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소개(7명)

이전

작곡 : Wolfgang Amadeus Mozart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Wolfgang Amadeus Mozart
관심작가 알림신청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서양 고전주의 음악의 완성자이자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음악가. 35년의 생애 동안 교향곡, 협주곡, 소나타, 오페라, 실내악, 미사곡 등 600개가 넘는 작품을 남겼으며 많은 작품이 각 장르의 정점에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다섯 살 때 첫 작곡을 했으며 열네 살 때 이탈리아 여행 중에 오페라 [폰투스의 왕 미트라다테스]를 무대에 올려 대성공을 거두었다. 좋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유럽 전역을 여행했으나 경이적인 음악의 신동이라는 평판과 작품들의 대성공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그것을 얻는 데 실패했다. 고향인 잘츠부르크로 돌아와 궁정 오르가니스트로 잠깐 동안 일했으나 대주교와의 불화로 해고되고 이후 빈으로 거처를 옮겨 작곡과 연주에 전념했다. 피아니스트, 작곡가로서의 높은 명성과 [피가로의 결혼], [돈 조반니] 등 오페라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당시 그것에 대한 보수는 그의 형편없는 경제관념과 낭비벽을 감당하기에는 충분치 않았다. 안정적인 예술 활동을 위해서는 궁정이나 귀족으로부터의 후원이 필수적이었던 시대에 높은 급료를 안정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일자리를 죽을 때까지 얻지 못했던 모차르트는 짧은 생애 동안 주로 생계를 위해 곡들을 썼고, 만년에는 닥치는 대로 주위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 달라는 편지를 보냈다. 그런 불안정한 생활 속에서도 모차르트의 창작열은 죽기 직전까지 조금도 식지 않아 음악사에 영원히 남을 수많은 작품들을 썼다. 모차르트의 천재성에 관한 일화는 무수히 많은데 바티칸에서 외부에 그 악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던 비곡 알레그리의 [미제레레]를 처음 듣고 거의 완벽하게 채보했고 이틀 뒤 두 번째에는 몇 개의 소소한 것들을 수정해 악보를 완성했다. 모차르트에 의해 처음으로 [미제레레]는 일반에 악보가 공개되었다. [교향곡 36번]을 사흘 만에 작곡했고 그의 3대 교향곡으로 평가받는 [교향곡 39번]부터 [교향곡 41번]까지를 6주 만에 완성했다. 모차르트 스스로 자신은 음악에 대한 천재를 타고났다고 자부했으나 작곡을 위해서 자신보다도 많은 시간을 생각하고 거장들의 작품을 연구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다고 단언했을 정도로 그는 음악에 전념한 천재이기도 했다. 모차르트의 작품은 가볍고 경쾌한 장조의 작품이 대부분인데 만년에 접어들어서는 장조의 작품이라도 비장함과 애수에 넘치는 작품이 늘었고, 그런 작품들은 ‘천상의 음악’이라고 형용되었다. 죽기 두 달 전 건강이 이미 안 좋은 상황에서도 [마적]을 작곡해 초연하는 등 정력적으로 곡들을 썼으나 미완의 걸작 [레퀴엠]을 쓰던 도중 쓰러져 불과 2주 뒤에 35년 10개월의 젊은 나이로 빈에서 사망했다. 모차르트의 [레퀴엠]은 하이든, 베버, 베토벤, 슈베르트, 쇼팽, 로시니, 베를리오즈 같은 음악가들뿐 아니라, 실러, 괴테, 나폴레옹을 비롯해 많은 저명인사와 유럽 왕족들의 장례식에서 연주되었다.

Wolfgang Amadeus Mozart의 다른 상품

Michael Collins 모차르트: 교향곡 34번, 34번 `하프너`, 36번 `린츠` (Mozart: Symphony K.338, K.409, K.385, K.425)

Michael Collins 모차르트: 교향곡 34번, 34번 `하프너`, 36번 `린츠` (Mozart: Symphony K.338, K.409, K.385, K.425)

19,500 (19%)

'Michael Collins 모차르트: 교향곡 34번, 34번 `하프너`, 36번 `린츠` (Mozart: Symphony K.338, K.409, K.385, K.425)' 상세페이지 이동

Guila Bustabo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6번, 하차투리안: 바이올린 협주곡	(Unearthed Broadcast Recordings)

Guila Bustabo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6번, 하차투리안: 바이올린 협주곡 (Unearthed Broadcast Recordings)

15,700 (19%)

'Guila Bustabo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6번, 하차투리안: 바이올린 협주곡 (Unearthed Broadcast Recordings)' 상세페이지 이동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21,300 (19%)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상세페이지 이동

Johanna Martzy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8번,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 (Live Concert Performances)

Johanna Martzy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8번,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 (Live Concert Performances)

15,700 (19%)

'Johanna Martzy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8번,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 (Live Concert Performances)' 상세페이지 이동

Peter Donohoe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Vol.6 (Mozart: Piano Sonatas, Volume 6)

Peter Donohoe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Vol.6 (Mozart: Piano Sonatas, Volume 6)

19,400 (19%)

'Peter Donohoe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Vol.6 (Mozart: Piano Sonatas, Volume 6)' 상세페이지 이동

Hagen Quartett 하겐 사중주단 30주년 기념 앨범 (Hagen Quartett 30)

Hagen Quartett 하겐 사중주단 30주년 기념 앨범 (Hagen Quartett 30)

19,900 (19%)

'Hagen Quartett 하겐 사중주단 30주년 기념 앨범 (Hagen Quartett 30)' 상세페이지 이동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116,400 (19%)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상세페이지 이동

