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전상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전상국
관심작가 알림신청
全商國
1940년 강원도 홍천에서 태어나 춘천고,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6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동행」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으로 『바람난 마을』 『하늘 아래 그 자리』 『아베의 가족』 『우상의 눈물』 『우리들의 날개』 『외등』 『형벌의 집』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사이코』 『온 생애의 한순간』 『남이섬』 『굿』, 장편소설로 『늪에서는 바람이』 『불타는 산』 『길』 『유정의 사랑』이 있다. 그 밖의 저서로 『김유정』 『당신도 소설을 쓸 수 있다(소설창작강좌)』 『우리가 보는 마지막 풍경』 『물은 스스로 길을 낸다』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 『춘천山 이야기』 『춘천 사는 이야기』 『작가의 뜰』 등과 콩트집 『식인의 나라』 『장난 전화 거는 남자를 골려준 남자』 『우리 시대의 온달』 등이 있다.

현대문학상(1977), 한국문학작가상(1979), 대한민국문학상(1980), 동인문학상(1980), 윤동주문학상(1988), 김유정문학상(1990), 한국문학상(1996), 후광문학상(2000), 이상문학상 특별상(2003), 현대불교문학상(2004), 경희문학상(2014), 이병주국제문학상(2015), 강원도문화상(1990), 동곡상(2013), 서울문화투데이문화대상(2024)을 수상했고, 황조근정훈장(2005), 보관문화훈장(2018)을 수훈했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전상국의 다른 상품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19,800 (10%)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상세페이지 이동

길·외등

길·외등

18,000 (10%)

'길·외등' 상세페이지 이동

굿

굿

14,400 (10%)

'굿'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들의 날개

우리들의 날개

16,200 (10%)

'우리들의 날개 ' 상세페이지 이동

아베의 가족

아베의 가족

16,200 (10%)

'아베의 가족'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14,220 (10%)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상세페이지 이동

하늘 아래 그 자리

하늘 아래 그 자리

16,200 (10%)

'하늘 아래 그 자리' 상세페이지 이동

작가의 뜰

작가의 뜰

13,050 (10%)

'작가의 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호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호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浩哲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 열아홉의 나이에 한국전쟁을 치르며 별별 직업을 전전하다 「탈향」으로 문단 데뷔. 이후 현대문학상과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단에서의 입지를 다진다. 더욱이 민주수호국민회의 운영위원으로 재야민주화운동에 뛰어들어 1980년에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85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1989년에는 대한민국문학상 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92년 예술원 위원으로 피선되었으며, 1997, 98년 대산문학상과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주요작품으로는 저서에 작품집 『나상』(1961) 『서울은 만원이다』(1966) 『공복사회』(1968) 『사월의 빙원』(1971) 『닳아지는 살들』(1975) 『남풍북풍』(1977) 『그 겨울의 긴 계곡』(1978) 『소시민』(1979) 『문』(1981) 『물은 흘러서 강』(1984) 『악마의 덫』(1984) 『밥과 희망과 우리들의 공동체』(1985) 『탈사육자회의』(1986) 『천상천하』(1986) 『판문점』(1988) 『퇴역 선임하사』(1989) 『네겹 두른 족속들』(1989) 『빈 골짜기』(1989) 『개화와 척사』(1992) 『남녘사람 북녘사람』(1996) 『이산타령 친족타령』(2001) 등이 있다. 이 밖에 산문집 『세기말의 사상기행』 『산 울리는 소리』 『희망의 거처』 『문단골 사람들』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등이 있다.

이호철의 다른 상품

인간 실격

인간 실격

10,800 (10%)

'인간 실격'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네 문단골 이야기 2

우리네 문단골 이야기 2

12,600 (10%)

'우리네 문단골 이야기 2'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네 문단골 이야기 1

우리네 문단골 이야기 1

12,600 (10%)

'우리네 문단골 이야기 1' 상세페이지 이동

오돌할멈 손자 오돌이

오돌할멈 손자 오돌이

11,700 (10%)

'오돌할멈 손자 오돌이' 상세페이지 이동

이호철 작품집

이호철 작품집

16,000

'이호철 작품집' 상세페이지 이동

남과 북 진짜진짜 역사읽기

남과 북 진짜진짜 역사읽기

12,600 (10%)

'남과 북 진짜진짜 역사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사양

사양

10,800 (10%)

