다미노바: 피아노 작품집 (Shadows of My Ancestors)' 상세페이지 이동

Nikita Mndoyants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소나타 4번 & 8번 / 니키타 믄도얀츠: 야상곡 (Prokofiev: Piano Sonata Nos.4 & 8 / Mndoyants: Nocturne)

Nikita Mndoyants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소나타 4번 & 8번 / 니키타 믄도얀츠: 야상곡 (Prokofiev: Piano Sonata Nos.4 & 8 / Mndoyants: Nocturne)

20,500 (19%)

'Nikita Mndoyants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소나타 4번 & 8번 / 니키타 믄도얀츠: 야상곡 (Prokofiev: Piano Sonata Nos.4 & 8 / Mndoyants: Nocturne)' 상세페이지 이동

Koen Kessels 프로코피에프: 발레 '신데렐라' (Prokofiev: Cinderella)

Koen Kessels 프로코피에프: 발레 '신데렐라' (Prokofiev: Cinderella)

39,000 (19%)

'Koen Kessels 프로코피에프: 발레 '신데렐라' (Prokofiev: Cinderella)' 상세페이지 이동

연주 : Martha Argerich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연주 : Martha Argerich
관심작가 알림신청
마르타 아르헤리치
1941년 6월 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세 살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으며, 음악을 기억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빼어나 신동 소리를 들었다. 열한 살에는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극장 테아트로 콜론에 데뷔했다. 1955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해 프리드리히 굴다의 제자가 되었고, 1957년 부조니 콩쿠르와 제네바 콩쿠르에서 모두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1960년 연주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슬럼프를 겪던 아르헤리치는 1965년 제7회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녀의 연주는 쇼팽 해석을 혁신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후 음반과 공연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가며 숱한 명반과 명연을 남겼다. 현란한 테크닉과 파워풀한 타건으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그녀는 〈BBC 매거진〉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9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그녀는 독주 무대 대신 실내악 협연 위주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오랜 친구이자 동료인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다니엘 바렌보임,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등과 협연을 이어오고 있다. 또 루가노 페스티벌, 벳푸 아르헤리치 페스티벌 등을 조직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친구들’이라는 이름의 공연을 정기적으로 열고 있다.

그녀에게는 성姓이 다른 세 딸, 1964년 중국 출신 지휘자 첸량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리다 첸, 1970년 두 번째 남편이었던 지휘자 샤를 뒤투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니 뒤투아, 1975년 연인이었던 피아니스트 스티븐 코바세비치와의 사이에서 낳은 스테파니 아르헤리치가 있다. 엄마로서 아르헤리치의 모습은 스테파니가 감독한 다큐멘터리영화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세 딸들Bloody daughter〉에 담겨 있다.

1992년 암(악성 흑색종)을 진단받은 그녀는 1997년 병이 재발했지만 회복해 완치되었다. 여든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다.

Martha Argerich의 다른 상품

Daniel Barenboim / Martha Argerich 드뷔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소나타 (Debussy: Fantasie, Violin Sonata)

Daniel Barenboim / Martha Argerich 드뷔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소나타 (Debussy: Fantasie, Violin Sonata)

46,500 (19%)

'Daniel Barenboim / Martha Argerich 드뷔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소나타 (Debussy: Fantasie, Violin Sonata) ' 상세페이지 이동

Gidon Kremer / Martha Argerich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6-8번 (Beethoven: Violin Sonatas op.30 Nr.1,2,3) [2LP]

Gidon Kremer / Martha Argerich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6-8번 (Beethoven: Violin Sonatas op.30 Nr.1,2,3) [2LP]

64,400 (19%)

'Gidon Kremer / Martha Argerich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6-8번 (Beethoven: Violin Sonatas op.30 Nr.1,2,3) [2LP]' 상세페이지 이동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23,000 (19%)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상세페이지 이동

전설이 된 피아니스트들 (Legendary Pianists)

전설이 된 피아니스트들 (Legendary Pianists)

91,000 (19%)

'전설이 된 피아니스트들 (Legendary Pianists)' 상세페이지 이동

Sergio Tiempo 세르지오 티엠포 피아노 연주집 (Hommage)

Sergio Tiempo 세르지오 티엠포 피아노 연주집 (Hommage)

19,900 (19%)

'Sergio Tiempo 세르지오 티엠포 피아노 연주집 (Hommage)' 상세페이지 이동

Claudio Abbado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로미오와 줄리엣, 1812년 서곡 (Tchaikovsky: Concerto No. 1, 1812 Overture)