백건우 - 모차르트: 피아노 작품 1 (Mozart: Piano Works 1)

백건우 - 모차르트: 피아노 작품 1 (Mozart: Piano Works 1)

20,000 (19%)

'백건우 - 모차르트: 피아노 작품 1 (Mozart: Piano Works 1) '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Dmitri Shostakovich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Dmitri Shostakovich
관심작가 알림신청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chostakowitsch Dmitriyevich Shostakovich
러시아의 작곡가이다. 그는 소비에트 정부와 복잡한 관계에 있었는데, 1936년과 1948년에는 그의 두 작품이 공개적인 경고를 받기도 했으며, 종종 그의 작품에 대해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 그는 동시대의 가운데 가장 유명한 소비에트 작곡가 가운데 한 사람이자, 여러 개의 표창과 상을 받기도 했으며, 소비에트 최고 회의 위원이기도 했다.

초창기의 아방가르드 시기를 제외하면, 쇼스타코비치는 주로 낭만파의 작품을 썼으며, 특히 구스타프 말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그는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무조주의 형식을 도입하였으며 종종 12음렬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의 음악은 강한 대조에, 그로테스크적인 요소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의 작품 가운데 교향곡과 현악 사중주 각각 열 다섯 곡씩이 유명하며, 오페라와 여섯 개의 협주곡, 그리고 여러 영화 음악도 널리 알려져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1906년 러시아 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9살 되던 해부터 피아노를 그의 어머니 소피아 바실리에프나로부터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는 남다른 재능 덕분에 또래 아이들보다 월등한 피아노 실력을 갖게 되었다. 그는 피아노와 함께 작곡도 배웠는데, 작곡 부문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쇼스타코비치의 어릴 때 기억은 거의 육성 회고록에 잘 나타나있다.

우리 가정은 제1차 세계대전, 2월 혁명, 10월 혁명과 연이어 터지는 사회적 사건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이 연대에 썼던 내 작품에서 이미 무언가 실생활을 담아내고 싶어 하는 마음이 드러나는 것은 그다지 놀랄 일도 아니다. 이러한 ‘실생활을 담고 싶다’는 어린 마음으로 만든 작품에는 피아노 소곡 <병사>, <자유의 찬가>, <혁명의 희생자에게 바치는 장송 행진곡>이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회고록에서도 잘 나타나 있듯이, 그는 어린 시절부터 ‘혁명’ 같은 사회적 현상에 관심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1919년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였다. 그는 작곡과 피아노를 모두 공부하였는데, 작곡은 막시밀리안 슈테인베르크에게, 피아노는 로자노바와 레오니드 니콜라에프에게 사사하였다. 그는 음악원에서 다양한 형식과 장르의 곡을 썼다. 이 당시 썼던 곡들은 피아노를 위한 소품 시리즈,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트리오, 피아노를 위한 전주곡 등이 있다. 그는 음악원 졸업 작품으로 첫 번째 교향곡을 탄생시켰다. 그의 작품은 당대 최고의 지휘자였던 토스카니니, 브루노 발터 등에 의해 소개되어 젊은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쌓기 시작한다.

쇼스타코비치는 1번 교향곡(1925)를 작곡한 이후, 2번 교향곡, 10월 혁명에 바침(1927), 3번 교향곡, 메이데이]](1929), [[4번 교향곡(1936)을 작곡하였다. 그리고 1927년에는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피아노 부문 2등을 하기도 한다. 이 무렵 쇼스타코비치는 교향곡 뿐만 아니라 오페라, 발레음악 등에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작곡하였다. 그는 오페라 귀는 1933년에,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1934년에 발표한다.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전통 오페라와 달리 상당히 전위적인 작품이었는데, 당시 소련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에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을 비판하는 기사가 실리게 된다. 당시 "프라우다"에는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을 "음악이 아니라 혼란(Chaos instead of Music/Sumbru vmesto muzyki)"라고 표현한다. 쇼스타코비치는 이 사건 때문에 상당한 충격을 받았으나 결국 1936년 4번 교향곡을 완성했다. 하지만 <4번 교향곡>의 초연 일정이 무산되었고, 25년이 지난 1961년에 초연이 이루어졌다.

그는 1937년에서 1941년에는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1943에서 1948년에는 모스크바 음악원의 작곡교수를 지냈다.

쇼스타코비치의 5번 교향곡은 1937년에 작곡된다. 5번 교향곡은 혁명 교향곡이라고도 불린다. 쇼스타코비치는 자신의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을 비롯한 자신의 음악이 지나치게 형식주의적이라는 비판을 깨기 위해 다음 작품에 더욱 노력을 기울였다. 그렇게 탄생한 작품이 바로 5번 교향곡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이전의 비판과는 달리 호평을 받아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다. 그 뒤로 쇼스타코비치는 6번교향곡과 7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특히 7번 교향곡은 1941년 6월, 히틀러가 레닌그라드를 침공했을 때 레닌그라드에서 작곡한 작품인데, 이 때문에 7번 교향곡은 '레닌그라드 교향곡'이라고도 불린다. 레닌그라드 교향곡의 초연은 소련 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컸다. 초연은 토스카니니가 지휘하는 NBC 교향악단이 진행했는데, 이 공연은 미국 전 방송국을 통해 중계되었다.