'사양' 상세페이지 이동

무궤도 제2장

무궤도 제2장

11,700 (10%)

'무궤도 제2장'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원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원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源一, 김원
1942년 경남 김해시 진영읍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성장했다. 영남대학교 국문학과(1968)를 졸업했다. 1966년 매일문학상, 1967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한국전쟁에 대해 긴 세월동안 정열적으로 파고들었던 작가이다. 김원일 문학의 중심 소재 중의 하나인 한국전쟁에 관한 이야기는 월북한 아버지를 가진 작가 가족사와 무관치 않다. 고등학교 3학년때 6·25를 겪었고 그로 인해 고통스런 가족사를 경험해야 했던 작가는 이 문제를 쓰지 않고는 어떤 작품도 쓰지 못할 것같은 부채감이 시달리면 고집스럽고 열정적으로 분단문제에 관한 이야기를 썼다. 『노을』, 『어둠의 혼』, 『겨울 골짜기』와 같은 분단소설의 내용은 18년동안 연재해나간 『불의 제전』에 고스란히 녹아흐르고 있다.

담담한 문체에 절제된 감정으로 6.25의 비극적인 사건을 이야기하는 김원일은 굴곡진 현대사를 몸으로 겪은 한글세대의 문학이고 궁핍한 농촌에서 6·25와 4·19를 체험하고 산업화를 이룩한 우리세대의 삶을 가장 잘 표현할 줄 아는 작가이다. 열등의식에 사로잡혔던 사춘기와 가난에 대한 원망등으로 초기 소설은 지나칠 정도로 사회 비판적인 시각이 우세했으나 40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중편이 많아지고 분위기도 대립에서 화해로 바뀐다. 31년동안 51편을 묶어 중단편 전집을 최근에 배운 컴퓨터작업으로 끝낼 정도로 열정적인 집필가인 그는 어느덧 뿔테안경에 은발을 쓸어올리는 한국문학의 산증인이다. 2005년에는 그의 고향인 경남 김해시 진영읍 금병공원에 문학비가 건립되었다.

소설집으로 『어둠의 혼』, 『오늘 부는 바람』, 『도요새에 관한 명상』, 『환멸을 찾아서』, 『그곳에 이르는 먼 길』, 『마음의 감옥』, 『슬픈 시간의 기억』, 『오마니별』, 『비단길』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에는 『어둠의 축제』, 『노을』, 『바람과 강』, 『겨울 골짜기』, 『마당 깊은 집』, 『늘 푸른 소나무』, 『아우라지 가는 길』, 『불의 제전』, 『도시의 푸른 나무』, 『푸른 혼』, 『전갈』 등이 있다. 산문집으로 『사랑하는 자는 괴로움을 안다』, 『삶의 결, 살림의 길』, 『기억의 풍경들』, 『아들의 아버지』이 있다.

현대문학상(1974), 한국소설문학상(1978), 대한민국문학상 대통령상(1978), 한국창작문학상(1979), 동인문학상(1984), 요산문학상(1987), 이상문학상(1990), 우경문화예술상(1992), 서라벌문학상(1993), 한무숙문학상(1998), 이산문학상(1998), 황순원문학상(2002), 대한민국문화예술상(2002), 이수문학상(2003), 만해문학상(2005) 등을 수상했다.

김원일의 다른 상품

마당 깊은 집 (큰글자도서)

마당 깊은 집 (큰글자도서)

30,000

'마당 깊은 집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비단길 (큰글자도서)

비단길 (큰글자도서)

30,000

'비단길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도요새에 관한 명상

도요새에 관한 명상

13,500 (10%)

'도요새에 관한 명상' 상세페이지 이동

마당 깊은 집

마당 깊은 집

14,400 (10%)

'마당 깊은 집' 상세페이지 이동

내가 사랑한 명화

내가 사랑한 명화

14,400 (10%)

'내가 사랑한 명화' 상세페이지 이동

비단길

비단길

11,700 (10%)

'비단길' 상세페이지 이동

늘푸른 소나무 2

늘푸른 소나무 2

16,200 (10%)

'늘푸른 소나무 2' 상세페이지 이동

늘푸른 소나무 1

늘푸른 소나무 1

16,200 (10%)

