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자기 성찰과 실천적 모색을 통해 철학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철학 연구자들의 모임으로 1989년에 창립했다. ‘이념’과 ‘세대’를 아우르는 진보적 철학의 문제를 고민하며, 좁은 아카데미즘에 빠지지 않고 현실과 결합된 의미 있는 문제들을 통해 철학의 대중화에 앞장서고자 한다.

펴낸 책으로『아주 오래된 질문들』 『처음 읽는 한국 현대철학』 『망각과 기억의 변증법』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다시 쓰는 서양 근대철학사』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사』 『철학자의 서재』 『청춘의 고전』 『철학, 문화를 읽다』 『철학, 삶을 묻다』 『철학 대사전』 등 다수가 있으며, 매년 네 차례에 걸쳐 학술지 『시대와 철학』을 발간하며 대중 웹진인 《ⓔ시대와 철학》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다른 상품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11,700 (10%)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상세페이지 이동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1,700 (10%)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상세페이지 이동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1,700 (10%)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상세페이지 이동

논어

논어

11,700 (10%)

'논어' 상세페이지 이동

홉스의 리바이어던

홉스의 리바이어던

11,700 (10%)

'홉스의 리바이어던' 상세페이지 이동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11,700 (10%)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상세페이지 이동

헤겔의 정신현상학

헤겔의 정신현상학

11,700 (10%)

'헤겔의 정신현상학' 상세페이지 이동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12,350 (5%)

'플라톤의 국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순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순전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사 졸업 및 박사 수료, 독일학술교류처(DAAD) 장학생으로 독일 보쿰(Bochum)대학교에서 수학 후 박사학위 취득, 서울대학교 Post-doc.,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명지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 독일 훔볼트재단 장학생, 한국헤겔학회 회장 역임.

저서
Reflexion und Widerspruch. Eine entwicklungsgeschichtliche und systematische Untersuchung des Hegelschen Begriffs des Widerspruchs, Hegel-Studien Beiheft 41, 『칸트에서 헤겔로』, 『정신현상학의 이념』, 『철학수업』(2인 공저) 등 다수.

논문
Intuitiver Verstand bei Kant und Hegels Begriff des Begriffs, Kant-Studien 107:4, 「순수이성비판에서 일차적 현상과 이차적 현상의 구별 문제」, 「피히테, 셸링, 헤겔에게 있어서 칸트의 자기의식의 전개」, 「헤겔주의의 변형: 칸트 철학에 대한 맥다월의 헤겔적 해석」, 「독일 고전 철학과 현대 영미 철학에서 개념과 언어: 개념주의-비개념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등 다수.

편집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강순전의 다른 상품

칸트와 헤겔의 목적론적 생명관

칸트와 헤겔의 목적론적 생명관

20,000

'칸트와 헤겔의 목적론적 생명관'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25,000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상세페이지 이동

철학, 윤리, 논술 교육을 위한 철학수업

철학, 윤리, 논술 교육을 위한 철학수업

23,000

'철학, 윤리, 논술 교육을 위한 철학수업' 상세페이지 이동

생각하고 토론하는 철학수업

생각하고 토론하는 철학수업

20,000

'생각하고 토론하는 철학수업'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비판과 반비판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비판과 반비판

13,500 (10%)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비판과 반비판' 상세페이지 이동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1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1

11,700 (10%)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1'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