7번 교향곡(레닌그라드)을 쓰고 난 이후, 그는 8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7번 교향곡은 전쟁의 고통을 가장 극적으로 반영한 교향곡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전쟁이 끝나고, 쇼스타코비치는 9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그는 9번 교향곡 자체를 쉽고 명쾌한 분위기에 의한 곡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귀엽고 발랄하기만 한 9번 교향곡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있었다. 스탈린은 9번 교향곡이 지니는 상징성(예를 들어, 베토벤의 9번 합창 교향곡이 갖는 상징성)과 전쟁의 종결이라는 큰 사건이 결합하여 대단한 걸작이 탄생할 것이라 기대했지만, 쇼스타코비치의 9번 교향곡은 그러한 기대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다. 이로 인해 즈다노프 비판이 시작되었다. 즈다노프 비판은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이루어졌는데, 음악 분야의 토론은 1948년 1월에 진행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전후 서유럽에서 도입된 형식주의적 사상과의 투쟁, 광범위한 인민대중을 높은 음악성에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한 음악 예술 발전의 과제가 토의되었다. 이 회의 이후, 쇼스타코비치 뿐만 아니라 프로코피예프, 하차투리안, 포포프, 세바린, 미야스코프스키 등이 형식주의자로 비난을 받게 된다. 이 즈다노프 비판으로 쇼스타코비치는 스탈린이 사망하는 1953년까지 교향곡을 작곡하지 않게 되고, 주로 스탈린 선전용 영화음악만을 작곡하게 된다.

스탈린이 사망(1953)하고 나서 쇼스타코비치는 같은 해 10월 10번 교향곡을 8년 만에 발표한다. 그리고 그 이후로 11번 교향곡과 12번 교향곡, 13번 교향곡, 14번 교향곡을 발표한다. 11번째 교향곡과 12번째 교향곡은 혁명을 주제로 쓴 교향곡이라고 평가받는데, 이는 표제 음악적 특징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반면 13번째 교향곡과 14번째 교향곡은 합창이 들어가기 때문에 성악 교향곡의 형태를 띠고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제 14번 교향곡을 작곡한 2년 뒤에 마지막 교향곡인 15번 교향을 작곡한다. 15번 교향곡은 앞 선 두개의 교향곡과 달리 순수 기악곡이다. 이 곡을 작곡할 때, 쇼스타코비치는 심근경색으로 병상에 있었다. 계속적인 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그는 1975년에 심장 발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의 음악은 러시아 사람들의 생활이나 기분을 잘 나타냈으며 듣기 쉬운 것이 특징이다.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은 교향곡이 대표적이며, 교향곡 뿐만 아니라 오페라,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성악곡으로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은 총 15개로 이루어진다.

제 1번 교향곡은 쇼스타코비치의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졸업 작품으로, 이 곡을 통해 세상에 젊은 작곡가, 쇼스타코비치가 알려지기 시작한다. 곡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당시 예술과 혁명은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서유럽의 현대음악 콘서트가 열리면서 자유로운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쇼스타코비치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2번 교향곡, 3번 교향곡을 작곡한다. 2,3번 교향곡에서는 대위적인 기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2번 교향곡에서는 극단적으로 27성부 모두 폴리포니를 이루기도 한다.

4번 교향곡은 표제가 없는 순수한 절대 음악이다. 또한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중 가장 많은 인원(총 134명)이 필요한 기악곡이다. 하지만 4번 교향곡이 <프라우다>지에서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에 대한 비판 사건으로 초연이 연기된다.

5번 교향곡은 쇼스타코비치의 15개 교향곡 중 으뜸으로 뽑힐 만큼 높은 작품성을 지녔다. 그는 그 무렵 [프라우다]에 쓰인 자신에 대한 비판, 즉 지나친 형식주의자라는 평가를 진지하게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러한 고민 끝에 탄생한 작품인 5번 교향곡은 베토벤의 5번 교향곡 운명과 극복-승리라는 내용으로 자주 비교되곤 한다.쇼스타코비치는 회고록을 통해 5번 교향곡의 주제가 인간성(인격)의 확립이라고 이야기 한다. 이 작품은 4악장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에서는 모든 악장에 일정 리듬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성을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았는데, 1악장은 d단조, 2악장은 a단조, 3악장은 f#단조, 4악장은 d단조로 볼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하자 소련 정부는 예술에 대한 간섭을 더욱 심하게 한다. 그리고 애국적인 예술 작품을 탄생시키는데, 7번 교향곡 레닌그라드도 이러한 맥락에서 탄생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독일군이 레닌그라드를 포위하였던 것에서 영감을 얻어 이 작품을 시작하였다. 이 작품 발표 당시 쇼스타코비치는 이 곡은 전쟁의 시(詩)이며, 뿌리 깊은 민족정신의 찬가이다라고 발표했지만 1악장을 제외하고는 묘사적 요소가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10] 이전, 쇼스타코비치에 대한 비난을 했던 <프라우다>에서도 이 곡에 대해서는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 곡은 훗날, 레닌그라드 시(市)에 헌정되었으며, 당시 스탈린상도 수상하게 된다. 이 곡은 표제 음악이며, 1악장은 '전쟁', 2악장은 '회상', 3악장은 '조국의 광야', 4악장은 '승리'로 알려져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9번 교향곡은 짧고 매우 경쾌한 소품 형식이다. 곡 자체는 완성도가 높은 편이었지만, 대작이 나올 것을 기대하였던 사람들에게 소규모의 경쾌하고 재치있는 곡은 실망을 안겨주었다. 쇼스타코비치는 9번 교향곡은 만든 지 8년 후에 제 10번 교향곡을 발표한다. 이 곡은 스탈린이 사망한 직후에 쓰여진 작품이었기 때문에 전 세계의 관심을 받았다.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쇼스타코비치는 이 곡을 "확대 된 타악기군을 포함하는 오케스트라"의 표준에 가까운 4악장의 교향곡이라고 설명하였다.

