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출연진 소개(3명)

이전

감독 : 원신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감독 : 원신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단편 <빵과 우유>로 2003년 대한민국 영화대상 단편부문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며 성공적인 신고식을 치룬 원신연 감독. 뿐만 아니라 직접 집필한 시나리오 <구타유발자들>이 2004 영화진흥위원회 시나리오 최우수작품으로 당선되면서, 그는 더 이상 신인 아닌 신인이 되어버렸다. 원신연 감독은 `한번도 눈 여겨본 적이 없던 집 앞의 나무 한 그루가 문득 낯설어 보이는 순간이 있듯, 그런 익숙함과 낯섦이 공존하는 영화`를 만들어 내고 싶다는 연출 의도를 밝혔다.

[필모그래피]

자장가(2002)|감독
구타유발자들(2006)|감독
구타유발자들(2006)|각본
세븐데이즈(2007)|감독

원신연의 다른 상품

봉오동 전투 (1Disc, 일반판) : 블루레이

봉오동 전투 (1Disc, 일반판) : 블루레이

33,000

'봉오동 전투 (1Disc, 일반판) : 블루레이' 상세페이지 이동

봉오동 전투 (1Disc)

봉오동 전투 (1Disc)

24,500 (3%)

'봉오동 전투 (1Disc)' 상세페이지 이동

용의자 일반판 (2DISC)

용의자 일반판 (2DISC)

25,500 (7%)

'용의자 일반판 (2DISC)' 상세페이지 이동

출연 : 한석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출연 : 한석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석규
1995년 <닥터봉>으로 첫 영화를 시작한후 <은행나무 침대>,·<초록물고기>, <접속>, <8월의 크리스마스>등 출연 작품 모두 성공을 거둔다. 그는 중견 감독의 이름 값에 기대지 않고, 성공 확률이 불투명한 신인 감독의 작품을 선택했고 그의 예견은 적중했다. 이런 결과로 그에게는 흥행보증수표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니며, 캐스팅 0순위의 배우가 되었다.
1999년 <쉬리>로 한국 영화사상 이례적인 성공을 거두며, 이 시대의 최고의 남자 배우로 자리잡게된다.

- 출 연
2006 음란서생
2004 그때 그 사람들
2004 주홍글씨
2002 이중간첩 - 림병호 역
1999 텔 미 썸딩 (Tell Me Something) - 조형사 역
1999 쉬리 (Swiri) - 유중원 역
1998 8월의 크리스마스 (Christmas in August) - 정원 역
1997 접속 (Contact, The) - 동현 역
1997 초록물고기 - 막동 역
1997 넘버 3 (NO.3) - 태주 역
1996 은행나무 침대 (Gingko Bed, The) - 수현 역
1995 엄마와 별과 말미잘 (Sea Anemone)
1995 닥터 봉 - 봉준수 역

한석규의 다른 상품

우상 (1Disc)

우상 (1Disc)

24,500 (3%)

'우상 (1Disc)' 상세페이지 이동

접속 (1Disc) : 블루레이

접속 (1Disc) : 블루레이

15,500 (22%)

'접속 (1Disc) : 블루레이' 상세페이지 이동

8월의 크리스마스 (1Disc, 풀슬립 스카나보 케이스) : 블루레이

8월의 크리스마스 (1Disc, 풀슬립 스카나보 케이스) : 블루레이

17,000 (23%)

'8월의 크리스마스 (1Disc, 풀슬립 스카나보 케이스) : 블루레이' 상세페이지 이동

베를린 : 블루레이 (일반판 2Disc)

베를린 : 블루레이 (일반판 2Disc)

36,300

'베를린 : 블루레이 (일반판 2Disc)' 상세페이지 이동

파파로티

파파로티

22,700 (10%)

'파파로티' 상세페이지 이동

백야행

백야행

7,700 (56%)

'백야행' 상세페이지 이동

출연 : 이문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출연 : 이문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다양한 장르의 영화들 속에서 최고의 감초 역할을 해 온 이문식. <공공의 적>에서의 설경구에게 흠씬 얻어맞던 산수에서부터 <달마야 서울가자>의 해병대 출신 대봉 스님, <범죄의 재구성>에선 어딘지 모자란 사기꾼까지, 이제 관객들은 이문식의 얼굴만 봐도 웃음을 터뜨린다. <간첩 리철진>에서는 소심의 극치인 택시강도, <봄날은 간다>의 녹음실 친구, <초록물고기>의 깡패, <일단뛰어>에선 어설픈 도둑 등 거짓말 조금 보태어 그의 배역을 살펴보면 한국영화의 역사가 보일 정도이다.

하지만 <황산벌>에서 주인공 못지 않게 중요한 `거시기` 역을 멋지게 소화해냄으로써 이제 감초 같은 조연 연기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달마야 놀자>가 그에게 처음으로 관객들에게 자신의 얼굴과 이름을 각인시킨 영화였다면 <달마야, 서울 가자>는 더 이상 조연이 아닌 주연급으로서의 그의 입지를 확실히 다져주는 영화가 되었다. 유동근, 가수 이성진과 호흡을 맞춘 영화 <어깨동무>에서는 <달마야 서울가자>에 이어 주연급으로 영화에 출연하였으나 그리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하지만 그 후에 <범죄의 재구성>에서 박신양, 백윤식과 함께 연기하며 자신만의 매력을 십분발휘하게 되었고, 제3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남우 조연상도 수상하게 되었다.

색깔 분명한 별종 배우, 이문식을 코미디 전문배우 혹은 조연전문 배우로 기억할 수도 있겠지만, 그 말속엔 그를 대변할 수 있는 다른 말들이 더 들어있다. 영화에서 주연못지 않은 인상적인 연기와 비중있는 캐릭터를 소화해낸 조연이면서 단순한 슬랩스틱 코메디가 아니라 찰리 채플린과 같이 몸으로 웃음을 줄 수 있는 그만의 철학이 있다. 이제는 조연에서 주연으로 영화에 출연하지만 연기에 임하는 그의 자세는 항상 변함이 없을 것이다.

[필모그래피]

라이터를 켜라(2002)|조연배우
역전에 산다(2003)|주연배우
대한민국 헌법 제1조(2003)|백성기
나비(2003)|왕도철
황산벌(2003)|거시기
범죄의 재구성(2004)|잡학다식 떠벌이 얼매
달마야
서울 가자(2004)|대봉스님
어깨동무(2004)|주연배우
공필두+10분단편(2005)|주연배우
마파도(2005)|비리형사 충수
공필두(2005)|공필두
구타유발자들(2006)|봉연
플라이 대디(2006)|장가필
마파도2(2007)|나충수
마을금고연쇄습격사건(2007)|배기로
강철중:공공의 적 1-1(2008)|안수
로맨틱 아일랜드(2008)|주연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