Claudio Abbado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로미오와 줄리엣, 1812년 서곡 (Tchaikovsky: Concerto No. 1, 1812 Overture)

104,000 (19%)

'Claudio Abbado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로미오와 줄리엣, 1812년 서곡 (Tchaikovsky: Concerto No. 1, 1812 Overture)' 상세페이지 이동

Martha Argerich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2번 (Beethoven: Piano Concertos Op.15, Op.19)

Martha Argerich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2번 (Beethoven: Piano Concertos Op.15, Op.19)

27,500 (19%)

'Martha Argerich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2번 (Beethoven: Piano Concertos Op.15, Op.19)' 상세페이지 이동

Martha Argerich 베토벤 / 라벨: 피아노 협주곡 (Plays Beethoven & Ravel)

Martha Argerich 베토벤 / 라벨: 피아노 협주곡 (Plays Beethoven & Ravel)

19,900 (19%)

'Martha Argerich 베토벤 / 라벨: 피아노 협주곡 (Plays Beethoven & Ravel)' 상세페이지 이동

연주 : Yefim Bronfman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연주 : Yefim Bronfman
관심작가 알림신청
예핌 브론프만
클래식 피아니스트

Yefim Bronfman의 다른 상품

Mariss Jansons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교향곡 9번 - 마리스 얀손스 (Shostakovich: Piano Concerto No. 1, Symphony No. 9)

Mariss Jansons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교향곡 9번 - 마리스 얀손스 (Shostakovich: Piano Concerto No. 1, Symphony No. 9)

20,800 (19%)

'Mariss Jansons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교향곡 9번 - 마리스 얀손스 (Shostakovich: Piano Concerto No. 1, Symphony No. 9)' 상세페이지 이동

Mariss Jansons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1번, 교향곡 9번 - 마리스 얀손스 (Shostakovich: Symphony Op.70) [LP]

Mariss Jansons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1번, 교향곡 9번 - 마리스 얀손스 (Shostakovich: Symphony Op.70) [LP]

44,900 (19%)

'Mariss Jansons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1번, 교향곡 9번 - 마리스 얀손스 (Shostakovich: Symphony Op.70) [LP]' 상세페이지 이동

Magdalena Kozena 막달레나 코제나가 노래하는 브람스 / 무소르그스키 / 바르톡 (Brahms / Mussorgsky / Bartok)

Magdalena Kozena 막달레나 코제나가 노래하는 브람스 / 무소르그스키 / 바르톡 (Brahms / Mussorgsky / Bartok)

11,950 (59%)

'Magdalena Kozena 막달레나 코제나가 노래하는 브람스 / 무소르그스키 / 바르톡 (Brahms / Mussorgsky / Bartok) ' 상세페이지 이동

Yefim Bronfman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3중주 (Tchaikovsky: Piano Trio Op.50)

Yefim Bronfman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3중주 (Tchaikovsky: Piano Trio Op.50)

19,500 (19%)

'Yefim Bronfman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3중주 (Tchaikovsky: Piano Trio Op.50)' 상세페이지 이동

Martha Argerich 마르타 아르헤리치 명연주 모음집 (The Piano Legend)

Martha Argerich 마르타 아르헤리치 명연주 모음집 (The Piano Legend)

19,700 (19%)

'Martha Argerich 마르타 아르헤리치 명연주 모음집 (The Piano Legend) ' 상세페이지 이동

CBS FM 강석우의 아름다운 당신에게

CBS FM 강석우의 아름다운 당신에게

17,800 (19%)

'CBS FM 강석우의 아름다운 당신에게 ' 상세페이지 이동

온다 리쿠 소설 『꿀벌과 천둥』 피아노 선집 4CD 확장판

온다 리쿠 소설 『꿀벌과 천둥』 피아노 선집 4CD 확장판

22,300 (19%)

'온다 리쿠 소설 『꿀벌과 천둥』 피아노 선집 4CD 확장판' 상세페이지 이동

Vladimir Jurowski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 트리뷰트 콘서트 (Tribute To Evgeny Svetlanov)

Vladimir Jurowski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 트리뷰트 콘서트 (Tribute To Evgeny Svetlanov)

33,800 (19%)

'Vladimir Jurowski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 트리뷰트 콘서트 (Tribute To Evgeny Svetlanov)' 상세페이지 이동

연주 : Gautier Capucon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연주 : Gautier Capucon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띠에 카퓌송
첼리스트

Gautier Capucon의 다른 상품

Alexandre Tharaud 네 손을 위한 피아노 작품 (Four Hands)

Alexandre Tharaud 네 손을 위한 피아노 작품 (Four Hands)

