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역 : 이종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종인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4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 브리태니커 편집국장과 성균관대학교 전문 번역가 양성 과정 겸임 교수를 역임했다. 지금까지 250여권의 책을 번역했으며 주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교양서와 문학 서적을 많이 번역했다. 정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지금까지 250여권의 책을 번역했으며 주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교양서와 문학 서적을 많이 번역했다. 최근에는 E. M. 포스터, 존 파울즈, 폴 오스터, 제임스 존스 등 현대 영미 작가들의 소설을 번역하고 있다.

저서로 『번역은 글쓰기다』, 『번역은 내 운명』(공저)과 『지하철 헌화가』, 『살면서 마주 한 고전』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는 『1984』, 『그리스인 조르바』, 『보물섬』, 『촘스키, 사상의 향연』, 『폴 오스터의 뉴욕 통신』, 『문화의 패턴』, 『호모 루덴스』, 『중세의 가을』, 『지상에서 영원으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노인과 바다』, 『무기여 잘 있거라』, 『헨리 제임스 단편선』, 『조지 오웰 수필선』, 『유한계급론』(소스타인 베블런), 『리비우스 로마사 I, II』, 『로마제국 쇠망사』, 『고대 로마사』, 『숨결이 바람 될 때』, 『변신 이야기』, 『작가는 왜 쓰는가』, 『폰더 씨의 위대한 하루』, 『마인드 헌터』, 『군주론·만드라골라·카스트루초 카스트라카니의 생애』 등이 있다.

이종인의 다른 상품

불평 없이 살아보기

불평 없이 살아보기

18,000 (10%)

'불평 없이 살아보기 ' 상세페이지 이동

팍스

팍스

38,700 (10%)

'팍스' 상세페이지 이동

불안할 땐 뇌과학 (큰글자도서)

불안할 땐 뇌과학 (큰글자도서)

39,000

'불안할 땐 뇌과학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하버드 리더십 수업

하버드 리더십 수업

19,800 (10%)

'하버드 리더십 수업' 상세페이지 이동

국부론 (국내 유일 단권 완역본)

국부론 (국내 유일 단권 완역본)

29,700 (10%)

'국부론 (국내 유일 단권 완역본)' 상세페이지 이동

데일 카네기 인생경영론

데일 카네기 인생경영론

10,800 (10%)

'데일 카네기 인생경영론 ' 상세페이지 이동

불안할 땐 뇌과학

불안할 땐 뇌과학

16,200 (10%)

'불안할 땐 뇌과학' 상세페이지 이동

초판본 동물 농장 미니북

초판본 동물 농장 미니북

3,510 (10%)

'초판본 동물 농장 미니북'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새뮤얼 헌팅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새뮤얼 헌팅턴
관심작가 알림신청
Samuel Phillips Huntington
군사정치학과 비교정치학 분야에서 학문적 성과를 올리고 이론정치와 현실정치를 두루 체험한 정치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베트남전쟁 당시 '전략촌' 정책을 수립했으며, 1974년부터 1976년까지 국방 및 군비감축 민주당자문회의 의장을 지내고, 카터(Jimmy Carter) 행정부 때는 국가안전보장회의 안보기획조정관을 지내는 등 현실정치에 적극 참여했다. 1970년에는 계간 시사전문지 「Foreign Policy」을 창간해 공동 편집인으로 활약했으며,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2008년 12월 24일 향년 81세로 생을 마감했다.

새뮤얼 헌팅턴의 다른 상품

군인과 국가

군인과 국가

30,000

'군인과 국가' 상세페이지 이동

새뮤얼 헌팅턴의 미국, 우리는 누구인가

새뮤얼 헌팅턴의 미국, 우리는 누구인가

16,200 (10%)

'새뮤얼 헌팅턴의 미국, 우리는 누구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문명의 충돌

문명의 충돌

22,500 (10%)

'문명의 충돌' 상세페이지 이동

편 : 로렌스 E. 해리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로렌스 E. 해리슨
관심작가 알림신청
Lawrence E. Harrison
1965~1981년 사이에 라틴아메리카 5개국에서 미국국제개발처USAID 사업을 지휘했다. 터프츠대학교 플레처 스쿨Fletcher School의 선임연구원이자 겸임교수이다. 쓴 책으로 ≪저개발은 마음의 상태이다-라틴아메리카의 사례Underdevelopment is a State of Mind-The Latin American Case≫ ≪범아메리카의 꿈The Pan-American Dream≫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