그의 13번 교향곡과 14번 교향곡에는 성악 부분이 들어가 있다.

쇼스타코비치가 마지막으로 쓴 교향곡은 1971년의 15번 교향곡이다. 15번 교향곡은 순수 기악 교향곡이다.

쇼스타코비치는 교향곡 뿐만 아니라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오페라, 성악곡에 걸쳐 많은 작품을 썼다. 관현악곡은 모음곡, 서곡, 교향시가 대부분이다. 특히 모음곡에서는 발레 음악을 모은 발레 모음곡이 대표적이다. 또한 쇼스타코비치는 민족 음악에도 관심을 가져 러시아와 기르기스 민요 서곡 op.115같은 민속적 선율로 곡을 쓰기도 하였다. <10월 혁명>이라는 교향시 op.131는 1967년에 있었던 10월 혁명 50주년을 기념하여 작곡된 작품이다.

협주곡은 피아노, 바이올린, 그리고 첼로 협주곡이 대표적이다.

쇼스타코비치의 오페라는 미완성 작품까지 모두 3개이다. 그 중 코(The Nose) Op.15와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Op.29이 대표적이다. 코는 고골리의 동명소설을 러시아로 번역한 것으로, G. 이오닌, A. 플라이스, J.자미야틴과 쇼스타코비치가 함께 공동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잃어버린 코를 찾아 원래 있던 자리에 붙인다는 내용의 원작을 모방하여 코믹적인 요소를 없앤 중후하고 무거운 음악이 오페라 전체에 흐른다.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은 1930년~1932년에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러시아어로 번역한 A. 플레이스와 쇼스타코비치의 공동 작품 <므첸스크의 백베스 부인>의 대본이 거의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 작품은 굉장히 규모가 큰 대작으로, 러시아 오페라의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즉, 이 작품은 부정적인 일들을 고발하고, 풍자하며, 극적이고, 서정적이면서 인물에 대한 심리 묘사, 성격 묘사에 대한 음악이 어우러진다. 이 작품은 1934년 초연 된 이후, <프라우다>지에서 ‘음악이 아니라 시끄러운 소리들일 뿐’이라는 비판을 받은 후, 상연이 금지되었다. 1979년에 원곡이 부활, 상연되었다.

Dmitri Shostakovich의 다른 상품

Dorothee Mields  ‘구원’ - 바흐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들 (Bach/Shostakovich: Salvation)

Dorothee Mields ‘구원’ - 바흐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들 (Bach/Shostakovich: Salvation)

16,900 (19%)

'Dorothee Mields ‘구원’ - 바흐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들 (Bach/Shostakovich: Salvation)' 상세페이지 이동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21,300 (19%)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상세페이지 이동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20,500 (19%)

'Trio Zeliha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Schubert: Piano Trio Op. 100 / Chostakovitch: Piano Trio Op. 67)' 상세페이지 이동

Bernard Haitink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8번 (Shostakovich: Symphony No. 8)

Bernard Haitink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8번 (Shostakovich: Symphony No. 8)

20,800 (19%)

'Bernard Haitink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8번 (Shostakovich: Symphony No. 8)' 상세페이지 이동

Quatuor Danel 쇼스타코비치: 현악 사중주 전곡 (Shostakovich: The Complete String Quartets)

Quatuor Danel 쇼스타코비치: 현악 사중주 전곡 (Shostakovich: The Complete String Quartets)

100,100 (19%)

'Quatuor Danel 쇼스타코비치: 현악 사중주 전곡 (Shostakovich: The Complete String Quartets)' 상세페이지 이동

Hisayoshi Inoue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 쇼스타코비치: 러시아와 키르기즈 주제에 의한 서곡 (Tchaikovsky: Symphony No.4 / Shostakovich: Overture On Russian and Kirghiz Folk Themes)

Hisayoshi Inoue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 쇼스타코비치: 러시아와 키르기즈 주제에 의한 서곡 (Tchaikovsky: Symphony No.4 / Shostakovich: Overture On Russian and Kirghiz Folk Themes)

21,300 (19%)

'Hisayoshi Inoue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 / 쇼스타코비치: 러시아와 키르기즈 주제에 의한 서곡 (Tchaikovsky: Symphony No.4 / Shostakovich: Overture On Russian and Kirghiz Folk Themes)' 상세페이지 이동

Vladimir Fedoseyev 쇼스타코비치: '카테리나 이즈마일로바' 교향곡 (Shostakovich: Katerina Ismailowa)

Vladimir Fedoseyev 쇼스타코비치: '카테리나 이즈마일로바' 교향곡 (Shostakovich: Katerina Ismailowa)

18,100 (19%)

'Vladimir Fedoseyev 쇼스타코비치: '카테리나 이즈마일로바' 교향곡 (Shostakovich: Katerina Ismailowa)'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Sergei Rachmaninov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Sergei Rachmaninov
관심작가 알림신청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y Vasilyevich Rachmaninoff Sergej Rachmaninoff
러시아계 미국인 작곡가, 피아노 연주가이자 지휘자이다.
라흐마니노프의 가족은 오래된 귀족 가문의 하나였다. 9세 때 페테르스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였으며, 3년 뒤에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공부하였다.

