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사진 : 강운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사진 : 강운구
관심작가 알림신청
姜運求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한 우리 시대의 빼어난 다큐멘터리 사진가 중 한 사람. 1941년 문경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66년에 조선일보사 편집국 사진부 기자로 입사하면서 포토저널리스트가 되었고, 그후 1970년 동아일보사로 옮겨 출판국 사진부 기자로 재직하던 중, 1975년 정부의 언론 탄압에 저항해 결성된 '동아 언론자유수호 투쟁위원회'에 가입했다가 해직되었다. 이후 제한된 전람회장의 벽면보다는 잡지나 책의 지면에 더 비중을 두며 1983년부터 지금까지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강운구는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 분위기 속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는 국면들을 끊임없이 기록해 왔으며,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하여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마을 삼부작」(2001) 등 세 차례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사진집으로 『내설악 너와집』(1978), 『경주남산』(1987),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강운구』(2004)가 있고, 사진과 함께한 산문집으로 『시간의 빛』(2004)이 있으며, 공저로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1999), 『능으로 가는 길』(2000), 『한국 악기』(2001)등이 있다.

강운구의 다른 상품

오래된 풍경

오래된 풍경

30,000

'오래된 풍경' 상세페이지 이동

자연기행 自然紀行

자연기행 自然紀行

13,500 (10%)

'자연기행 自然紀行' 상세페이지 이동

특집! 한창기

특집! 한창기

21,850 (5%)

'특집! 한창기' 상세페이지 이동

강운구 Kang Woon-Gu

강운구 Kang Woon-Gu

14,000

'강운구 Kang Woon-Gu' 상세페이지 이동

능으로 가는 길

능으로 가는 길

17,100 (5%)

'능으로 가는 길' 상세페이지 이동

강운구 우연 또는 필연

강운구 우연 또는 필연

80,000

'강운구 우연 또는 필연' 상세페이지 이동

사진 : 권태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사진 : 권태균
관심작가 알림신청
권태균(權泰鈞, 1955-2015)은 경남 의령 출생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을 수료하였다. 뿌리깊은나무사의 월간 『샘이깊은물』 사진기자와 중앙일보 시사미디어 사진부장과 청와대 대통령실 17대 대통령 사진기록 담당관을 역임했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전문위원과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의 모임인 ‘온빛’ 회장을 지냈고, 신구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과 교수로 재직했다. 개인전으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노마드 NOMAD-변화하는 1980년대 한국인의 삶에 대한 작은 기록>(갤러리 룩스, 서울)전을 네 차례 열었으며, <침묵하는 돌-고인돌>(고은사진미술관, 부산)을 2010년에 가진 바 있다. 그룹전으로는 1982년 사진 2인전을 시작으로 2013년 제5회 중국 따리 국제사진전까지 수십 차례 참여하였다. 저서로는 『예술가의 이야기, 사진가 임응식』(나무숲, 2006), 『강운구 마을 삼부작, 그리고 30년 후』(열화당, 2006), 『The Discovery Of Korea』(Discovery Media)의 영문판과 일본어판이 있으며, 출판사진에도 꾸준히 관심을 보여 소설가, 사학자 등과 공동작업으로 펴낸 공저가 다수 있다. 그는 한국의 문화, 역사, 한국 사람들의 삶에 관한 사진작업을 줄곧 해왔으며, 한국의 정서를 가장 사진적으로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인간의 보편적인 삶을 묵묵히 사진으로 천착해 온 사진가이다. 2014년 봄부터 준비해 온 첫 번째 사진집은 안타깝게도 2015년 1월, 그의 갑작스런 타계로 유작 사진집이 되고 말았다.

권태균의 다른 상품

우리 안의 식민사관

우리 안의 식민사관

18,000 (10%)

'우리 안의 식민사관 ' 상세페이지 이동

노마드

노마드

66,500 (5%)

'노마드'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 한 곡

인생, 한 곡

12,600 (10%)

'인생, 한 곡' 상세페이지 이동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11,700 (10%)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 상세페이지 이동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

14,400 (10%)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 상세페이지 이동

옛 선비들의 국토 기행

옛 선비들의 국토 기행

9,000 (10%)

'옛 선비들의 국토 기행'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 참모실록

조선 참모실록

11,700 (10%)

'조선 참모실록' 상세페이지 이동

これが 韓國だ 이것이 한국이다

これが 韓國だ 이것이 한국이다

33,250 (5%)

'これが 韓國だ 이것이 한국이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