21,500 (19%)

'Alexandre Tharaud 네 손을 위한 피아노 작품 (Four Hands)' 상세페이지 이동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21,500 (19%)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상세페이지 이동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Destination Paris) [LP]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Destination Paris) [LP]

38,000 (19%)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Destination Paris) [LP]' 상세페이지 이동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Destination Paris)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Destination Paris)

25,400 (19%)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Destination Paris)' 상세페이지 이동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LP]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LP]

32,200 (19%)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LP]' 상세페이지 이동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21,500 (19%)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상세페이지 이동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16,300 (19%)

'Gautier Capucon 고티에 카퓌송 첼로 소품집 (Sensations)' 상세페이지 이동

Yuja Wang / Andreas Ottensamer / Gautier Capucon 라흐마니노프: 첼로 소나타 / 브람스: 첼로 소나타 1번, 클라리넷 트리오 (Rachmaninov, Brahms)

Yuja Wang / Andreas Ottensamer / Gautier Capucon 라흐마니노프: 첼로 소나타 / 브람스: 첼로 소나타 1번, 클라리넷 트리오 (Rachmaninov, Brahms)

25,200 (19%)

'Yuja Wang / Andreas Ottensamer / Gautier Capucon 라흐마니노프: 첼로 소나타 / 브람스: 첼로 소나타 1번, 클라리넷 트리오 (Rachmaninov, Brahms)' 상세페이지 이동

연주 : Renaud Capucon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연주 : Renaud Capucon
관심작가 알림신청
르노 카퓌송
20대의 젊은 나이로 세계적인 반열에 오른 동시에 21세기의 가장 촉망받는 아티스트인 바이올리니스트 르노 카퓌송(Renaud Capucon)은 솔리스트,그리고 실내악 주자로서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1976년 1월 27일,프랑스 샹베리(Chambery)에서 태어난 르노 카퓌송은 14세 때부터 파리국립고등음악원에 입학하며 본격적인 음악 공부를 시작했다. 1995년 그는 베를린 예술대학에 입학했으며,토마스 브란디스,아이작 스턴,슐로모 민츠,오귀스탱 뒤메이를 사사하였다. 1997년 르노 카퓌송은 클라우디오 아바도의 특별 초청을 받아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 오케스트라'의 수석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했고,이 때 피에르 불레즈,세이지 오자와,다니엘 바렌보임,프란즈 벨저-뫼스트,클라우디오 아바도와 같은 명 지휘자들과 함께 연주했다.

2000년 프랑스의 저명한 음악상인 'Victoires de la Musique'(음악의 승리)는 르노 카퓌송을 '올해의 신인'으로 선정하고 그를 'Rising Star 2000'으로 지목했다. 솔리스트로서 르노 카퓌송은 베를린 필하모닉,유럽 체임버 오케스트라,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보스턴 심포니,NHK 심포니와 같은 유럽,미국,일본의 주요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이때 함께한 지휘자로는 버나드 하이팅크,정명훈,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샤를 뒤투아,세미욘 비취코프,크리스토프 에센바흐,이반 피셔, 다니엘 하딩,볼프강 자발리쉬 등이 있다.

Renaud Capucon의 다른 상품

Alexandre Tharaud `바르바라` 헌정 음반 - 알렉상드르 타로 (Barbara)

Alexandre Tharaud `바르바라` 헌정 음반 - 알렉상드르 타로 (Barbara)

21,500 (19%)

'Alexandre Tharaud `바르바라` 헌정 음반 - 알렉상드르 타로 (Barbara)' 상세페이지 이동

Renaud Capucon 포레: 파반느, 엘레지, 자장가 (Gabriel Faure: Masques et bergamasques, op.112, Pelleas et Melisande)

Renaud Capucon 포레: 파반느, 엘레지, 자장가 (Gabriel Faure: Masques et bergamasques, op.112, Pelleas et Melisande)

25,200 (19%)

'Renaud Capucon 포레: 파반느, 엘레지, 자장가 (Gabriel Faure: Masques et bergamasques, op.112, Pelleas et Melisande)' 상세페이지 이동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21,500 (19%)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상세페이지 이동

Renaud Capucon 시네마 II - 인생의 이야기들 (Les Choses De La Vie)

Renaud Capucon 시네마 II - 인생의 이야기들 (Les Choses De La Vie)

21,500 (19%)

'Renaud Capucon 시네마 II - 인생의 이야기들 (Les Choses De La Vie)' 상세페이지 이동

Renaud Capucon 시네마 II - 인생의 이야기들 (Les Choses De La Vie) [LP]