1895년에 완성된 1번 교향곡은 라흐마니노프의 불안증세 속에 1897년 발표되었는데, 이는 많은 혹평을 받게 되었다. 이 시기부터 그는 우울증에 시달려 약 3년 간 거의 작곡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19되었다. 1901년 완성된 제2번 피아노 협주곡 역시 니콜라이 달에게 헌정된 것이다.

1905-1906년에는 모스크바 황실 극장 지휘자를 거쳐 미국 및 유럽 연주 여행을 하였다.

1917년 러시아에서는 2월 혁명이 일어났고 곧 라흐마니노프의 재산도 몰수당하였다. 그는 가난 속에서 북유럽에 머물러있다가 미국에서 지휘자의 자리를 제안받고 건너가 음악활동을 계속했다.

1942년부터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고 결국 1943년 사망했다. 그는 모스크바에 묻히고 싶어했지만 이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의 피아노 연주가로서의 기량은 널리 알려져 있었으나 작곡가로서의 명성은 뒤늦게 얻게 된 것이다. 그는 종종 자신의 작품을 직접 연주했다. 전설적인 기교와 13도의 음정까지도 연주해 낼 수 있을 만큼 컸던 손 등에 힘입어, 그는 당대 가장 위대한 피아노 연주가 가운데 한 명이었다. 라흐마니노프 스스로 연주한 자신의 음악이나 일반적인 레파토리 곡들의 연주는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의 레이블로 출시되었다.

라흐마니노프는 후기 낭만파에 속하는 작품을 썼다. 그의 작품은 다양한 악곡 형식과 장르를 포괄하지만, 그 안에서도 슬라브적인 경향이 짙게 나타난다.

그의 작품에는 다섯 개의 피아노 협주곡, 세 개의 교향곡과 두 개의 피아노 소나타, 세 개의 오페라, 저녁기도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전주곡 올림 다 단조를 포함한 스물 네 개의 전주곡, 열 일곱 개의 연습곡, 교향적 무곡과 많은 가곡 등이 있다. 그는 비록 명백히 쇼팽과 리스트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의 작품 대부분은 차이콥스키와 비슷한 후기 낭만파 양식이다.

Sergei Rachmaninov의 다른 상품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21,300 (19%)

'Alexander Brailowsky 알렉산더 브라일로프스키 연주회 실황 (1951-1962) - 차이코프스키 1번, 쇼팽 1번, 라흐마니노프 2번, 슈만 협주곡 (Live Concert Performances in Europe)' 상세페이지 이동

Peter Donohoe 쇼팽: 피아노 소나타 2 & 3번, 라흐마니노프: 쇼팽 변주곡 (Rachmaninoff: Variations on a Theme of Chopin & Chopin Sonatas Nos 2 & 3)

Peter Donohoe 쇼팽: 피아노 소나타 2 & 3번, 라흐마니노프: 쇼팽 변주곡 (Rachmaninoff: Variations on a Theme of Chopin & Chopin Sonatas Nos 2 & 3)

19,400 (19%)

'Peter Donohoe 쇼팽: 피아노 소나타 2 & 3번, 라흐마니노프: 쇼팽 변주곡 (Rachmaninoff: Variations on a Theme of Chopin & Chopin Sonatas Nos 2 & 3)' 상세페이지 이동

Mikhail Pletnev / Kent Nagano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전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Rachmaninoff: Live (Rachmaninov: Piano Concertos, The Paganini Rhapsody)

Mikhail Pletnev / Kent Nagano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전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Rachmaninoff: Live (Rachmaninov: Piano Concertos, The Paganini Rhapsody)

39,000 (19%)

'Mikhail Pletnev / Kent Nagano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전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Rachmaninoff: Live (Rachmaninov: Piano Concertos, The Paganini Rhapsody)' 상세페이지 이동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듀오 연주집 (Rachmaninoff For Two)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듀오 연주집 (Rachmaninoff For Two)

24,800 (19%)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듀오 연주집 (Rachmaninoff For Two) ' 상세페이지 이동

Piers Lane 피어스 레인 러시안 변주곡집 (Russian Variations)

Piers Lane 피어스 레인 러시안 변주곡집 (Russian Variations)

19,500 (19%)

'Piers Lane 피어스 레인 러시안 변주곡집 (Russian Variations)' 상세페이지 이동

Vladimir Ashkenazy 라흐마니노프: 합창 교향곡 '종' (Rachmaninoff: The Bells)

Vladimir Ashkenazy 라흐마니노프: 합창 교향곡 '종' (Rachmaninoff: The Bells)

21,300 (19%)

'Vladimir Ashkenazy 라흐마니노프: 합창 교향곡 '종' (Rachmaninoff: The Bells)' 상세페이지 이동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듀오 연주집 (Rachmaninoff For Two)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듀오 연주집 (Rachmaninoff For Two)

31,500 (19%)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듀오 연주집 (Rachmaninoff For Two) ' 상세페이지 이동

베를린 필이 선보이는 라흐마니노프 탄생 150주년 기념 프로젝트 제 2편 (Rachmaninoff 150)

베를린 필이 선보이는 라흐마니노프 탄생 150주년 기념 프로젝트 제 2편 (Rachmaninoff 150)

117,000 (19%)

'베를린 필이 선보이는 라흐마니노프 탄생 150주년 기념 프로젝트 제 2편 (Rachmaninoff 150) '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Darius Milhaud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Darius Milhaud
관심작가 알림신청
다리우스 미요
프랑스의 작곡가.
6인조(Groupe des Si 또는 Les Six) 가운데 한 명. 에릭 사티(Erik Satie)와 장 콕토(Jean Cocteau)에게서 영향을 받은 프랑스 6인조는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과 독일을 중심으로 한 바그너풍 음악에 대항하여 새로운 음악 경향을 만드려는 목적으로 모였다. 공동 작업을 하기도 하였으나, 각자 독특한 색채를 가진 이들은 자신만의 특색을 유지하였다.
다리우스 미요는 그중에서도 많은 작품을 썼는데, 민속 음악을 많이 차용하고 재즈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서정과 즐거움이 교차하는 작품을 남겼다.