'늘푸른 소나무 1'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문순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순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文淳太
작품세계가 한(恨) 풀이 과정과 고향 찾기로 특징지어지는 작가. 1941년 3월 15일 전라남도 담양에서 태어났다. 광주고등학교, 조선대학교 문학부 및 숭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65년 「현대문학」에 시 「천재들」로 추천받았고, 1975년 [한국문학] 신인상에 소설 「백제의 미소」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소설집으로 『고향으로 가는 바람』(1977), 『흑산도 갈매기』(1979), 『걸어서 하늘까지』(1980), 『타오르는 강』(1981), 『물레방아 속으로』(1981), 『아무도 없는 서울』(1982), 『달궁』(1982), 『병신춤을 춥시다』(1982), 『유배지』(1983), 『연꽃 속의 보석이여 완전한 성취여』(1983), 『피울음』(1983), 『인간의 벽』(1984), 『피아골』(1985), 『살아있는 소문』(1986), 『철쭉제』(1987), 『삼형제』(1987), 『빼앗긴 강』(1987), 『타오르는 강』(1987), 『한수지 1-3』(1987), 『문신의 땅』(1988), 『징소리』(1993), 『제3의 국경』(1993), 『시간의 샘물』(1997), 『느티나무 사랑』(1997), 『포옹 1?2』(1998), 『그들의 새벽』(2000), 『된장』(2002), 『다산 정약용』(2003), 『41년생 소년』(2005), 『울타리』(2006), 『생오지 뜸부기』(2009) 등이 있다.

한국소설문학작품상, 문학세계작가상, 이상문학상 특별상, 요산문학상, 채만식문학상, 한국가톨릭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정년 퇴임한 후 전남 담양군 생오지 마을에 정착해 후진을 양성하며 집필에 전념하고 있다.

문순태의 다른 상품

홍어

홍어

9,500 (5%)

'홍어' 상세페이지 이동

생오지 뜸부기

생오지 뜸부기

19,000 (5%)

'생오지 뜸부기' 상세페이지 이동

울타리

울타리

17,100 (5%)

'울타리' 상세페이지 이동

된장

된장

19,000 (5%)

'된장' 상세페이지 이동

문신의 땅

문신의 땅

19,000 (5%)

'문신의 땅' 상세페이지 이동

철쭉제

철쭉제

19,000 (5%)

'철쭉제' 상세페이지 이동

징소리

징소리

19,000 (5%)

'징소리' 상세페이지 이동

고향으로 가는 바람

고향으로 가는 바람

19,000 (5%)

'고향으로 가는 바람' 상세페이지 이동

편 : 박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박도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鍍
1945년 경북 구미에서 태어났다. 구미초등학교·구미중학교·중동고등학교·고려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30여 년 교사생활과 작가생활을 겸하여 시민기자 생활을 다. 지금은 강원도 원주 치악산 밑에서 글 쓰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장편소설 『사람은 누군가를 그리며 산다』 『약속』 『허형식 장군』 『용서』 등과 산문집 『비어 있는 자리』 『일본기행』 『안흥 산골에서 띄우는 편지』 『백범 김구, 암살자와 추적자』 『마지막 수업』, 역사 유적 답사기 『항일유적답사기』 『누가 이 나라를 지켰을까』 『영웅 안중근』 등이 있다. 이밖에 엮은 책으로는 사진집 『지울 수 없는 이미지(1~3권)』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개화기와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미군정 3년사』 등과 어린이 도서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 『독립운동가, 청년 안중근』 등이 있다.

박도의 다른 상품

평화와 인권의 대통령, 김대중

평화와 인권의 대통령, 김대중

12,150 (10%)

'평화와 인권의 대통령, 김대중'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 대통령

18,000 (10%)

'대한민국 대통령' 상세페이지 이동

어느 해방둥이의 삶과 꿈

어느 해방둥이의 삶과 꿈

14,250 (5%)

'어느 해방둥이의 삶과 꿈' 상세페이지 이동

독립운동가, 청년 안중근

독립운동가, 청년 안중근

12,150 (10%)

'독립운동가, 청년 안중근' 상세페이지 이동

마지막 수업

마지막 수업

16,150 (5%)

'마지막 수업'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 정부입니다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 정부입니다

12,420 (10%)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 정부입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

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

12,150 (10%)

'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 상세페이지 이동

용서

용서

14,720 (5%)

'용서'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