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이오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오덕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五德
1925년 11월 4일에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태어나 2003년 8월 25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무너미 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다. 열아홉 살에 경북 부동공립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해 예순한 살이던 1986년 2월까지 마흔두 해 동안 아이들을 가르쳤다. 스물아홉 살이던 1954년에 이원수를 처음 만났고, 다음 해에 이원수가 펴내던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하며 아동문학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 뒤 이원수의 권유로 어린이문학 평론을 쓰게 된다. 1973년에는 권정생을 만나 평생 동무로 지냈다.

우리 어린이문학이 나아갈 길을 밝히기 위해 1977년에 어린이문학 평론집 『시정신과 유희정신』을 펴냈다. 이 책에서 절대 자유의 창조적 정신을 발휘한 어린이문학 정신을 ‘시정신’, 그에 반하는 동심천사주의 어린이문학 창작 태도를 ‘유희정신’이라 했으며,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의 눈과 마음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어린이문학의 ‘서민성’을 강조했다. 또한 모든 어린이문학인이 새로운 문명관과 자연관, 아동관에 서지 않고서는 진정한 어린이문학을 창조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어린이문학의 발전을 위해 작가들과 함께 어린이문학협의회를 만들었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만드는 데도 힘을 보탰다.

2003년 작고 전까지 아동 문학 평론가로서 어린이들이 올바른 글쓰기 교육을 하도록 이끌었고,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어린이문학협의회’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들을 꾸렸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여는 바탕이 되었다. 한국 아동문학상과 단재상을 받았으며, 어린이를 사랑하고 아끼고 돌보는 일과 어린이 문학, 우리말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쳤다.

그동안 쓰고 엮은 책으로 『아동시론』, 『별들의 합창』, 『까만 새』, 『시정신과 유희정신』, 『일하는 아이들』, 『삶과 믿음의 교실』,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이 땅의 아이들 위해』, 『울면서 하는 숙제』, 『종달새 우는 아침』, 『개구리 울던 마을』, 『거꾸로 사는 재미』, 『삶·문학·교육』, 『우리 문장 쓰기』,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참교육으로 가는 길』, 『농사꾼 아이들의 노래』, 『문학의 길 교육의 길』, 『나무처럼 산처럼』, 『어린이책 이야기』, 『아이들에게 배워야 한다』, 『감자를 먹으며』, 『우리 말 살려쓰기(하나),(둘)』, 『고든박골 가는 길』 등 다수가 있다.

이오덕의 다른 상품

이오덕 말꽃모음

이오덕 말꽃모음

7,000 (9%)

'이오덕 말꽃모음' 상세페이지 이동

시정신 유희정신

시정신 유희정신

17,500

'시정신 유희정신' 상세페이지 이동

글쓰기 더하기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5

글쓰기 더하기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5

9,100

'글쓰기 더하기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5' 상세페이지 이동

글쓰기 하하하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4

글쓰기 하하하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4

9,100

'글쓰기 하하하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4'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모두 시를 써요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6

우리 모두 시를 써요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6

9,100

'우리 모두 시를 써요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6' 상세페이지 이동

일하는 아이들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7

일하는 아이들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7

9,800

'일하는 아이들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7'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9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9

10,500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9' 상세페이지 이동

허수아비도 깍꿀로 덕새를 넘고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8

허수아비도 깍꿀로 덕새를 넘고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8

9,100

'허수아비도 깍꿀로 덕새를 넘고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8'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권정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정생
관심작가 알림신청
權正生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광복 직후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경북 안동 일직면에서 마을 교회 종지기로 일했고, 빌뱅이 언덕 작은 흙집에 살면서 『몽실 언니』를 썼다. 가난 때문에 얻은 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인세를 어린이들에게 써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2007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작고 보잘것없는 것들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굴곡 많은 역사를 살아온 사람들의 삶을 보듬는 진솔한 이야기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69년 단편동화 「강아지똥」으로 기독교아동문학상을 받았고, 1973년 「무명 저고리와 엄마」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사과나무 밭 달님』, 『바닷가 아이들』, 『점득이네』, 『하느님의 눈물』, 『밥데기 죽데기』, 『또야 너구리가 기운 바지를 입었어요』, 『몽실 언니』, 『먹구렁이 기차』, 『깜둥 바가지 아줌마』 등 많은 어린이책과, 소설 『한티재 하늘』, 시집 『어머니 사시는 그 나라에는』 등을 펴냈다.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홈페이지(http://www.kcfc.or.kr)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살펴볼 수 있다.

권정생의 다른 상품

길아저씨 손아저씨

길아저씨 손아저씨

7,000

'길아저씨 손아저씨' 상세페이지 이동

랑랑별 때때롱

랑랑별 때때롱

12,000

'랑랑별 때때롱' 상세페이지 이동

눈이 내리는 여름

눈이 내리는 여름

9,450 (10%)

'눈이 내리는 여름' 상세페이지 이동

새해 아기

새해 아기

9,450 (10%)

'새해 아기' 상세페이지 이동

복사꽃 외딴집

복사꽃 외딴집

9,450 (10%)

'복사꽃 외딴집'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