Darius Milhaud의 다른 상품

Charles Owen / Katya Apekisheva 미요: 스카라무슈 / 풀랭크: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 드뷔시: 세 개의 녹턴 등 (Poulenc - Debussy - Milhaud)

Charles Owen / Katya Apekisheva 미요: 스카라무슈 / 풀랭크: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 드뷔시: 세 개의 녹턴 등 (Poulenc - Debussy - Milhaud)

19,500 (19%)

'Charles Owen / Katya Apekisheva 미요: 스카라무슈 / 풀랭크: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 드뷔시: 세 개의 녹턴 등 (Poulenc - Debussy - Milhaud)' 상세페이지 이동

Holger Falk / Steffen Scheiermacher 미요: 가곡과 샹송 1집 - ‘페트로그라드의 밤’, ‘장 콕토의 세 개의 시’, ‘유대인의 시’ 등 (Milhaud: Melodies Et Chansons Vol. 1)

Holger Falk / Steffen Scheiermacher 미요: 가곡과 샹송 1집 - ‘페트로그라드의 밤’, ‘장 콕토의 세 개의 시’, ‘유대인의 시’ 등 (Milhaud: Melodies Et Chansons Vol. 1)

20,800 (19%)

'Holger Falk / Steffen Scheiermacher 미요: 가곡과 샹송 1집 - ‘페트로그라드의 밤’, ‘장 콕토의 세 개의 시’, ‘유대인의 시’ 등 (Milhaud: Melodies Et Chansons Vol. 1) ' 상세페이지 이동

Manon Galy / Jorge Gonzalez Buajasan 파리의 밤 - 프랑스 작곡가들의 작품과 편곡 작품집 (Nuits Parisiennes)

Manon Galy / Jorge Gonzalez Buajasan 파리의 밤 - 프랑스 작곡가들의 작품과 편곡 작품집 (Nuits Parisiennes)

20,500 (19%)

'Manon Galy / Jorge Gonzalez Buajasan 파리의 밤 - 프랑스 작곡가들의 작품과 편곡 작품집 (Nuits Parisiennes)' 상세페이지 이동

다리우스 미요: 비올라를 위한 작품집 (Darius Milhaud: Viola Works)

다리우스 미요: 비올라를 위한 작품집 (Darius Milhaud: Viola Works)

18,100 (19%)

'다리우스 미요: 비올라를 위한 작품집 (Darius Milhaud: Viola Works)' 상세페이지 이동

Gottlieb Wallisch 20세기 폭스트롯 4집 - 고틀립 발리쉬 (20th Century Foxtrots Vol. 4 - France and Belgium)

Gottlieb Wallisch 20세기 폭스트롯 4집 - 고틀립 발리쉬 (20th Century Foxtrots Vol. 4 - France and Belgium)

19,500 (19%)

'Gottlieb Wallisch 20세기 폭스트롯 4집 - 고틀립 발리쉬 (20th Century Foxtrots Vol. 4 - France and Belgium) ' 상세페이지 이동

Sandor Rigo 색소폰과 피아노를 위한 라틴 아메리카 춤곡 작품집 (Latin American Dances - Works for Saxophone and Piano)

Sandor Rigo 색소폰과 피아노를 위한 라틴 아메리카 춤곡 작품집 (Latin American Dances - Works for Saxophone and Piano)

16,900 (19%)

'Sandor Rigo 색소폰과 피아노를 위한 라틴 아메리카 춤곡 작품집 (Latin American Dances - Works for Saxophone and Piano) ' 상세페이지 이동

줄리어드 현악 사중주단 콜롬비아 초기 녹음 모음집 (Juilliard String Quartet - The Early Columbia Recordings 1949-1956)

줄리어드 현악 사중주단 콜롬비아 초기 녹음 모음집 (Juilliard String Quartet - The Early Columbia Recordings 1949-1956)

57,200 (19%)

'줄리어드 현악 사중주단 콜롬비아 초기 녹음 모음집 (Juilliard String Quartet - The Early Columbia Recordings 1949-1956)' 상세페이지 이동

이탈리아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Quartetto Italiano - Prima La Musica, The Complete Warner Recordings)

이탈리아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Quartetto Italiano - Prima La Musica, The Complete Warner Recordings)

62,700 (19%)

'이탈리아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Quartetto Italiano - Prima La Musica, The Complete Warner Recordings) '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Maurice Ravel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Maurice Ravel
관심작가 알림신청
모리스 라벨
프랑스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이다. 음악원 선배인 클로드 드뷔시와 함께 20세기 초 인상주의 사조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관현악곡인 <볼레로>로 유명하며, 무소륵스키가 작곡한 피아노곡인 <전람회의 그림>의 관현악 편곡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오케스트레이션은 다채로운 음색과 악기의 사용으로 유명하다.

그는 프랑스 바스크 지방의 Ciboure에서 바스크계의 어머니와 스위스인인 아버지로부터 태어났다. 열 네살이 되자 그의 아버지는 그의 음악적 재능을 키워 주기를 원하여 라벨을 파리 음악원으로 보냈다. 피아노와 작곡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는데, 재학 중 발표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현악 4중주곡 바장조>에서 새로운 경향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거기에서 그는 ‘아파치’라는 작곡가 학생들의 모임에 가입했는데, 이는 술을 마시고 여성들에게 집적대는 모임으로 유명했다.