Renaud Capucon 시네마 II - 인생의 이야기들 (Les Choses De La Vie) [LP]

32,200 (19%)

'Renaud Capucon 시네마 II - 인생의 이야기들 (Les Choses De La Vie) [LP]' 상세페이지 이동

Renaud Capucon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 (Mozart: The Violin Concertos)

Renaud Capucon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 (Mozart: The Violin Concertos)

31,500 (19%)

'Renaud Capucon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전곡 (Mozart: The Violin Concertos)' 상세페이지 이동

Renaud Capucon / Kit Armstrong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Mozart: Violin Sonatas)

Renaud Capucon / Kit Armstrong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Mozart: Violin Sonatas)

47,500 (19%)

'Renaud Capucon / Kit Armstrong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Mozart: Violin Sonatas)' 상세페이지 이동

Renaud Capucon / Martha Argerich 베토벤 / 슈만 /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Beethoven / Schumann / Franck) [2LP]

Renaud Capucon / Martha Argerich 베토벤 / 슈만 /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Beethoven / Schumann / Franck) [2LP]

54,300 (19%)

'Renaud Capucon / Martha Argerich 베토벤 / 슈만 /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Beethoven / Schumann / Franck) [2LP]' 상세페이지 이동

연주 : Maxim Vengerov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연주 : Maxim Vengerov
관심작가 알림신청
막심 벤게로프
바이올린 연주자

Maxim Vengerov의 다른 상품

쿠르트 마주어 워너 녹음 전집 (Kurt Masur - The Complete Warner Classics Edition)

쿠르트 마주어 워너 녹음 전집 (Kurt Masur - The Complete Warner Classics Edition)

214,500 (19%)

'쿠르트 마주어 워너 녹음 전집 (Kurt Masur - The Complete Warner Classics Edition) ' 상세페이지 이동

Lang Lang 랑랑 - 피아노로 연주한 영화음악 (At The Movies)

Lang Lang 랑랑 - 피아노로 연주한 영화음악 (At The Movies)

20,400 (19%)

'Lang Lang 랑랑 - 피아노로 연주한 영화음악 (At The Movies)' 상세페이지 이동

베토벤 베스트 50 (50 Best Beethoven)

베토벤 베스트 50 (50 Best Beethoven)

17,900 (19%)

'베토벤 베스트 50 (50 Best Beethoven)' 상세페이지 이동

조성진 / Valery Gergiev / Evgeny Kissin 2018 베르비에 페스티벌 25주년 하이라이트 공연

조성진 / Valery Gergiev / Evgeny Kissin 2018 베르비에 페스티벌 25주년 하이라이트 공연

36,400 (19%)

'조성진 / Valery Gergiev / Evgeny Kissin 2018 베르비에 페스티벌 25주년 하이라이트 공연 ' 상세페이지 이동

Long Yu 라흐마니노프: 교향적 춤곡 / 크라이슬러: 중국의 붐 / 키강첸: 오행, 고난의 기쁨 (Gateways)

Long Yu 라흐마니노프: 교향적 춤곡 / 크라이슬러: 중국의 붐 / 키강첸: 오행, 고난의 기쁨 (Gateways)

22,300 (19%)

'Long Yu 라흐마니노프: 교향적 춤곡 / 크라이슬러: 중국의 붐 / 키강첸: 오행, 고난의 기쁨 (Gateways) ' 상세페이지 이동

Maxim Vengerov 막심 벤게로프 바이올린 소품 연주집 (Vengerov & Virtuosi) [2LP]

Maxim Vengerov 막심 벤게로프 바이올린 소품 연주집 (Vengerov & Virtuosi) [2LP]

49,400 (19%)

'Maxim Vengerov 막심 벤게로프 바이올린 소품 연주집 (Vengerov & Virtuosi) [2LP]' 상세페이지 이동

Hans Zimmer - The Classics (한스 짐머 - 더 클래식스: 영화음악 베스트 앨범)

Hans Zimmer - The Classics (한스 짐머 - 더 클래식스: 영화음악 베스트 앨범)

19,700 (19%)

'Hans Zimmer - The Classics (한스 짐머 - 더 클래식스: 영화음악 베스트 앨범)' 상세페이지 이동

Hans Zimmer - The Classics (한스 짐머 - 더 클래식스: 영화음악 베스트 앨범)

Hans Zimmer - The Classics (한스 짐머 - 더 클래식스: 영화음악 베스트 앨범)

15,600 (19%)

'Hans Zimmer - The Classics (한스 짐머 - 더 클래식스: 영화음악 베스트 앨범)'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