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이순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순신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舜臣, 본관 : 덕수(德水), 자 : 여해(汝諧), 시호 : 충무(忠武)
이순신(1545-1598)은 1643년(인조21년) 3월 '충무(忠武)'란 시호가 내려진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그의 본관이 덕수德水이며 서울 건천동(을지로 4가와 충무로 4가 사이), 넉넉하지 못한 양반가에서 태어나 22세 때 처음으로 무예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는 1576년 32세에 무과 시험에 합격하여,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 훈련원 봉사, 충청병사 군관, 발포 수군만호, 함경도 건원보 권관 등 주로 함경도 등지에서 관직 생활을 했다. 1589년 한때 정읍 현감이 되어 지방관 생활을 했으며 임진왜란 직전에 당시 재상 유성룡의 천거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로 임명되어 48세때 임진왜란에서의 활약으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중요한 해전을 치루며 왜선 320척을 격파했다. 49세 때 그는 한산도로 진을 옮겨 삼도 수군통제사가 되었으나 53세 때 원균 일파의 모함과 상소로 서울로 압송되어 투옥되던 중 우의정 정탁의 변호로 출옥하게 되었다.

정유재란이 발발하여 칠천량 해전에서 원균이 대패하자 삼도 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되어 남은 12척의 배와 120명의 군사로 130여척의 왜선과 맞서 싸웠고(명량대첩), 54세 때 명의 수군과 연합해 왜선 500여척과 싸우다 노량해전에서 11월 19일 새벽에 전사하였다. 6년 후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되었고, 덕풍부원군에 추봉됨에 이어 좌의정에 추증되었으며, 15년 뒤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충무(忠武)'란 시호가 내려져 역사에 충무공 이순신이라는 나라를 구한 영웅으로 영원히 기억되게 되었다.

이순신의 다른 상품

그림으로 보는 난중일기

그림으로 보는 난중일기

10,800 (10%)

'그림으로 보는 난중일기' 상세페이지 이동

초판본 난중일기

초판본 난중일기

16,650 (10%)

'초판본 난중일기 ' 상세페이지 이동

쉽게 보는 난중일기 완역본

쉽게 보는 난중일기 완역본

14,400 (10%)

'쉽게 보는 난중일기 완역본' 상세페이지 이동

난중일기

난중일기

10,620 (10%)

'난중일기' 상세페이지 이동

난중일기

난중일기

13,500 (10%)

'난중일기' 상세페이지 이동

신완역 난중일기 교주본

신완역 난중일기 교주본

31,500 (10%)

'신완역 난중일기 교주본' 상세페이지 이동

역사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역사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12,600 (10%)

'역사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상세페이지 이동

역 : 허경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허경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淵民學會 편집위원장. 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피난 시절 목포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때부터 대학 때까지 시를 썼으며, 1974년 「요나서」로 연세문학상을 받았다. 대학원 시절 도서관 고서실에 쌓인 한시 문집을 보고 독자로 하여금 쉽게 다가가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에 한문학으로 전공을 바꾸었다. 이때부터 한시 번역에 힘써 최치원부터 황현에 이르는 ‘한국의 한시’ 40여 권을 출간했으며, 앞으로 100권을 채우는 것이 꿈이다.

지은 책으로 『사대부 소대헌 호연재 부부의 한평생』, 『조선의 중인들』, 『주해 천자문』, 『한국의 읍성』, 『악인열전』, 『허균 평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다산 정약용 산문집』, 『연암 박지원 소설집』, 『서유견문』, 『삼국유사』, 『매천야록』, 『택리지』, 『한국역대한시시화』, 『허균의 시화』 등이 있다. 특히 외국 도서관에 있는 우리나라 고서를 조사 연구해 간행한 『하버드대학 옌칭 도서관의 한국 고서들』은 전공자뿐만 아니라 독자들에게도 큰 호평을 받았다.

허경진의 다른 상품

한객인상필화

한객인상필화

18,800

'한객인상필화' 상세페이지 이동

한객인상필화 (큰글자책)

한객인상필화 (큰글자책)

34,000

'한객인상필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교산 허균 시선

교산 허균 시선

16,000

'교산 허균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백호 임제 시선

백호 임제 시선

15,000

'백호 임제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길영희교장선생 재판기록

길영희교장선생 재판기록

14,250 (5%)

'길영희교장선생 재판기록' 상세페이지 이동

추재 조수삼 시선

추재 조수삼 시선

13,000

'추재 조수삼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사암 박순 시선

사암 박순 시선

14,000

'사암 박순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눌재 박상 시선

눌재 박상 시선

13,000

'눌재 박상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