파리 음악원에서 라벨은 가브리엘 포레에게 음악을 배웠다. 음악원에 있는 동안 로마대상을 받으려고 했지만 받지 못하였는데 그가 충분한 재능이 있었음에도 대상을 주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그는 음악원을 떠났다. 라벨은 클로드 드뷔시에게 영향을 주었고, 재즈와 아시아의 음악, 그리고 유럽 전역의 민요와 스페인 음악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라벨은 종교를 가지지 않았으며 무신론자로 보인다. 그는 바그너의 음악처럼 공공연히 종교적인 색채를 부여한 음악을 싫어했으며, 대신 고대 야화에서 음악적 영감을 얻는 편이었다.

1932년에 심한 교통사고를 당한 이후 그의 건강은 악화되었다. 1937년에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수술을 받았지만 실패하여 사망했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라벨의 복잡하고 정교한 음악에 빗대어 그를 “스위스 시계 장인”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라벨은 인상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하나이지만, 그의 음악은 환상적인 묘사만을 강조하는 드뷔시와는 달리 프랑스 고전주의의 틀을 지키며 근대적인 감각을 발전시킨 것으로, 정교하고 치밀하다는 평을 듣는다. 라벨은 자신의 피아노곡을 오케스트라를 위해 편곡하는 것을 즐겨했으며, 의뢰를 받아 다른 작곡가의 곡을 편곡하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예로는 무소륵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이 있다.

Maurice Ravel의 다른 상품

Stanislaw Skrowaczewski 라벨: 다프니스와 클로에,어미 거위, 우아하고 감상적인 왈츠 (Ravel: Daphnis et Chloe Suites, Ma Mere l'Oye

Stanislaw Skrowaczewski 라벨: 다프니스와 클로에,어미 거위, 우아하고 감상적인 왈츠 (Ravel: Daphnis et Chloe Suites, Ma Mere l'Oye

19,500 (19%)

'Stanislaw Skrowaczewski 라벨: 다프니스와 클로에,어미 거위, 우아하고 감상적인 왈츠 (Ravel: Daphnis et Chloe Suites, Ma Mere l'Oye' 상세페이지 이동

라벨 베스트 모음집 (Maurice Ravel A Portrait) [2LP]

라벨 베스트 모음집 (Maurice Ravel A Portrait) [2LP]

48,600 (19%)

'라벨 베스트 모음집 (Maurice Ravel A Portrait) [2LP]' 상세페이지 이동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21,500 (19%)

'볼레로 - 미스테르 라벨 영화음악 (Bolero - Le Mystere Ravel OST)' 상세페이지 이동

Akiko Suwanai / Sergei Stadler 파가니니 / 라벨 / 쇼송 /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The 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 Winners)

Akiko Suwanai / Sergei Stadler 파가니니 / 라벨 / 쇼송 /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The 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 Winners)

20,800 (19%)

'Akiko Suwanai / Sergei Stadler 파가니니 / 라벨 / 쇼송 /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The 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 Winners)' 상세페이지 이동

Behzod Abduraimov 라벨, 프로코피에프, 사이다미노바: 피아노 작품집 (Shadows of My Ancestors)

Behzod Abduraimov 라벨, 프로코피에프, 사이다미노바: 피아노 작품집 (Shadows of My Ancestors)

19,900 (19%)

'Behzod Abduraimov 라벨, 프로코피에프, 사이다미노바: 피아노 작품집 (Shadows of My Ancestors)' 상세페이지 이동

John Wilson 라벨: 쿠프랭의 무덤 / 버클리: 디베르티멘토 / 파운즈: 교향곡 3번 (Ravel: Le Tombeau De Couperin / Berkeley: Divertimento / Pounds: Symphony No. 3)

John Wilson 라벨: 쿠프랭의 무덤 / 버클리: 디베르티멘토 / 파운즈: 교향곡 3번 (Ravel: Le Tombeau De Couperin / Berkeley: Divertimento / Pounds: Symphony No. 3)

19,500 (19%)

'John Wilson 라벨: 쿠프랭의 무덤 / 버클리: 디베르티멘토 / 파운즈: 교향곡 3번 (Ravel: Le Tombeau De Couperin / Berkeley: Divertimento / Pounds: Symphony No. 3)' 상세페이지 이동

Trio Ernest 하이든: 피아노 트리오 25, 41, 20, 45번 / 라벨: 하이든 이름에 의한 미뉴에트 / 재클린 폰틴: 사랑하는 요제프 (Haydn All-Stars)

Trio Ernest 하이든: 피아노 트리오 25, 41, 20, 45번 / 라벨: 하이든 이름에 의한 미뉴에트 / 재클린 폰틴: 사랑하는 요제프 (Haydn All-Stars)

20,500 (19%)

'Trio Ernest 하이든: 피아노 트리오 25, 41, 20, 45번 / 라벨: 하이든 이름에 의한 미뉴에트 / 재클린 폰틴: 사랑하는 요제프 (Haydn All-Stars)' 상세페이지 이동

Benjamin Grosvenor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Gershwin : Rhapsody In Blue) [블루 컬러 LP]

Benjamin Grosvenor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Gershwin : Rhapsody In Blue) [블루 컬러 LP]

50,100 (19%)

'Benjamin Grosvenor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Gershwin : Rhapsody In Blue) [블루 컬러 LP]' 상세페이지 이동

연주 : Martha Argerich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연주 : Martha Argerich
관심작가 알림신청
마르타 아르헤리치
1941년 6월 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세 살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으며, 음악을 기억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빼어나 신동 소리를 들었다. 열한 살에는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극장 테아트로 콜론에 데뷔했다. 1955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해 프리드리히 굴다의 제자가 되었고, 1957년 부조니 콩쿠르와 제네바 콩쿠르에서 모두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1960년 연주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슬럼프를 겪던 아르헤리치는 1965년 제7회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녀의 연주는 쇼팽 해석을 혁신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후 음반과 공연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가며 숱한 명반과 명연을 남겼다. 현란한 테크닉과 파워풀한 타건으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그녀는 〈BBC 매거진〉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9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그녀는 독주 무대 대신 실내악 협연 위주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오랜 친구이자 동료인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다니엘 바렌보임,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등과 협연을 이어오고 있다. 또 루가노 페스티벌, 벳푸 아르헤리치 페스티벌 등을 조직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친구들’이라는 이름의 공연을 정기적으로 열고 있다.

그녀에게는 성姓이 다른 세 딸, 1964년 중국 출신 지휘자 첸량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리다 첸, 1970년 두 번째 남편이었던 지휘자 샤를 뒤투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니 뒤투아, 1975년 연인이었던 피아니스트 스티븐 코바세비치와의 사이에서 낳은 스테파니 아르헤리치가 있다. 엄마로서 아르헤리치의 모습은 스테파니가 감독한 다큐멘터리영화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세 딸들Bloody daughter〉에 담겨 있다.

1992년 암(악성 흑색종)을 진단받은 그녀는 1997년 병이 재발했지만 회복해 완치되었다. 여든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다.

Martha Argerich의 다른 상품

Daniel Barenboim / Martha Argerich 드뷔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소나타 (Debussy: Fantasie, Violin Sonata)

Daniel Barenboim / Martha Argerich 드뷔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소나타 (Debussy: Fantasie, Violin Sonata)

46,500 (19%)

'Daniel Barenboim / Martha Argerich 드뷔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소나타 (Debussy: Fantasie, Violin Sonata) ' 상세페이지 이동

Gidon Kremer / Martha Argerich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6-8번 (Beethoven: Violin Sonatas op.30 Nr.1,2,3) [2LP]

Gidon Kremer / Martha Argerich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6-8번 (Beethoven: Violin Sonatas op.30 Nr.1,2,3) [2LP]

64,400 (19%)

'Gidon Kremer / Martha Argerich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6-8번 (Beethoven: Violin Sonatas op.30 Nr.1,2,3) [2LP]' 상세페이지 이동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23,000 (19%)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상세페이지 이동

전설이 된 피아니스트들 (Legendary Pianists)

전설이 된 피아니스트들 (Legendary Pianists)

91,000 (19%)

'전설이 된 피아니스트들 (Legendary Pianists)' 상세페이지 이동

Sergio Tiempo 세르지오 티엠포 피아노 연주집 (Hommage)

Sergio Tiempo 세르지오 티엠포 피아노 연주집 (Hommage)

19,900 (19%)

'Sergio Tiempo 세르지오 티엠포 피아노 연주집 (Hommage)' 상세페이지 이동

Claudio Abbado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로미오와 줄리엣, 1812년 서곡 (Tchaikovsky: Concerto No. 1, 1812 Overture)

Claudio Abbado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로미오와 줄리엣, 1812년 서곡 (Tchaikovsky: Concerto No. 1, 1812 Overture)

104,000 (19%)

'Claudio Abbado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로미오와 줄리엣, 1812년 서곡 (Tchaikovsky: Concerto No. 1, 1812 Overture)' 상세페이지 이동

Martha Argerich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2번 (Beethoven: Piano Concertos Op.15, Op.19)

Martha Argerich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2번 (Beethoven: Piano Concertos Op.15, Op.19)

27,500 (19%)

'Martha Argerich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2번 (Beethoven: Piano Concertos Op.15, Op.19)' 상세페이지 이동

Martha Argerich 베토벤 / 라벨: 피아노 협주곡 (Plays Beethoven & Ravel)

Martha Argerich 베토벤 / 라벨: 피아노 협주곡 (Plays Beethoven & Ravel)

19,900 (19%)

'Martha Argerich 베토벤 / 라벨: 피아노 협주곡 (Plays Beethoven & Ravel)' 상세페이지 이동

연주 : Gabriele Baldocci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연주 : Gabriele Baldocci
관심작가 알림신청
가브리엘레 발도치

Gabriele Baldocci의 다른 상품

Gabriele Baldocci 베토벤-리스트: 교향곡 전곡 3집 - 2, 5번 (Liszt-Beethoven Complete Symphonies Vol. 3)

Gabriele Baldocci 베토벤-리스트: 교향곡 전곡 3집 - 2, 5번 (Liszt-Beethoven Complete Symphonies Vol. 3)

20,800 (19%)

'Gabriele Baldocci 베토벤-리스트: 교향곡 전곡 3집 - 2, 5번 (Liszt-Beethoven Complete Symphonies Vol. 3)' 상세페이지 이동

마르타 아르헤리치와의 만남 2집 (Rendez-Vous with Martha Argerich Vol. 2)

마르타 아르헤리치와의 만남 2집 (Rendez-Vous with Martha Argerich Vol. 2)

68,700 (19%)

'마르타 아르헤리치와의 만남 2집 (Rendez-Vous with Martha Argerich Vol. 2) ' 상세페이지 이동